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3개
-
호흡기계 환자간호2025.01.121. 기도개방 및 흉관배액 기도 개방을 위한 체위배액, 입술 오므린 호흡, 복식호흡, 두드리기와 진동 등의 간호중재를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흉관배액의 목적, 관리, 제거 등에 대해 자세히 다루었습니다. 2. 가스교환 증진 간호 산소요법, 기계적 환기, 진단검사 등 가스교환 증진을 위한 다양한 간호중재를 설명하였습니다. 특히 ABGA, VBGA, 폐기능검사 등 주요 진단검사 방법과 그 의의에 대해 자세히 다루었습니다. 3. 상기도 감염 간호 비출혈, 비용종, 폐쇄수면무호흡, 성대마비, 성대결절과 용종, 후두부종, 후두 내 이물질 등 ...2025.01.12
-
호흡기계 의학용어2025.01.151. 호흡기계 증상용어 호흡기계 증상용어에는 apnea(무호흡), dyspnea(호흡곤란), eupnea(정상호흡), orthopnea(기좌호흡), rales(수포음), stridor(협착음), anoxia(무산소증), pleural rub(가슴막마찰음), hemoptysis(객혈), hypoxemia(저산소혈증) 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폐질환, 기도 폐쇄, 호흡부전 등의 원인으로 나타날 수 있다. 1. 호흡기계 증상용어 호흡기계 증상용어는 호흡기 관련 질환이나 증상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들입니다. 이러한 용어들은 의사들...2025.01.15
-
태변흡인증후군 MAS 질병보고서2025.01.171. 태변흡인증후군 (MAS) 태변 흡인 증후군(MAS)은 정상적으로는 생후 48시간 이내에 배출되게 되는 태아의 태변이 태내에서 배출되어 양수 내에 있다가 분만 직전 또는 분만 도중에 이를 폐로 흡인하며 발생하는 질환군이다. 태변 흡인은 주로 위장관계가 태변을 배출할 정도로 성숙된 만삭아 및 과숙아에게 발생하며, 재태연령 34주 이상의 경우 태내에서 만성 또는 급성 저산소증에 노출된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태아의 폐로 들어간 태변은 독성 물질로 작용하여 부분적 기도 폐쇄, 이차적인 호흡 곤란, 폐렴, 패혈증, 심폐기능저하, 무...2025.01.17
-
성인간호학실습2 case study 급성 호흡곤란증후군(간호과정 3개)2025.01.291. 급성 호흡곤란증후군 급성 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은 갑자기 심한 호흡곤란, 저산소혈증과 미만성 폐침윤으로 과잉탄산증 없이 나타나는 급성 저산소성 호흡부전 증후군이다. 폐손상은 성인의 다양한 급-만성 질환으로 인해 발생한다. 좌심방 또는 폐모세혈관압의 상승 없이 염증과 폐투과성의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으로 동맥혈 산소분압과 산소흡입농도 비율(PaO2/FiO2), 즉 P/F ratio≤200mmHg인 경우를 말한다. 2. 기계환기 자발적 호흡으로 가스교환이 불...2025.01.29
-
A+받은 기흉 간호과정 진단5개, 과정2개 (급성통증,감염위험성)2025.01.291. 기흉 기흉(pneumothorax)은 흉막강에 공기나 가스가 고여 폐의 일부 혹은 전체가 허탈된 상태이다. 기흉은 재발이 매우 잘 되는 질환이며, 자연기흉이 더 흔하다. 기흉의 증상으로는 갑자기 시작되는 가슴 통증과 호흡곤란이 있다. 진단을 위해 X-선 촬영, 촉진, 동맥혈 가스분석 등이 시행된다. 치료로는 산소 투여, 흉관 삽입술, 흉막유착술 등이 있다. 간호중재로는 산소 투여, 흉관 관리, 통증 관리 등이 필요하다. 2. 급성 통증 수술 후 발생한 급성 통증을 관리하기 위해 활력징후 모니터링, 통증 사정, 진통제 투여, 비...2025.01.29
-
성인간호 기흉 케이스 진단5개, 간호과정12025.04.251. 기흉(Pneumothorax) 기흉은 폐를 둘러싸고 있는 흉막강(흉강)내에 여러 원인으로 인해 공기가 차게 되고 그로 인해 폐가 눌리면서 찌부러지기 때문에 제대로 호흡운동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호흡곤란이나 흉부 통증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한다. 기흉은 원인에 따라 외상없이 저절로 발생한 '자연 기흉'과 외상에 의해 발생한'외상성 기흉' 두 가지로 크게 구분된다. 2. 임상적 특성 기흉의 가장 중요한 두가 지 증상은 갑자기 발생되는 흉통과 호흡곤란이다. 흉통은 가장 흔한 증상으로 운동과는 관계없이 생기며 보통 24...2025.04.25
-
기흉 case study (간호진단 3개)(간호과정1개) (간호학)2025.04.271. 기흉의 정의 및 원인 기흉은 자연적 또는 외상에 의해 늑막강내에 공기가 차는 것이다. 흉부 외상이 있는 환자에게 기흉은 폐 실질 조직이나 기관지 또는 식도열상의 결과로 종종 일어난다. 임상적 상태는 공기의 누출비율과 상처의 크기에 따라 자연 기흉, 개방성 기흉, 긴장성 기흉으로 구분된다. 2. 기흉의 병태생리 1. 흉벽에 커다란 개방성 구멍이 있는 경우 환자는 다른 폐의 환기를 '도둑맞는'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 2. 폐의 1회 호흡량(tidal volume)의 일부분은 흉벽의 구멍을 통해서 앞뒤로 움직인다. 3. 자연기흉은 ...2025.04.27
-
성인간호학 농흉 문헌고찰2025.04.281. 농흉 정의 및 종류 농흉은 폐를 싸고 있는 두 겹의 가슴막(pleura) 사이에 화농성 액체 즉 농이 고인 상태로, 흉막액이 화농성이거나 또는 흉막액에서 세균이 검출되는 질환이다. 단순 농흉과 복합 농흉으로 구분된다. 2. 원인 대부분의 환자가 폐에 병변이 있어 이차적으로 흉막에 감염을 일으키며, 세균성 폐렴, 폐농양, 흉부외상, 자연 기흉, 폐결핵, 전신 패혈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3. 병태생리 농흉은 3단계로 진행된다. 1) 급성기 또는 삼출기: 염증반응으로 흉막이 붓는 단계 2) 이행기 또는 섬유소화농기: 세균이 ...2025.04.28
-
[EBS 명의] 숨못쉬는 고통, 폐질환 소감문, 간호과정2025.04.281. 폐렴 폐렴은 폐조직 내부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주로 세균에 의해 생기는 급성 감염이다. 공기 중에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나 곰팡이 등의 미생물 흡입 또는 코, 목, 입에 사는 폐렴구균 혹은 막대균 같은 세균이 침을 통해 폐로 넘어가면서 감염을 일으켜 발생한다. 폐렴이 생기면 폐포에 염증물질이 쌓여 산소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숨쉬기가 어려워지고 가래가 많이 생기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 기침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 밖에 두통, 발열, 오한 등의 전신적인 증상도 함께 나타난다. 또 한 번씩 흉막염이 동반되기도 한다. 2. 급성호흡...2025.04.28
-
네뷸라이저(Nebulizer) 정의, 목적, 장점, 적응증, 약물의종류, 사용방법, 절차, 주의사항2025.04.281. Nebulizer 란? 약물이 직접 콧속, 목구멍, 기관, 기관지에 닿게 하여 항염증, 항알레르기를 기대하는 치료법으로, 기관지 천식 및 급. 만성질환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액을 미세하고 균등한 입자 상태로 흡입하는 것을 말한다. 2. Nebulizer 목적 1) 기도를 습화 시켜 기관지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2) 기관지 경련 완화, 점막 부종을 감소시키며, 3) 기도에 직접 약물을 도포하는 것이 목적이다. 주로 기관지 확장제, 항생제, 점액용해제,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을 투여한다. 3. Nebulizer의 장점 1) 약...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