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개
-
현대 한국사회의 계층 간 빈부차 원인과 극복 방안2025.11.131. 소득 불평등 지표 한국의 지니계수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급격히 상승하여 2003년 0.314에서 2007년 0.352로 증가했다. 상위 10% 고소득층의 소득점유율은 1995년 45.5%에서 2005년 49.9%로 지속 증가하는 반면, 하위 40% 저소득층의 소득점유율은 1995년 33.7%에서 2005년 30.0%로 감소했다. 2016년 기준 지니계수는 0.348로 OECD 회원국 중 멕시코 다음으로 높으며, 상위 10% 소득계층의 평균소득은 하위 10% 계층의 9.6배 수준이다. 2. 고령화와 노인빈곤 빈곤층 가구주 ...2025.11.13
-
사회 정의와 불평등을 미적분 관점에서 접근하기2025.01.121. 로렌츠 곡선과 지니계수 로렌츠 곡선은 한 사회의 인구를 누적시킴에 따라 한 사회의 소득이 누적되는 비율을 나타낸 곡선이다. 로렌츠 곡선은 항상 (0,0)에서 시작해 (1,1)에서 끝나며, 완전균등상태의 로렌츠 곡선은 y=x의 그래프로 나타난다. 반대로 완전불균등상태에서는 빨간색 선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지니계수는 로렌츠 곡선과 완전균등선 사이의 면적(불평등면적)을 완전균등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지니계수가 0.4 이상이면 소득 불평등이 심한 상태로 분류된다. 2. 로렌츠 곡선의 미적분적 접근 로렌츠 ...2025.01.12
-
미분법과 적분법을 우리의 생활 속에 적용한 다양한 사례들2025.05.031. 미분법의 발견과 역사 17세기 영국의 수학자 뉴턴(Newton, I., 1642~1727)은 움직이는 물체의 위치와 속도를 연구하면서 미분법을 발견하였으나 이를 발표하지 않았다. 10여 년 후 독일의 수학자 라이프니츠(Leibniz, G. W., 1646∼1716)가 곡선 위의 한 점에서의 접선을 연구하면서 미분법을 발견하여 세상에 발표하였다. 이로 인해 영국과 독일의 수학자들은 오랜 기간 동안 미분법을 누가먼저 발견하였는가에 대하여 논쟁을 하였다. 오늘날에는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각각 독자적으로 미분을 발견했다고 보고, 두 수...2025.05.03
-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의 안전망 구조와 공공부조의 빈부격차 해소 효과에 대한 토론2025.05.051. 사회보장제도의 안전망 구조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제도의 안전망 구조는 크게 공적 부문과 민간 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적 부문에는 사회보험인 국민연금제도와 국민건강보험제도, 그리고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부조가 존재한다. 민간 부문에서는 사적연금과 민영건강보험, 저축 등이 존재하고 있다. 공공부조는 극빈의 예방, 사회적 배제의 축소, 유급노동에 대한 비유인의 최소화, 자립촉진 등을 목적으로 국가가 일반세입으로부터 재원을 마련하여 열악한 처지의 개인들을 돕는 사회·경제적 지원 제도이다. 2. 공공부조의 빈부격차 해소 효과 공공부조는...2025.05.05
-
사회정의론2025.05.031. 사회정의 사회정의론은 사회복지와 사회정의의 개념을 다룹니다. 희소한 자원의 확보와 분배에 있어서 사회구성원이 갖는 의무와 권리, 이윤, 임금, 복지 등 자원의 배분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정의의 개념이 필요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분배적 정의와 시정적 정의, 지니계수 등의 개념이 소개되며, J. 로크, J. 롤스 등의 사회정의론이 논의됩니다. 사회복지학과 철학의 관점에서 사회정의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접근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2. 분배적 정의 분배적 정의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개념으로, 재산, 권력,...2025.05.03
-
한국 사회의 소득불평등: 현황과 해결방안2025.11.111. 소득불평등의 정의 및 개념 소득불평등은 개인 또는 세대 간의 소득이 균등하지 못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노력이나 투자한 만큼의 결과가 나오지 않거나 출발선 자체가 다름으로써 발생하는 소득 격차를 말한다. 건강한 사회로의 성장을 방해하는 장애물이며, 이를 해결할 수 있어야 건강한 국가가 될 수 있다. 2. 한국의 소득불평등 현황 한국은 1980년대부터 IMF 위기 전까지 소득분배가 개선되었으나, 1998년 악화되었다. 지니계수로 측정한 결과 1990년대 중반부터 십여 년간 소득분배가 악화되었다. IMF 외환위기 이후 저소득층과...2025.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