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4개
-
아주대 물리학실험 1 측정과 오차2025.05.121. 반응시간 측정 실험 1은 말을 해주지 않고 떨어뜨린 자를 한 사람의 잡는 위치를 측정해 반응속도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처음에 이 실험 방식을 알았을 때, 실험을 하면 할수록 반응시간이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결과에서는 특별히 그런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고,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지만, 반응속도가 뒤죽박죽 측정이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여러 오차가 발생했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실험 진행시 사람이 자를 떨어트리기 때문에, 실험자의 손과의 각도가 정확한 90도로 맞추어지지 않았을 경우가 발생하여 오차가 생겨날 수도 있다. 이러한 ...2025.05.12
-
아주대학교 물리학 실험 결과 보고서 - 측정과 오차2025.05.161. 반응시간 측정 이 실험의 목적은 여러번의 측정 과정을 통해 오차를 추정하고, 평균값과 표준오차를 계산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자를 떨어뜨리는 과정을 5번 반복해서 실행했고, 처음 자를 놓고 반응속도 시간을 측정했을 때에는 자를 아예 잡지 못하는 경우가 여러번 발생했지만 실험 횟수가 늘어날수록 t_i = sqrt {2s_i over g} (msec) 의 식에서 떨어진 거리 s_i가 작아지면서 반응시간 짧아지는 값이 도출되었다. 2. 중력가속도 측정 이 실험은 포트게이트 타이머를 이용하여 여러번 자가 센서를 통과하게 떨어뜨려서...2025.05.16
-
측정과 오차 보고서2025.01.031. 반응시간 측정 실험을 통해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반응시간은 사람의 집중력과 관련이 있어 편차가 발생하였으며, 실험을 반복하면서 편차가 줄어들었다. 또한 자를 떨어뜨리고 잡는 과정에서 완전한 수직이 아니었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했을 수 있다. 따라서 여러 번의 실험을 통해 평균값과 표준편차, 표준오차를 구하여 실험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높일 수 있었다. 2. 중력가속도 측정 포토게이트 타이머를 이용해 투명자를 수직낙하시켜 중력가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중력가속도 값이 알려진 값과 달랐는데, 이는 실험자의 실험과정에서 오류가 발생...2025.01.03
-
[일반물리실험1] 측정 및 오차, 중력가속도(과학기술원 2023년 1학기 A+)2025.01.111. 버니어 캘리퍼스 버니어 캘리퍼스는 최소 눈금이 어미자 1mm, 아들자 0.05mm이며 외경, 내경, 단차,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기구이다. 영점을 확인한 뒤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물체에 맞춰 사용한다. 아들자의 0이 가리키는 어미자의 눈금을 먼저 읽고, 어미자와 아들자의 눈금이 일치하는 아들자의 눈금을 읽은 후 두 값을 더해 읽는다. 2. 마이크로미터 마이크로미터의 최소 눈금은 어미자 0.5mm, 아들자 0.01mm로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기구이다. 영점을 확인한 뒤 손잡이를 돌려 스핀들을 물체에 밀착시켜 사용한다. 어미...2025.01.11
-
자유낙하 운동과 포물체 운동 결과레포트2025.01.031. 자유낙하 운동 자유낙하 운동 실험에서는 피켓 펜스를 직접 낙하시킴으로써 시간 간격을 측정해 중력가속도가 존재함을 밝혔다. 실험 결과 속도가 증가하였으므로 외력이 존재함을 증명했다.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였으나 이론적인 중력가속도 값과 거의 유사한 값이 도출되었다. 오차의 주요 원인은 공기 저항과 피켓 펜스가 정확히 수직으로 떨어지지 않음으로 추정된다. 2. 포물체 운동 포물체 운동 실험에서는 각 성분에서 등속도, 등가속도 운동하는 물체의 운동 방정식을 통해 수평 이동 거리를 직접 계산하고 실제로 그 값과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측...2025.01.03
-
중력가속도 실험보고서2025.05.161. 중력가속도 실험을 통해 중력가속도가 물체의 질량, 부피에 상관없이 일정하다는 이론을 확인하였다. 낙하거리와 시간 측정을 통해 최소제곱법을 이용하여 중력가속도를 계산한 결과, 큰 공은 9.68 ± 0.06 m/s^2, 골프공은 9.89 ± 0.10 m/s^2, 작은 공은 9.49 ± 0.09 m/s^2의 값을 얻었다. 이는 국제 표준값 9.8 m/s^2와 근접한 결과로, 질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중력가속도로 운동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측정도구의 불확도와 공기저항으로 인한 오차가 발생하였다. 1. 중력가속도 중력가속도는 물체...2025.05.16
-
측정과 오차 실험 결과 레포트2025.05.161. 반응시간 측정 이 실험은 한 사람이 위에서 자를 떨어뜨리면 다른 사람이 아래에서 떨어지는 자를 잡는 실험이었다. 떨어진 거리를 통해 반응속도를 측정할 수 있었는데, 우리 조가 측정한 평균 반응속도는 201.4 msec, 표준오차는 7.4 msec으로 반응시간은 (201.4 ± 7.4) msec로 측정되었다. 표를 보면 편차가 꽤 큰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우연오차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실험을 10번이 아닌 더 많이 반복한다면 표준오차가 작아져서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2. 중력가속도 측정 이 실험은 타이...2025.05.16
-
A+ 만점 보고서_아주대학교 물리학실험1 등가속도 마찰력2025.01.291. 등가속도 운동 실험 1에서는 수평면에서의 수레의 운동이 등가속도 운동인지 알아보는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forward 방향과 backward 방향의 가속도 크기의 차이가 크지 않아 등가속도 운동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실험 2에서는 경사면에서의 수레의 운동을 측정하였고, 실험 3에서는 정지상태에서 출발하는 수레의 평균가속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등가속도 운동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마찰력 실험 1에서는 수평면에서의 마찰력을 측정하였고, 실험 2와 3에서는 경사면에서의 마찰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구름마찰...2025.01.29
-
A+ 아주대학교 물리학 실험1 물리진자 결과보고서2025.01.291. 물리진자 이 보고서는 아주대학교 물리학 실험1 수업에서 진행한 물리진자 실험의 결과를 다루고 있습니다. 실험에서는 막대, 고리, 구멍 등 다양한 강체를 이용하여 진동 주기와 관성 모멘트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중력가속도를 계산하였습니다. 실험 결과와 이론값을 비교하여 오차를 분석하고, 물리진자를 이용한 중력가속도 측정의 타당성을 논의하였습니다. 1. 물리진자 물리진자는 매우 흥미로운 물리학 개념입니다. 진자의 운동은 단순하지만 그 뒤에 숨겨진 복잡한 물리적 원리가 있습니다. 진자의 주기는 진자의 길이와 중력가속도에 의해 결정되...2025.01.29
-
물리2 및 실험 - 자유낙하실험 결과보고서 [해당과목 학점 A+]2025.04.251. 자유낙하실험 실험결과 속도-시간 그래프의 기울기로 얻은 중력가속도들의 평균과 실험 위치에서의 이론값 중력 가속도와 비교하였을 때 0.8%의 오차율을, 표에서 구한 가속도의 평균값의 평균과는 0.9%의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오차 발생의 대표적인 원인은 수행자의 실수로 야기된 피켓펜스의 간격 변화라고 생각한다.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프로그래밍 된 피켓펜스의 간격은 5cm이지만, 수행자가 피켓펜스를 낙하시킬 때 정확히 90도를 지키기 어려워 피켓펜스가 비스듬히 떨어지면서 실제 간격이 5cm보다 작게 인식되어 오차가 발생했을 것이다.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