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개
-
관형사, 부사와 관형어, 부사어의 차이 설명2025.04.301. 관형사와 관형어 관형사는 보통 명사 앞에 놓여서 이들을 꾸며주는 말들을 통틀어 가리키는 말이며, 뒤에 오는 명사가 나타내는 의미를 한정해 준다. 반면 관형어는 명사가 나타내는 성분 앞에 놓여 이를 수식해 주는 말로, 관형어가 없어도 문장은 성립하므로 필수 성분은 아니다. 관형사와 관형어의 차이는 전자가 품사의 한 종류이고 후자가 문장성분의 한 종류라는 점이다. 2. 부사와 부사어 부사는 주로 동사나 형용사, 부사, 문장 등의 앞에 위치하여 이들을 수식해 주는 말이다. 반면 부사어는 주로 서술어를 꾸미는 문장성분으로, 다른 부사...2025.04.30
-
관형사, 부사와 관형어, 부사어의 차이를 설명하시오2025.05.151. 관형사 관형사는 한국어만의 고유한 특성을 잘 보여주는 품사이다. 관형사는 형태적으로 외부적으로 조사가 결합될 수 없고 내부적으로 어미의 활용을 하지 못하는 불변어에 속한다. 기능적으로는 뒤에 놓이는 명사 또는 명사구를 수식하는 수식어에 해당한다. 관형사는 의미적 특성에 따라 지시관형사, 수관형사, 성상관형사로 구분된다. 관형사는 문장에서 관형어로만 쓰이며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제약이 있다. 2. 부사 부사는 용언이나 다른 말 앞에 놓여 그 말의 뜻을 분명히 제한해 주는 품사이다. 부사는 관형사와 달리 용언을 수식한다는 점...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