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7개
-
한국어교원2급. 외국어로서의 언어학개론2025.01.231. 운율의 정의와 특징 운율은 독립되어 발음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한글자 한글자로 발음되는 분절음과 실현되는 음성적 특징을 말한다. 운율은 리듬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여 발화시 특별하게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운율에 따라 발화의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게 때문에 운율이 중요하다. 운율적 특성으로는 억양, 성조, 음의 길이, 휴지 등이 있다. 2. 장음과 단음의 대립 우리말은 소리가 길고 짧음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장음인지 단음인지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성인(成人)'과 '...2025.01.23
-
한국어 단어의 형성요소를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2025.01.271. 한국어의 어근과 접사 한국어 단어의 형성에서 어근과 접사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어근은 단어의 기본적인 의미를 담고 있으며, 단어의 중심을 이루는 요소입니다. 접사는 어근에 결합하여 추가적인 의미를 부여하거나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는 형태소입니다. 접두사는 어근 앞에 붙어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며, 접미사는 어근 뒤에 결합하여 단어의 품사나 형태를 변형시킵니다. 2. 합성어와 파생어의 구분 합성어는 2개 이상의 독립적인 단어가 결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는 단어입니다. 파생어는 어근에 접사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가 형성되는...2025.01.27
-
중의적 표현의 종류와 특성2025.05.041. 어휘적 중의성 어휘적 중의성은 한 단어의 의미가 두 가지 이상으로 해석되어 일어나는 중의성이다. 다의어에 의한 중의성, 동음이의어에 의한 중의성, 동사의 상적 속성에 따른 중의성 등이 있다. 다의어에 의한 중의성은 하나의 단어가 둘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경우이고, 동음이의어에 의한 중의성은 형태는 같으나 의미가 다른 단어에서 발생한다. 동사의 상적 속성에 따른 중의성은 동작을 의미하는지 상태를 의미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2. 구조적 중의성 구조적 중의성은 문장의 구조적 특성에 의하여 한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해...2025.05.04
-
한국어 경어법의 분류와 특징2025.01.041. 한국어 경어법의 분류 한국어 경어법은 높임 대상과 높임 형식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높임 대상은 주체 경어법, 객체 경어법, 상대 경어법으로 나뉘며, 높임 형식은 격조사, 선어말어미, 종결어미, 특수 어휘 등으로 실현된다. 주체 경어법은 행동의 주체를 높이고, 객체 경어법은 행동의 대상을 높이며, 상대 경어법은 화자와 청자의 관계를 고려한다. 2. 한국어 경어법의 특징 한국어 경어법은 적절하게 사용하면 타인과의 관계 맺음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경어법 사용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상황 맥락에 의존하는 바가 크기...2025.01.04
-
한국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일상언어에서 활음과 관련된 음운 현상2025.01.061. 모어의 개념 모어는 태어나서 처음 배우는 언어로, 한 언어 화자가 가장 잘 알고 있는 언어이자 가장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배우게 되는 언어를 의미한다. 모어는 학습자의 민족적 근원을 표현해주는 언어이며, 단일민족 국가인 한국에서는 모어 개념 속에 민족적 근원을 강조하는 성향이 분명하다. 2. 활음의 개념 활음은 음운학 용어 중 하나로, 발음 시 기도 위에 공기 스트림을 불어내는 현상을 말한다. 한국어에서 활음은 'ㅍ(p)', 'ㅌ(t)', 'ㅊ(ch)', 'ㅋ(k)', 'ㅊ(ch)'와 같은 자음 앞에서 발생한다. 3. 활음 관련...2025.01.06
-
현대 한국어의 공손 표현 유형과 사용 양상2025.01.151. 규범적 공손 표현 한국어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공손 표현으로, 나이, 지위, 사회적 지위 등의 요소에 따라 사용되며 더 격식 있고 공손한 언어체계를 따른다. 존댓말, 호칭 어미, 대명사, 동사의 어미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전략적 공손 표현 특정 상황에서 적절하게 사용되는 공손 표현으로, 상대방과의 관계나 상황에 따라 공손 표현의 정도나 방식을 조절한다. 상대방의 나이, 지위, 성별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일상대화에서 규범적 공손 표현과 함께 사용된다. 3. 공손 표현의 중요성 한국 사회에서 적절한 공손 표현...2025.01.15
-
단어 및 그 파생과 합성 중 외국어 표현과 결합한 한국어 표현2025.01.171. 외국어와 한국어의 결합 현황 한국어는 외국어와의 빈번한 접촉을 통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화와 디지털 시대의 도래로 인해 외국어 표현이 한국어에 혼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새로운 단어를 생성하거나 기존 단어를 변형시키는 형태로 나타난다. 2. 외국어 표현의 파생어와 합성어 외국어 표현이 한국어에 융합되면서 다양한 파생어와 합성어가 만들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서핑', '인터넷 쇼핑', '셀카', '브런치' 등의 단어가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파생어와 합성어는 새로운 개념을 표현...2025.01.17
-
한국어와 다른 언어의 문장 유형의 차이점과 공통점2025.01.131. 평서문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의 평서문 특징을 설명하였다. 한국어는 평서문 표지가 있고 어순이 유연하며, 영어는 기본 어순을 따르고 동사 활용이 있다. 일본어는 기본 어순을 따르며 다양한 활용이 있고, 중국어는 기본 어순을 따르며 서술어 유형에 따라 문장이 구분된다. 2. 의문문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의 의문문 특징을 설명하였다. 한국어는 의문형 종결어미, 의문사 등의 표지가 있고, 영어는 어순 도치, 의문사, 조동사 'do' 등이 사용된다. 일본어는 억양, 의문첨사 등이 사용되며, 중국어는 의문첨사 '?'와...2025.01.13
-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2025.01.051. 품사 품사란 문장을 이루는 여러 단어들을 그 성질이 같은 것끼리 묶은 것으로, 단어를 기능, 형태, 의미에 따라 나눈 갈래이다. 단어가 문장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에 따라 체언, 용언, 수식언, 관계언, 독립언으로 분류되며, 형태에 따른 분류에는 가변어와 불변어가 있다. 공통된 의미에 따른 분류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관형사, 부사, 형용사, 동사, 감탄사가 있다. 2. 용언 본론에서는 문장의 주어를 서술해주는 기능을 하는 용언에 대해 알아보고, 용언에 해당하는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1....2025.01.05
-
한국어 ㄴㄹ비음화 유음화 교육방안2025.01.111. 한국어 /ㄴㄹ/연쇄 복합어에서 비음화와 유음화 현상 비음화는 비음이 아닌 소리가 비음을 만나 비음 [ㄴ,ㅁ,ㅇ]으로 발음되는 현상이고, 유음화는 유음이 아닌 소리가 /ㄹ/을 만나 유음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비음화와 유음화의 유형에는 장애음의 비음화, 유음의 비음화, 순행적 유음화, 역행적 유음화가 있다. 역행적 유음화 /ㄴㄹ/상황에서 한자어로서 의미의 분화가 있는 경우 유음화가 일어나지 않고 비음화가 일어난다. 한국어에는 /ㄴㄹ/연쇄를 가진 복합어 어휘의 순행적 비음화[ㄴㄴ]와 역행적 유음화[ㄹㄹ]의 표준 발음이 인위적...2025.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