
총 17개
-
세계의 화산섬2025.05.151. 화산섬 화산이 폭발하면서 솟아나온 지형이 화산섬입니다. 화산섬은 대륙붕 위에 분출한 화산섬과 대륙과 별도로 심해저에서 분출한 화산섬이 있습니다. 대륙붕 위에 분출한 화산섬에는 티라섬, 크라카타우섬이 있고, 대륙과 별도로 심해저에서 분출한 화산섬에는 태평양의 하와이제도, 대서양의 세인트헬레나섬 등이 있습니다. 2. 우리나라의 화산섬 우리나라의 화산섬에는 남해안에 있는 제주도를 비롯하여 동해안에 있는 울릉도와 독도가 있습니다. 3. 솔로몬 제도 솔로몬 제도는 오세아니아의 멜라네시아에 위치한 국가입니다. 1568년 스페인의 항해가 ...2025.05.15
-
고등학교 지구과학1 수업 자료(PPT)_열점_개념 설명2025.05.071. 열점 열점은 뜨거운 플룸 상승류에 의해 마그마가 생성되는 곳으로, 주로 판 내부(일부 발산형 경계)에 위치합니다. 열점 근처에서는 천발지진이 발생하고 현무암질 마그마가 분출됩니다. 열점의 위치는 지구 내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열점 근처 화산의 분포를 통해 판의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열점 근처 화산의 분포 열점 근처 화산들은 판의 이동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열점에서 먼 화산일수록 나이가 많습니다. 열점 바로 위의 화산이 가장 어리고 화산활동이 활발합니다. 열점 근처 화산의 분포를 통해 판의 이...2025.05.07
-
<현역의대생> 과학탐구보고서대회 수상작_탐구보고서_백두산 대폭발의 진실 밝히기2025.01.111. 화산 화산은 지구 내부의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분출되어 만들어진 산으로, 화산의 생성 원인과 과정, 화산의 분출과 화산 분출물, 화산과 화산 주변의 모습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화산의 종류, 화산의 피해, 화산 폭발 피해 사례, 화산의 활약 등을 살펴보았다. 2. 백두산 대폭발 백두산 대폭발에 대한 연구 결과, 10세기경 백두산에서 화산폭발지수 6~7의 대규모 폭발이 일어났고, 그때 분출한 화산재가 일본 북부섬인 훗카이도까지 날아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백두산 대폭발의 규모와 영향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3. 화산 예...2025.01.11
-
중2 과학 수업지도안(판의 경계)2025.05.131. 판 판은 지각과 맨틀의 윗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단단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판은 끊임없이 움직인다. 판의 경계에서는 판이 서로 멀어지기도 하고, 부딪히거나 스치기도 한다. 2. 판의 경계 판의 경계에서는 지진이나 화산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판의 경계는 지진대, 화산대와 거의 일치한다.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판의 경계에 가까우므로 지각 변동이 심하다. 우리나라는 판의 경계에서 비교적 떨어져 있으나 지진에 안전한 지대는 아니다. 3. 지진 대피 영화를 보고 있을 때 지진이 발생하면 우선 대피로를 통해 건물 밖으로 대피한다. ...2025.05.13
-
중2 과학 수업지도안(지각 변동)2025.05.131. 지진과 화산 활동 지진과 화산이 대부분 판의 경계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기상청 누리집에서 최근 1년 동안 전 세계에서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한 곳을 조사하고, 판의 경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본다. 또한 인터넷 검색을 통해 최근 10년 동안 활동한 화산의 분포를 조사하고, 판의 경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본다.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한 곳은 거의 판의 경계 부근이며, 판의 경계에서는 판이 서로 갈라져서 멀어지거나, 어긋나거나 소멸하면서 지구 내부의 뜨거운 물질이 올라오는 화산 활동이 일어나기도...2025.05.13
-
자기주도적 학습지 (고등학교 지구과학_10_마그마)2025.05.071. 마그마의 종류 마그마는 SiO2 함량에 따라 현무암질 마그마(52% 이하), 안산암질 마그마(52% ~ 63%), 유문암질 마그마(63% 이상)로 구분됩니다. 이들은 점성, 화산체의 경사, 온도 등의 특성이 다릅니다. 2. 마그마의 생성 마그마는 압력 감소, 온도 상승, 물의 공급 등의 조건에 의해 생성됩니다. 압력 감소는 발산형 경계나 열점에서, 온도 상승은 대륙 지각 하부에서, 물의 공급은 섭입대 하부에서 마그마가 생성됩니다. 3. 마그마 생성 과정 마그마 생성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압력 감소: 발산형 경계나 열점에...2025.05.07
-
열점 개념 설명2025.05.071. 열점 열점은 뜨거운 플룸 상승류에 의해 마그마가 생성되는 지점으로, 주로 판 내부(일부 발산형 경계)에 위치하며 육지에서는 화산, 바다에서는 화산섬이나 해산을 형성한다. 열점의 특징으로는 지구 내부에 고정된 위치, 열점에서 멀어질수록 화산섬의 나이가 많아지는 것, 열점 근처 화산의 분포를 통해 판의 이동 방향과 속도를 알 수 있다는 것 등이 있다. 2. 열점 근처 화산의 분포 열점 근처 화산의 분포를 통해 판의 이동 방향과 속도를 알 수 있다. 어린 화산에서 늙은 화산 쪽으로 갈수록 화산의 나이가 많아지는 것을 통해 판의 이동...2025.05.07
-
수렴형 경계 개념 설명2025.05.071. 수렴형 경계 수렴형 경계는 두 판이 서로 가까워지는 경계로, 주요 특징으로는 지형(해구, 습곡산맥 등), 지진, 화산 활동 등이 있다. 판이 섭입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진원의 깊이가 깊어지며, 주로 태평양 주변부에 위치한다. 2. 판 이동의 원동력 판 이동의 원동력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섭입하는 판이 잡아당기는 힘으로 저온, 고밀도의 판이 밀도차에 의해 침강하는 것이다. 둘째, 해령에서 판을 밀어내는 힘으로 고온, 저밀도의 맨틀 물질이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것이다. 이 중 섭입하는 판이 잡아당기는 힘이 더 크다. 1. 수...2025.05.07
-
고등학교 지구과학1 수업 자료(PPT)_발산형 경계와 보존형 경계_개념 설명2025.05.071. 판 구조론 지표의 크고 작은 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생긴 판의 경계에서 지각 변동(화산, 지진, 조산운동)이 발생한다는 이론을 설명합니다. 지각, 맨틀, 핵의 구조와 암석권(판), 연약권의 특징을 다룹니다. 2. 발산형 경계 대륙-대륙, 해양-해양 경계에서 발생하는 열곡대, 해령 등의 지형적 특징과 맨틀 대류에 의한 장력, 정단층 등의 지질 구조적 특징을 설명합니다. 3. 보존형 경계 해양-해양, 대륙-대륙 경계에서 발생하는 변환단층의 지형적 특징과 전단력에 의한 주향이동단층 등의 지질 구조적 특징을 설명합니다. 1. 판 구...2025.05.07
-
고등학교 지구과학1 수업 자료(PPT)_수렴형 경계_개념 설명2025.05.071. 수렴형 경계의 유형과 특징 수렴형 경계에는 해양판-대륙판 섭입대, 해양판-해양판 충돌대, 대륙판-대륙판 충돌대 등 다양한 유형이 있다. 각 유형에 따라 생성되는 지형, 지진, 화산 활동 등의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2. 판 이동의 원동력 판 이동의 원동력은 크게 두 가지로, 섭입하는 판이 잡아당기는 힘과 해령에서 판을 밀어내는 힘이다. 이 두 힘의 크기 차이로 인해 해구(섭입대)가 존재하는 판의 이동 속도가 더 빠르다. 1. 수렴형 경계의 유형과 특징 수렴형 경계는 두 개의 판이 서로 가까워지는 경계로, 대표적으로 섭입형 경...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