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9개
-
성인+시뮬+접촉주의 병원성 감염균의 종류2025.04.261.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는 직/간접 접촉 및 오염된 의료기구, 환경을 통해 전파되며, 포도알균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균이지만 침습적인 시술이나 수술 등을 통해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화농성 염증, 식중독, 패혈증, 피부연조직 감염 등이 있으며,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전파경로 차단, 항생제 사용 주의, 손위생과 의료기구 소독/멸균 등이 필요하다. 2. VRSA(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2025.04.26
-
의료기관 격리주의 지침 (표준주의, 공기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2025.01.121. 표준주의 병원에 입원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혈액이 섞이지 않은 땀은 제외), 손상된 피부와 점막을 다룰 때 사용한다. 손위생, 개인보호구, 호흡기예절, 환자배치, 환자의 치료장비와 기구관리, 안전주사실무, 환경관리, 세탁물관리, 요추천자 시술 시 마스크 착용, 직원 안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2. 공기주의 5㎛ 이하의 비말핵이 먼 거리를 이동하여 전파되는 질병에 감염된 환자에게 적용한다. 결핵, 수두, 홍역, 파종성 대상포진 등이 해당된다. 격리병실이 필요하나 여의치 않으면 수두와 홍역에 한...2025.01.12
-
[임상통합실습] CRI 사례보고서 - 중환자실(ICU) 감염관련 사례2025.05.111. 중환자실 감염관리 이 사례는 중환자실에서 발생한 감염 관련 사례를 다루고 있습니다. 중환자실은 감염 위험이 높은 환경이므로, 의료진은 감염 예방을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 사례에서는 접촉 주의 환자에 대한 관리 절차를 준수하지 않아 발생한 문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중환자실 내 감염 관리를 위해서는 의료진의 철저한 개인 보호 장비 착용, 손 위생 준수, 환경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1. 중환자실 감염관리 중환자실은 중증 환자들이 집중 치료를 받는 곳으로, 이들은 면역력이 약하고 감염에 취약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2025.05.11
-
격리주의지침2025.01.031. 표준주의 표준주의는 모든 환자에게 적용되는 기본적인 감염 예방 조치입니다. 이에는 손 위생, 개인보호장비 사용, 안전한 주사 관행, 환경 청소 및 오염된 장비 관리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손상된 피부 및 점막과의 접촉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공기주의 공기주의는 작은 비말핵(5㎛ 이하)이 공기 중에 떠다니며 전파되는 감염 질환에 적용됩니다. 이러한 질환에는 결핵, 홍역, 수두 등이 포함됩니다. 공기주의 시 환자는 음압 격리실에 배치하고, 의료진은 N95 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3. ...2025.01.03
-
의료기관 격리주의 지침(표준주의/공기주의/비말주의/접촉주의)2025.01.281. 격리주의 격리의 정의, 격리의 목적, 의료기관 격리주의 지침에 대해 설명합니다. 의료기관에서 구분하는 격리주의 종류에는 표준주의와 전파경로별 주의(공기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가 있습니다. 2. 표준주의 병원의 모든 대상자에게 적용되며, 혈액, 체액, 분비물, 손상된 피부, 점막에 적용됩니다. 표준주의 적용방법으로는 손 씻기, 장갑 착용, 마스크/보안경/안면 보호대 착용, 가운 착용, 환자 처치기구 및 환경 관리 등이 있습니다. 3. 공기주의 감염을 유발하는 작은 입자(5μ이하)가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흡입에 의해 전파되는 ...2025.01.28
-
C.Diffile 균 간호2025.01.151. C.difficile 균 C.difficile은 그람 양성균으로 인해 발생하는 위막성 장염의 원인이다. 장기간 항생제 사용, H2 차단제 및 항암화학요법 등으로 인해 장내 세균총이 억제되면서 C.difficile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감염 예방을 위해 접촉주의 지침을 준수하고, 물과 비누를 이용한 손씻기가 중요하다. 1. C.difficile 균 C.difficile 균은 장내 세균총의 균형이 깨지면서 과도하게 증식하는 그람 양성 혐기성 세균입니다. 이 균은 주로 항생제 사용 후 발생하며, 심각한 설사와 장염을 유발할 수 ...2025.01.15
-
접촉주의 환자 이송 안내문2025.01.171. 접촉주의 접촉주의는 환자나 환자 주변의 기구 혹은 기구 표면 등에 있는 미생물이 접촉에 의해 다른사람이나 환경으로 퍼지는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적응하는 주의 지침입니다. 대상은 다제내성균, 옴,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증 등 접촉 격리 환자입니다. 2. 접촉주의 환자 이송 절차 접촉주의 환자 이송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손 위생을 시행하고 비닐 가운과 장갑을 착용한다. 2) 환자를 깨끗한 린넨을 이용하여 덮는다. 3) 침대 프레임 또는 휠체어 손잡이 부분을 소독티슈로 닦는다. 4) 사용한 비닐가운과 장갑을 벗고 손 위생...2025.01.17
-
표준주의와 전파경로별 주의(공기, 비말, 접촉) 정리 및 COVID2025.05.041. 표준주의 병원에 입원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 체액, 분비물(땀은 제외), 배설물, 손상된 피부와 점막을 다룰 때 적용한다. 이는 확인되거나 확인되지 않은 미생물의 전파위험을 감소하기 위해 적용한다. 장갑을 착용하고 장갑 착용 전후 손을 씻는다. 필요시 마스크, 보안경, 얼굴 가리개, 가운 등을 착용한다. 오염된 기구나 린넨은 미생물이 타인과 환경에 전파시키지 않도록 주의하며 정확히 소독 또는 폐기한다. 사용한 바늘이나 기구들로부터 손상을 예방하고, 뚫리지 않는 용기에 버린다. 호흡기 예절을 지킨다. 2. 전파경로별 주의...2025.05.04
-
접촉주의 병원성 감염균 조사 레포트2025.05.051.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은 메티실린(Oxacilline) 및 그 밖의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황색포도알균으로 인한 감염증이다. 포도알균은 사람의 피부나 구강인 후 점막 등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균이나 침습적인 시술이나 수술 등을 통해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2. 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반코마이...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