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감염관리실_감염 순회 보고서 (감염 라운딩)_병원2025.01.121. 감염관리 순회 보고서 감염관리 순회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6월 5일부터 16일까지 병동, 재활치료실, 응급실, 주사실, 처치실, 외래, 종검실, 영상의학과, 채혈실, 진단검시실, 수술실, 공급실, 조리장 등 다양한 부서를 대상으로 손위생, 의료기구 세척 및 소독관리, 의료폐기물, 격리환자 관리, 의료기구관리 등 5개 분야 55개 세부항목을 점검했다. 점검 결과 전체 준수율이 1차 54.8%에서 2차 65%로 상승했으며, 내시경실, 병동, 수술실 공급실 등에서 높은 수행률을 보였다. 반면 외래, 응급실, 처치실 등의 수행률...2025.01.12
-
감염관리실_응급실, 주사실 감염순회체크리스트 및 항목 선정의 근거자료_병원2025.01.121. 손위생 모든 환자 접촉 전 후 손 위생을 실시하는지 확인하고, 알코올젤이 사용하기 편한 곳에 비치되어 있으며 청결하고 작동이 잘되는지, 개봉된 알코올젤과 물비누에 유효기간이 표시되어 있는지, 손위생용 싱크에 비누와 종이타월이 구비되어 있고 손위생 방법이 게시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2. 의료기구 관리 멸균물품과 청결물품이 구분되어 보관되어 있고 선입선출 원칙을 준수하는지, 개봉한 소독제와 멸균캔의 개봉일과 유효기간이 적절한지, 유효기간이 경과한 물품이 없는지, 드레싱 카트와 각종 의료기구의 관리가 적절한지, 소독티슈와 소독제 희...2025.01.12
-
의료기관 감염관리2025.01.241. 의료관련감염 관리의 역사 의료관련감염 관리의 역사는 1800년대 초부터 시작되었으며, Semmelweis와 Nightingale 등 선구자들에 의해 환경관리를 중심으로 병원감염관리가 시작되었다. 1950년대 페니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감염이 집단 발생하면서 병원감염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했고, 1958년 영국에서 처음으로 감염관리간호사가 배치되었다. 1960-70년대에는 기회감염환자가 증가하면서 더욱 광범위한 차원에서의 감염관리에 대해 고려되었다. 미국 질병관리센터에서는 1960년대부터 모든 의료기관에서 병원감염관리를 하도록 ...2025.01.24
-
CQI 사례분석 보고서2025.05.011. 낙상 발생 감소 활동 간호관리학 실습 보고서에서는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접근방법으로 구조적, 과정적, 결과적 접근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간호단위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중 하나로 낙상 위험성이 제기되었습니다. 낙상 발생 감소를 위한 목표로 3개월 동안 낙상 발생건수 5회 미만, 낙상 예방교육을 받은 환자의 낙상 위험도 25점 이하 유지, 간호사의 낙상 예방활동 체크리스트 인지 및 실행, 투약 시 낙상교육 실시 등을 설정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투약 시 낙상교육 실시, 낙상 고위험군 표시, 낙상 예방활동 체크리스트 활용, 낙상 예방...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