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3개
-
A+지역사회 보건사업 보고서2025.01.121. 근로자들의 운동량 감소 근로자들의 운동량 감소는 근골격계 질병 증가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파악되었다. 꾸준한 운동 실천을 통해 근골격계 업무상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2. 근로자들의 만성질환 증가 내방 근로자들 중 약 40%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뇌혈관질환의 기초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습관 및 직업적 위험요인이 크기 때문에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 3. 우울감 경험률 증가 근로자들의 우울감 경험률 증가는 심각한 건강문제로 파악되었다. 스트레스 관리와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프로...2025.01.12
-
지역 실습 보건사업계획 (건강증진사업계획)2025.04.271. 소음성 난청 예방관리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 결과 조사에서 직업병 유소견자(D1)의 질병 중 소음성 난청이 가장 많았으며, 전년대비 증가추세를 확인하여 소음성 난청 예방관리 사업을 선정하게 되었다. 청각기관이 85dB 이상의 강한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소음성 난청이 발생하며, 대부분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음역이 섞여있는 소음으로 인해 청력 손상이 야기된다. 사업 목표는 2022년 12월 31일까지 00사업장(80명) 근로자의 현재 난청 발생율을 8명에서 4명으로 감소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월 1회 현장 관찰을 통...2025.04.27
-
소음성난청 케이스 / 필요한 자료는 다 있음(간호진단2개, 간호과정1개)2025.04.281. 소음성 난청 소음성 난청은 85~90dB 정도의 소리에 장시간 노출되거나 90dB 이상의 소음에 갑자기 노출되었을 때 발생한다. 직업적으로 과도한 소음에 노출되는 사람에게 발생하기 쉬우며 큰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었거나 이독성 약물의 섭취, 만성 중이염 등에 의해 생기기도 하고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경우가 많다. 소음성 난청의 특징은 대개 4kHz에서 가장 심하고, 아래 음역으로 확대되어 회화음역(500~4,000Hz)까지 확대되며, 초기 고음역에서 청력손실이 현저하고 내이의 모세포에 작용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이다....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