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07개
-
고혈압의 병태생리, 진단, 치료 및 간호2025.11.151. 고혈압의 정의 및 진단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상태로 1단계와 2단계로 분류된다. 진단은 혈압 측정으로 시작하며, 원인 파악과 합병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검사, 심전도, 흉부 X선, 안저검사, 요검사 등 다양한 검사를 수행한다. 혈압은 연령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연령에 90을 가산한 수치를 표준정상치로 본다. 2. 고혈압의 병태생리 및 조절기전 혈압은 심박출량과 전신혈관저항의 곱으로 결정되며, 5가지 조절기전으로 유지된다. 동맥압 수용체는 혈압 수준을 감시하고...2025.11.15
-
정신건강간호학 약물요법 및 간호사의 약물관리2025.11.151. 항정신병 약물 항정신병 약물은 정형과 비정형으로 분류된다. 정형항정신병약물은 도파민 수용체 차단으로 양성증상 치료에 효과적이나 음성증상 악화 위험이 있고 추체외로증상 등 부작용을 유발한다. 비정형항정신병약물은 도파민과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하여 양성증상 치료와 음성증상 개선을 동시에 달성하며 부작용을 감소시켰다. 클로르프로마진, 할로페리돌, 클로자핀, 아리피프라졸 등이 대표 약물이다. 2. 항우울제 항우울제는 우울증 치료에 주로 사용되며 강박장애, 공포증 등에도 적용된다. 삼환계 항우울제, 모노아민 산화효소 저해제, 선택적 세...2025.11.15
-
당뇨병 약물요법 및 인슐린 치료2025.11.151. 경구혈당강하제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경구혈당강하제는 5가지로 분류된다. 설폰요소제는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며 저혈당이 주요 부작용이다. 메글리티나이드제는 빠른 흡수와 짧은 반감기로 식사직전 투여에 효과적이다. 바이구아나이드제는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고 비만 당뇨인에 효과적이다. 알파-글루코사이드 억제제는 식후 혈당상승을 감소시키며, 티아졸리딘디온제는 인슐린 감수성을 촉진한다. 이들 약제는 단독 또는 병합요법으로 사용되며 HbA1c를 0.5-1.5% 감소시킨다. 2. 인슐린 종류 및 작용 인슐린은 당질, 단백질, 지방 대사에 필...2025.11.15
-
쇼크 환자 간호 요약정리2025.11.151. 쇼크의 정의 및 원리 쇼크는 부적절한 순환으로 신체 세포와 조직이 대사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여 조직 기능에 장애가 오는 응급상황입니다. 조직의 산소화는 동맥관류 정도에 따라 달라지며 평균동맥압과 관련이 있습니다. 평균동맥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전체 순환혈액량, 심박출량, 혈관의 크기입니다. 전체 순환혈액량 또는 심박출량이 감소하거나 혈관이 이완되면 평균동맥압이 떨어지고 조직에 공급되는 혈류가 감소하여 세포에 산소와 영양공급이 감소되어 쇼크가 나타납니다. 2. 쇼크의 분류 및 원인 쇼크는 저혈량성, 심인성, 아나필락틱...2025.11.15
-
페니실린 항균제의 작용기전과 임상 적용2025.11.171. 페니실린의 작용기전 페니실린은 세균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펩티도글리칸 사슬의 교차결합을 형성하는 트랜스펩티다아제 효소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세포벽 합성을 방해한다. 페니실린은 펩티도글리칸의 펜타펩타이드 말단의 알라닌 잔기와 유사한 구조를 가져 효소의 활성 부위에 비가역적으로 결합하여 세균의 세포벽을 약하게 만들고 삼투압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용해를 유도한다. 이는 그람양성균에 가장 효과적이며 연쇄상구균과 포도상구균 등에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2. 페니실린의 특징과 투여 시 주의사항 페니실린은 대부분 신장으로 배설되므로 신...2025.11.17
-
성인 간내담관암 환자의 급성통증 간호사례2025.11.181. 간내담관암(Perihilar Cholangiocarcinoma) 간내담관암은 간문부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본 사례의 72세 여성 환자가 진단받은 질환입니다. 환자는 2023년 7월 12일 우측 삼분절 절제술(Rt. trisegmentectomy)을 시행받았으며, 수술 후 외과 중환자실에서 경과관찰 중입니다. 진단 검사 결과 오른쪽 흉막 삼출액 증가, 총단백질 감소(4.5), 알부민 감소(2.3) 등의 이상소견이 확인되었습니다. 환자는 10년 전 고지혈증 진단을 받았으며, 입원 중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도 진단받았습니다...2025.11.18
-
급성췌장염 환자 간호사례 연구2025.11.181. 급성췌장염(Acute Pancreatitis)의 병태생리 급성췌장염은 췌장세포의 염증, 탈락, 괴사가 급격히 진행되는 질환으로, 지방분해과정에서 리파아제 효소에 의해 외분비 세포가 괴사되고 저칼슘혈증이 발생한다. 단백분해과정에서 트립신이 활성화되어 자가소화를 일으키며, elastase가 혈관벽과 췌관의 탄력섬유를 녹여 출혈을 초래한다. 염증반응으로 백혈구가 모이면서 화농이나 농양이 형성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석회화와 섬유화가 일어나 가성낭종이 된다. 정상 기능으로 완전히 회복되거나 만성췌장염으로 진행할 수 있다. 2. 급성...2025.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