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0개
-
한의학 오장육부2025.05.031. 오장육부 오장과 육부를 줄여서 장부라고도 하는데 장부는 다시 음과 양으로 나뉜다. 오장, 즉 간(肝), 심(心), 비(脾), 폐(肺), 신(腎)은 음에 속하고 육부, 즉 담(膽), 위(胃), 소장, 대장, 방광, 삼초(三焦)는 양에 속한다. 각각의 장부는 그 나름의 고유한 기능을 갖고 있지만 오장과 육부라는 두 범주로 이를 묶은 것은 크게 보아 주된 기능을 둘로 나눌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오장은 정기(精氣), 신기(神氣), 혈기(血氣), 혼백(魂魄)을 간직하는 반면 육부는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진액을 돌게 하는 기능을 ...2025.05.03
-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심장에 관하여 비교 서술하시오.2025.05.041. 한의학의 심장 한의학에서 심장은 해부학적 단위의 심장뿐만 아니라 정신활동으로서의 심장의 기능까지 포괄한다. 심장은 따뜻한 기운을 주관하는 장기로 보며, 심장의 에너지가 있기 때문에 심장이 뛸 수 있고 기능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심장은 감정을 비롯한 정신활동에도 관여하기 때문에 정신질환도 심장의 에너지 문제로 간주한다. 2. 서양의학의 심장 서양의학에서 심장은 심방과 심실로 구분되어 있고 혈액 순환을 주관하는 장기로 본다. 서양의학은 객관적으로 관찰 가능한 부분만을 심장의 영역으로 간주하며, 심장을 단순히 혈액순환을 담당하는...2025.05.04
-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심장에 관한 비교 분석2025.05.061.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차이 서양의학은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론을 통해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지만, 한의학은 사람의 체질과 증상에 따라 병증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처방을 내리는 의학이다. 또한 서양의학은 인체를 기계처럼 생각해 모든 장기나 기관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생명체라는 사실을 간과하지만, 한의학은 몸 전체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각 부분 간의 상호작용을 중시한다. 2. 한의학적인 심장의 개념 한의학에서 심장은 군주지관(君主之官)이라 하여 임금처럼 중요한 장기라고 하였다. 또한 오장육부 중에서도 가장 크고 생명...2025.05.06
-
음양오행이 실생활에 적용된 사례연구2025.05.051. 한의학과 음양오행 한의학에서는 병을 진단하기 위해 몸속을 직접 들여다보는 것이 아니라 증상으로 유추하여 알아낸다. 이때 음양론과 오행론이 중요한 이론적 기반이 된다. 음양론은 세상에 항상 상반되는 두 가지 성질이 존재한다는 것을 설명하며, 오행론은 인체의 다섯 장기를 오행에 대응시켜 설명한다. 이러한 이론들은 자연을 오랫동안 관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립되었다. 2. 오장육부와 삼초 한의학에서는 인체의 다섯 장기(오장)와 여섯 부위(육부)를 중요하게 여긴다. 이 중 담(쓸개)은 청정한 액(담즙)을 저장하고 배설하여 소화 작용을 ...2025.05.05
-
속명의유안 46卷四十六 소아학질 소아이, 소아이질, 소아학리, 소아수, 소아천수, 소아효, 소아허손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33페이지2025.01.271. 소아 학질 소아 학질은 더위로 인해 많이 발생하며, 처방서에는 담학, 식학, 한학, 열학, 장려학 등 다양한 유형이 있다. 어릴 때의 학질은 비위가 병들어 기가 겁내고 신이 약해 초기에 경간과 궐역이 많이 나타나며, 여름과 가을에는 경간으로 오인하기 어렵다. 학질 증상은 반드시 12경으로 나뉘며 기침 증상과 유사하다. 소아과 의사들이 단순히 소시호탕에서 인삼을 제거하거나 향유, 갈근 등을 사용하면 시호가 간음을 동요하고 갈근이 위액을 고갈시켜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소아과는 순양이며 더위는 열기로 증상이 반드시 열이 많은 번...2025.01.27
-
속명의유안 17권 탄탄, 위, 통비2025.04.271. 중풍 치료 중풍은 본래 원기가 허손하며 구토약제를 복용하고 반대로 원기를 손상하면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중풍 치료 시 인삼, 황기, 부자 등의 보약을 사용하여 원기를 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관원을 뜸뜨고 팔선단, 환골단 등의 단약을 복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2. 위축증 치료 위축증은 근육과 뼈의 문제로 발생하며, 간목이 주관하는 근육이 부족하거나 혈액이 부족하여 근육을 기르지 못하면 위축증이 생긴다. 따라서 위축증 치료 시 인삼, 황기, 당귀, 우슬, 녹용 등을 사용하여 기혈을 보하고 근육과 뼈를 강화하는 것...2025.04.27
-
본초품휘정요8권, 적지, 흑지, 청지, 백지, 황지, 자지,권백 한문 및 한글번역 8페이지2025.01.171. 적지 적지는 가슴속 결체를 주치하고 심기를 보익하고 중초를 보하고 지혜를 더해주고 건망을 없애고 오래 먹으면 몸을 가볍게 하며 항노화하고 수명을 연장하고 신선이 되게 한다. 2. 흑지 흑지는 소변융폐를 주관해 수도를 잘 나가게 하며 신기를 더하고 9구멍을 소통시키고, 총명하게 관찰을 잘하게 하며 오래 먹으면 몸을 가볍게 하며 수명을 연장하고 신선이 되게 한다. 3. 청지 청지는 주로 눈을 밝게 하며 간기를 보하고 정과 혼을 편안하게 하며 인자하고 용서하게 하며, 오래 먹으면 몸을 가볍게 해서 늙지 않게 하며 생명을 연장해 신선...2025.01.17
-
우리 역사 속 전염병과 방역의 역사2025.01.041. 전염병 치료와 방역의 역사 우리 역사 속에서 전염병에 대한 치료와 방역 방법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조상들은 민간요법과 한약재를 이용하여 병을 치료하였고, 특히 세종대왕, 정약용 등 역사적 인물들이 의학서를 편찬하여 백성들의 삶에 기여하였습니다. 또한 예로부터 전염병 발생 시 격리 조치를 취하는 등 현대와 유사한 방역 방식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은 오늘날 질병 예방과 치료에 많은 시사점을 줍니다. 1. 전염병 치료와 방역의 역사 전염병 치료와 방역의 역사는 인류가 직면해 온 가장 큰 ...2025.01.04
-
대국민건강캠페인 미병 캠페인의 형성 배경과 과정 및 평가에 관하여2025.01.261. 미병의 개념 미병은 과거부터 한의학과 서양의학에서 언급되어 온 개념으로, 뚜렷한 질병은 없지만 몸이 무겁고 피로한 상태를 의미한다. 미병은 현대사회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우리나라 성인의 47%가 건강상의 이유를 가지고 있음에도 병명이 없고 70% 이상이 병적인 피로감을 겪고 있다. 2. 미병 캠페인의 배경 미병 캠페인은 미병의 대중적 인지도를 높이고 직장인들의 건강 관리 인식을 재고하기 위해 매경헬스와 한국건강관리협회가 주최하였다. 정부기관, 대학병원, 기업 등이 참여하여 웹툰 연재, 이벤트, 검진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2025.01.26
-
속명의유안 42권, 소아 진 한문 및 한글번역2025.01.231. 소아 발진 (疹) 발진은 폐와 위의 열사 때문이니 초기 발생은 기침이 많으니 청열하고 독을 투과하여 기침을 그치게 하지 말아야한다. 발진뒤에 기침에는 단지 패모, 과루근, 감초, 맥문동, 쓴 길경, 현삼, 박하를 써 남은 열을 끄고 가래가 막음을 소멸하면 저절로 나으니 삼가 오미자의 수렴하는 약제 사용을 하지 말아야 한다. 많은 숨참이 있으니 숨참은 열사가 폐를 막음이며 삼가 숨참을 안정하는 약 사용을 말아야 하니 유독 대제의 죽엽, 석고에 정류, 현삼, 박하를 가미한다. 2. 발진 치료법 발진 치료법은 응당 청량하고 발산함을...202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