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자율신경계 약물 정리(과제)2025.01.121. 교감신경(아드레날린) 교감신경이 자극되면 동공이 확대되고 심장과 기관지가 확장되며 노르에프린과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이 분비됩니다. 소화는 억제되고 포도당 분비가 증가하여 에너지를 대비하게 됩니다. 또한 방광을 이완시켜 뇨의를 느끼지 않게 하고 동공이 확대되며 침분비가 억제됩니다. 심박수와 혈압도 상승하게 됩니다. 교감신경 자극제는 이러한 작용을 돕고, 교감신경 억제제는 이러한 작용을 억제합니다. 2. 교감신경 자극(+) 교감신경 자극제, 아드레날린성 약물의 대표적인 약물은 phenylephrine입니다. 이 약물은 알파1 수...2025.01.12
-
약리학 자율신경계 약물 정리2025.01.161. 자율신경계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로 구성되며, 각각의 수용체와 작용 기전이 다르다. 교감신경계는 주로 α와 β 수용체를 통해 작용하며, 부교감신경계는 주로 무스카린성 수용체를 통해 작용한다. 이러한 자율신경계 약물들은 각 장기와 기관에 다양한 작용을 나타내며, 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2. 교감신경 효현제 교감신경 효현제는 β2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기관지 확장, 심장 박동수 및 수축력 증가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Albuterol, Fenoterol, Ritodrine 등이 있으며...2025.01.16
-
약리학 자율신경계 부교감신경 약물2025.01.161. 부교감신경 효현제 (agonist) 부교감신경 효현제는 M1 수용체에 작용하여 자율신경절, 중추신경, 심장, 평활근, 분비선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주요 작용으로는 심장 박동수 및 수축력 저하, 중추신경 평활근 수축, 분비선 분비 항진 등이 있습니다. 분자기전으로는 PLC 활성화를 통한 IP3 및 DAG 생성, 세포내 Ca2+ 증가, PKC 활성화, K+ 통로 활성화, AC 억제 등이 관여합니다. 2. 부교감신경 길항제 (antagonist) 부교감신경 길항제는 M1, M2, M3, M4, M5 수용체에 작용하여 부교감신경 효...2025.01.16
-
인체생리학 - 자율신경계2025.01.171. 신경계의 분류와 자율신경계 신경계는 크게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와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 PNS)로 나눌 수 있다.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며 뇌(brain)와 척수(spinal cord)로부터 나와 이어지는 뉴런들은 말초신경계에 속한다. 말초신경계는 구심성 신경(afferent nerve)과 원심성 뉴런(effernet nerve)로 구성된다. 감각에 대한 정보는 구심성 뉴런을 통해 중추신경계를 거쳐 원심성 뉴런을 통해 운동성 반응을 일으킨다....2025.01.17
-
자율신경계의 불균형과 회복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2025.01.271. 자율신경계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두 신경계가 상호 길항작용을 하며 인체의 생명 유지와 활동을 조절한다. 자율신경계의 불균형은 심혈관계 질환, 우울증, 공황장애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이완요법, 마음챙김/명상 등의 방법이 효과적이다. 2. 심박변동 심박변동은 자율신경계의 활성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호흡에 동기된 심박수의 변화를 의미하는 호흡성 동성 부정맥(RSA)이 중요하다. 이는 뇌간의 호흡중추와 심혈...2025.01.27
-
인체구조와기능 심장(심장주기, 심음, 심박출량, 프랭크-스탈링의 법칙, 자율신경의 작용)2025.05.071. 심장주기 심장은 심방이 먼저 수축하고 심실이 이완이 되어야만 한 번이 끝남. 심실이 이완되고 나면 다시 심방 수축이 되는데 이것처럼 심방수축의 개시에서 다음 심방수축 개시까지를 심장주기라고 한다. 정상적인 사람의 심장주기는 0.8초이며, 심방수축기(0.11초) → 심실수축기(0.27초) → 심실확장기(0.42초)로 구성된다. 2. 심음 심장에서 나는 소리로, 주로 판막이 닫힐 때 발생한다. 제1 심음(S1)은 방실판막이 닫힘에 의해 발생하며, 제2 심음(S2)은 반월판막이 닫힘에 의해 발생한다. 제1 심음이 제2 심음보다 크게...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