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0개
-
[결과보고서]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MOSFET Current Mirror 설계2025.05.101. MOSFET Current Mirror 이번 실험에서는 Cascade Current Mirror를 구현 및 측정을 하였다. 크기가 같은 mosfet 이용하여 기존 전 류와 같은 출력전류를 얻을 수 있고, 단일 current mirror보다 출력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 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Mosfet의 Drain, Source, Gate에 대한 전압, 전류 값을 통해 이들의 차이 값을 이용하여 저 항 값을 확인할 수 있다. 2. 전류 전원회로 설계 특정 전류(Reference current)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단일 c...2025.05.10
-
전기회로실험 A+ 10주차 결과보고서(신호 발생기의 동작원리)2025.05.071. 신호발생기의 동작원리 신호발생기는 다양한 주파수대의 매우 정확하고 안정성 있는 교류 전압을 출력한다. AF 신호발생기는 가청주파수영역을 수용하며, 상용 AF 신호발생기는 100kHz까지의 주파수영역을 갖도록 설계한다. 대부분의 신호발생기의 출력파형은 정현파이지만 일부 신호발생기에서는 구형파도 발생시킨다. 신호발생기의 일반적인 기능은 전원스위치, 출력조정, 범위조정, 주파수조정이다. 함수발생기는 각기 다른 모양의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파형을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함수발생기는 정현파, 삼각파, 구형파를 발생한다. 함수발생기의 기...2025.05.07
-
응전실1_전압체배회로_결과보고서2025.01.131. 전압 체배 회로 이 보고서는 전압 체배 회로에 대한 실험 결과를 다루고 있습니다. 실험 1에서는 회로를 구성하고 VM-G, VA-G, VP-G를 측정했습니다. 실험 2에서는 500Ω의 부하를 병렬로 연결하여 동일한 측정을 수행했습니다. 결과 분석에 따르면 다이오드의 개수 차이와 중간 저항으로 인한 전압 강하로 인해 측정값에 차이가 있었습니다. 또한 이상적인 상황이 아니어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했지만, 전압 체배 회로의 동작 원리를 잘 보여주는 실험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전압 체배 회로 전압 체배 회로는 입력 전압보다 ...2025.01.13
-
오실로스코프 사용법(약식보고서)2025.04.281. 오실로스코프 사용법 오실로스코프의 전원을 켜고 Acquire 버튼을 누른 후 XY 모드로 전환하여 휘점을 원점에 맞춥니다. DC 전압 입력 시 CH1과 CH2에 연결하여 전압 극성에 따른 휘점의 위치를 관찰하고, AC 전압 입력 시 함수 발생기를 통해 사각파와 사인파 출력을 관찰합니다. 또한 시간 눈금, 전압 눈금, 트리거 눈금을 조절하여 출력 신호의 변화를 확인합니다. 1. 오실로스코프 사용법 오실로스코프는 전자 회로 분석과 디버깅에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오실로스코프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숙지해야 합니다...2025.04.28
-
RC 회로(프로그램 이용)(약식보고서)2025.04.281. RC 회로 이번 실험에서는 RC 회로에서의 시간상수, 인가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계산해보고 고진동수 통과 여과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실험 1(시간 상수)에서는 전하가 충전되는 동안 축전기에 걸리는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통해 시간상수를 구하였습니다. 실험 2(위상차)에서는 진동수를 변화해가며 인가 전압과 저항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여 위상차를 계산하였습니다. 실험 3(고진동수 통과 여과기)에서는 RC 회로가 고진동수 통과 여과기로 사용될 수 있는지 ∆V_out/∆V_max 이론값과 실험값을 비교하여 알아보았습니다...2025.04.28
-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 실습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2025.05.131. 저항 측정 이 실험에서는 2-wire 측정법과 4-wire 측정법을 사용하여 고정저항, 병렬저항, 가변저항, 점퍼선의 저항을 측정하였다. 2-wire 측정법은 리드선의 저항과 접촉저항이 포함되어 오차가 크지만, 4-wire 측정법은 정전류를 흘려주어 리드선과 접촉저항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어 더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다. 실험 결과, 4-wire 측정법이 2-wire 측정법보다 이론값과 더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2. 전압 측정 건전지와 DC 전원 공급기의 출력 전압을 DMM으로 측정하였다. 건전지의 극성을 반대로 연결하면 절대...2025.05.13
-
전기회로설계실습 실습1 결과보고서2025.01.201. DMM을 이용한 저항 및 전압 측정 이 실험에서는 DMM을 이용해 고정저항 및 가변저항의 저항을 측정하였으며, 가변저항에서는 어떤 단자를 연결하는지에 따라 저항 변화 여부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점퍼선의 저항을 2-wire 측정법과 4-wire 측정법으로 측정함으로써 점퍼선 자체에 작은 저항이 존재함을 알고, 두 측정법 간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2. 건전지 전압 측정 건전지의 전압을 측정하였으며, 직렬과 병렬로 회로를 구성하여 직접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옴의 법칙이 성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DC Po...2025.01.20
-
전기회로설계실습 실습2 결과보고서2025.01.201. DC Power Supply 사용법 이 실험에서는 DC Power Supply에서 다이얼을 돌림으로써 모니터에 나타나는 CC와 CV를 통해 최대 전류와 최대 전압의 개념을 알 수 있었으며, 과전류가 흐를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게 되었다. 또한, DC Power Supply의 output 1, output 2 사이의 전압을 측정할 때는 (-) 단자끼리 측정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2. DMM 내부저항과 외부저항 관계 DMM은 내부저항보다 외부저항이 충분히 클 때 저항 측정이 정상적으로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측...2025.01.20
-
전류계의 분류기 및 전압계의 배율기 예비보고서2025.01.121. 전류계의 분류기 분류기(shunt)는 전류계에 병렬로 접속시켜서 전류의 측정범위를 넓히기 위한 일종의 저항기입니다. 분류기의 저항을 전류계와 병렬로 연결하면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m배로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분류기의 저항은 (m-1)배가 되도록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전압계의 배율기 배율기(multiplier)는 전압계에 직렬로 접속시켜서 전압의 측정범위를 넓히기 위한 일종의 저항기입니다. 배율기의 저항을 전압계와 직렬로 연결하면 전압계의 측정범위를 m배로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배율기의 저항은 (m-1)배가 되도록 계산할...2025.01.12
-
[A+]건국대 전기전자기초실험1 3주차 결과보고서2025.01.151. 온도에 따른 전기저항의 변화 본 실험에서는 온도에 따라 전기저항의 크기가 변화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입력 전압이 증가하면 전류도 증가할 것이며 이에 따라 저항이 변화한다. 이러한 현상은 온도와 관련이 있다. 대부분의 물질은 온도가 상승함에 전기 저항이 증가한다. 따라서 주어진 전압 또는 전류에서 저항이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 2. 등가저항을 이용한 등가회로 본 실험에서는 여러 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회로의 등가저항을 이론적으로 계산하고 실제 회로의 간략화된 등가회로를 구성하여 그 차이점을 실험적으로 알아보고 원...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