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3개
-
감염관리실 미화부 관련 부착물 PPT2025.01.281. 미화부 오물 처리실 관리 감염예방을 위해 오물 처리실 관리 시 외부인 출입 통제, 보호구 착용(마스크, 장갑, 긴팔 가운 또는 앞치마, 필요시 보안경), 오물 변기 사용 후 세척 및 뚜껑 닫기, 환경 소독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른 관리 등의 기본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2. 미화부 손 위생 시점 미화부 직원은 환자 접촉 전·후, 장갑 착용 전·후, 쓰레기 및 오물 처리 후, 환자 주변 환경 접촉 후, 격리 병실 출입 전·후 등 다양한 상황에서 손 위생을 실시해야 한다. 3. 미화부 청소 및 소독 관리 청소 절차, 청소 도구 관리...2025.01.28
-
병원감염의 원인과 예방, 미생물학2025.05.031. 병원감염의 원인 병원감염은 매우 다양하고, 낙상, 투약 오류 등 다른 환자안전사고와는 달리 감염경로나 원인을 명확하게 감별하기 어려워 병원 내 감염관리는 다각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병원감염은 내인성 감염과 외인성 감염으로 나뉠 수 있다. 내인성 감염은 환자 자신의 구강, 장 등에 정착하고 있는 세균에 의해서 유발되는 감염이며, 외인성 감염은 외부에 있는 균이 들어와서 발생되는 감염으로 의료진의 손에 묻은 미생물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침입해서 발생할 수 있다. 2. 병원감염의 사례 항생제 사용량이 많고 감염에 취약한 기저질환이...2025.05.03
-
다제내성균2025.01.161. 다제내성균 (Multi-Drug Resistant Organism : MDRO) 다제내성균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어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몇 안 되는 세균입니다. 일반적으로 3가지 계열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면 다제내성(multidrug resistant), 1-2가지 계열을 제외한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면 광범위내성(extensively drug resistant), 모든 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면 범약제내성(pandrug resistant)이라고 합니다. 다제내성균은 항생제 투여로 인해 정상...2025.01.16
-
감염관리실_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_병원2025.01.171. 다제내성균 정의와 격리 다제내성균은 한 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미생물을 의미하며, 2급 및 4급 감염병으로 관리되고 있다. 다제내성균 환자 격리 시 접촉주의를 적용하며, 격리실 입실 우선순위, 격리 기준 및 해제 기준 등을 설명하고 있다. 2. 다제내성균 진단 검사 다제내성균 진단을 위해 원발부위와 보균검사를 동시에 시행하며, 검체 채취 부위는 감염균주에 따라 다르다. 능동감시를 위한 보균검사 검체 채취 부위와 검사 처방 예시를 제공하고 있다. 3. 다제내성균 진단 기준 다제내성균 진단 기준은 항생제 감수성 결과 해...2025.01.17
-
감염관리실_격리 병실 관련 게시물 PPT(전파경로별 격리표식, 보호구 착탈의 등)2025.01.291. 접촉주의 접촉주의는 환자나 환자 주변의 기구 혹은 기구 표면 등에 있는 미생물이 접촉에 의해 다른사람이나 환경으로 퍼지는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적응하는 주의 지침입니다. 대상은 다제내성균, 옴,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증 등입니다. 환자 손을 통한 세균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자주 손위생을 시행하고, 가능한 병상에 머무르며 다른 환자와 접촉을 자제합니다. 보호자, 간병인은 병실 내에서 비닐가운과 장갑을 착용하고 병실 밖으로 나올때는 보호구를 벗어서 버립니다. 2. 비말주의 비말주의는 말하거나 기침, 재채기를 할 때 나오는 작은 ...2025.01.29
-
접촉주의 환자 이송 안내문2025.01.171. 접촉주의 접촉주의는 환자나 환자 주변의 기구 혹은 기구 표면 등에 있는 미생물이 접촉에 의해 다른사람이나 환경으로 퍼지는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적응하는 주의 지침입니다. 대상은 다제내성균, 옴,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증 등 접촉 격리 환자입니다. 2. 접촉주의 환자 이송 절차 접촉주의 환자 이송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손 위생을 시행하고 비닐 가운과 장갑을 착용한다. 2) 환자를 깨끗한 린넨을 이용하여 덮는다. 3) 침대 프레임 또는 휠체어 손잡이 부분을 소독티슈로 닦는다. 4) 사용한 비닐가운과 장갑을 벗고 손 위생...2025.01.17
-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및 간호2025.01.041.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다제내성균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어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몇 안 되는 세균입니다. 국가에서 지정한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CRE), 다제내성 녹농균(MRPA),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MRAB) 등 6 가지입니다. 이러한 다제내성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환자 격리, 무균술 적용, 손 위생 실시, 보호구 착용, 의료기구 소독 등의 감염관...2025.01.04
-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 보고서2025.01.051. 다제내성균이란? 다제내성균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어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몇 안 되는 세균입니다. 일반적으로 세 가지 계열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면 다제내성이라고 합니다. 국가에서 지정한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에는 MRSA, VRE, VRSA, CRE, MRPA, MRAB 등 6가지가 있습니다. 2. 다제내성균감염증 분류 다제내성균감염증에는 MRSA, VRE, VRSA, CRE, MRPA, MRAB 등이 있습니다. 각각의 정의, 원인, 감염경로, 임상증상, 국내 현황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3....2025.01.05
-
병원감염관리, 병원감염의 종류와 관리방법2025.01.211. 감염관리의 기본원칙 감염관리의 기본원칙에는 표준주의, 개인보호장구 사용, 호흡기 에티켓, 환자 배치, 환자 치료기구 및 물품 관리, 환경관리, 린넨 관리, 요추천자시술, 의료인의 안전, 안전한 투약 행위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미생물의 전파를 감소시키고 의료관련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무균술 무균술은 손이나 표면, 기구 등에 의해 미생물이 강수성 있는 숙주에 전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내과적 무균술과 외과적 무균술로 구분됩니다. 이를 통해 감염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3. 감염성 질환 및 격...2025.01.21
-
다제내성균의 정의와 종류2025.05.091. 다제내성균 다제내성균은 한 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미생물을 의미하며,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에는 MRSA, VRE, ESBL, CRPA, CRAB, CRE 등이 있다. 이러한 다제내성균은 의료관련 감염의 주요 원인균이 되었으며, 환자의 사망률, 재원일수, 비용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감염관리의 중요한 목표가 되고 있다. 다제내성균의 출현을 억제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예방지침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2. MRSA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는 메티실린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