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1개
-
환자안전 사건 분석 보고서2025.01.021. 수술 중 거즈 누락 1993년 A씨는 제왕절개수술을 받은 후 20년 뒤 다른 수술 중 자궁에서 거즈 뭉치가 발견되었다. 이는 수술 전후 거즈 개수 확인 절차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발생한 문제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 수술 전후 3회의 거즈 개수 확인과 함께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의 double check가 필요하다. 2. 투약 오류 고혈압 환자에게 혈압강하제 대신 혈압상승제가 투여되어 부정맥이 발생한 사례가 있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투약 시 5대 원칙(Right Patient, Right Drug, Right Dose, R...2025.01.02
-
신생아 황달 케이스 보고서2025.01.041. 신생아 황달 신생아에서 황달은 소아과 외래에서 흔히 보는 증상 중의 하나로 피부에 빌리루빈이 침착되어 노랗게 되어 발견하게 되는 경우이다. 이는 만삭아의 60%, 미숙아의 80%에서까지 발견된다. 신생아에서 황달이 흔한 이유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신생아기의 혈색소의 70%를 차지하는 주성분인 Hb F의 상대적인 짧은 수명과 신생아간의 빌리루빈 제거 능력의 저하로 인한 것이 주 원인이 된다. 이를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계속적인 간호지식과 기술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질병의 원인과 증상, 진단, 치...2025.01.04
-
NRP 신생아소생술 (사례포함)2025.01.051. 신생아소생술 신생아소생술(NRP, Neonatal Resuscitation Program)은 신생아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체계적인 절차와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신생아의 상태를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처치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소생술 필요 여부 예측, 초기 처치, CPAP 시행, 양압환기 시행, 흉부압박, 약물 투여, 혈관 확보 방법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신생아의 생명을 구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1. 신생아소생술 신생아소생술은 신생아가 출생 직후 호흡이나 심장 기...2025.01.05
-
정상신생아 케이스2025.01.131. 신생아의 정의 및 특성 신생아는 출생 후 4주까지의 아기를 말한다. 신생아기는 모체로부터 독립하여 스스로 생리 조절을 해야하는 시기로, 호흡, 순환기계 등 신체의 각 부분이 많은 변화를 겪는 시기이다. 사망률 및 이환률이 높아 영아 사망률의 2/3를 차지한다. 2. 신생아의 신체사정 신생아의 신체사정은 머리에서 발끝(Head to Toe)으로 진행하며, 필요한 물품과 기구를 준비한다. 아동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협조와 참여를 격려하며, 피부, 두부와 경부, 코와 구강, 눈, 귀, 심장, 흉부, 복부, 생식기, 근골격계...2025.01.13
-
신생아AGE 신생아급성위창자염 A+,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2025.01.131. 신생아 급성 위장염 신생아 급성 위장염(AGE)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의 감염으로 인해 위와 장에 염증이 생기며 구토, 설사 또는 둘 다를 유발하는 위장관 질환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지속적인 설사, 탈수 등이 있으며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간호 중재로는 체온 및 수분 전해질 모니터링, 해열제 투여, 수액 공급, 항생제 투여, 피부 관리 등이 포함된다. 2. 신생아 간호 신생아 간호에서는 신생아의 생리적 특성과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 신생아의 활력징후, 수분 섭취량, 배뇨/배변 상태, 피부 상...2025.01.13
-
신생아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진단1개 평가까지 포함)2025.01.131. 신생아의 특성 신생아의 활력징후, 두부, 위장계, 순환계, 감각발달 등 다양한 특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신생아의 생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간호 실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2. 신생아 건강증진 신생아 건강증진을 위한 방법으로 아프가 점수 평가, 출생 직후 및 24시간 이내 간호, 체온 유지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신생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간호 중재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3. 신생아 수유 신생아의 영양 공급, 모유 수유의 장점, 인공 수유 시 고려사항 등 신생아 수유와 관련된 내용을 자세히 설명하고 ...2025.01.13
-
A+ 제왕절개 문헌고찰!2025.01.131. 제왕절개술 제왕절개술은 복부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수술이다. 항생제 발달로 모아 사망률이 감소했지만 질 분만에 비해 모아에게 미치는 위험률은 2배 이상이다. 2. 제왕절개술의 현황 제왕절개분만 빈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미국의 경우 1970년 5.5%에서 1988년 24%로, 우리나라의 경우 1994년 31.5%에서 1999년 39.2%로 증가했다. 주요 원인은 반복수술 증가, 초산부 증가, 노령임산부 증가, 태아곤란증 발견률 증가 등이다. 3. 제왕절개술의 적응증 모체측 요인으로는 난산, 모체 질병, 중증 감염, 과거 ...2025.01.13
-
정상 분만 CASE STUDY(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2개)2025.01.131. 분만의 5요소 분만에는 태아, 산도, 만출력, 산부의 자세, 산부의 심리적 반응 등 5가지 요소가 관련되어 있다. 태아의 머리 크기, 선진부, 태위, 태세, 태향 등이 분만 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산도는 단단한 골반의 뼈 부분과 연한 조직으로 구성된다. 분만에 필요한 힘은 자궁 수축과 산부의 복부 근육 수축이며, 산부의 자세와 심리적 반응도 분만 과정에 영향을 준다. 2. 분만의 전구증상 분만이 시작되기 전에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하강감, 가진통, 이슬, 양막 파열, 자궁경부의 변화 등이 있다. 하강감은 태아의 머리가 골반강 내...2025.01.13
-
정상 신생아의 생리적 변화2025.01.131. 정상 신생아의 출생 직후 생리적 변화 신생아가 숨을 쉴 수 있도록 흡입 기구로 입, 코, 및 목에서 점액과 기타 이물질을 부드럽게 제거한다. 두 개의 집게로 신생아의 탯줄 양쪽을 꽉 쥐어서 집게 사이의 탯줄을 절단한다. 출생후 1분과 5분에 아프가 점수를 사정하고 신생아의 상태가 안정적이면 머리둘레, 체중,키 등을 측정한다. 체온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신생아를 따뜻하게 유지한다. 에리스로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과 같은 항생제를 몇 방울을 눈 속에 떨어뜨려 분만 시 신생아가 접촉했을 수 있는 유해한 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한다. 2...2025.01.13
-
A+ 제왕절개 간호과정(문헌고찰, 사정,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2개) 자세함!!2025.01.131. 제왕절개 제왕절개분만은 산부의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외과적 술법으로 제왕절개술이라고도 한다. 제왕절개술은 자궁하부절개와 고전적 절개의 2가지 유형이 있으며,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것은 자궁하부 절개방법이다. 제왕절개술의 적응증으로는 아두골반 불균형, 태아의 위치 이상, 자궁기능 부전, 과거 제왕절개술 시행 등이 있다. 수술 과정은 복부 절개, 자궁벽 절개, 태아 분만, 태반 꺼내기, 자궁 및 복벽 봉합 등으로 이루어진다. 수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은 자궁내막염이며, 수술 부위 감염, 요로감염, 위장관계 합...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