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3개
-
조선대학교 A+ / 이성분 유기 혼합물계의 어는점 보고서 레포트 과제2025.05.111. 상 규칙 상 규칙 F=C-P+N은 계 내부에 존재하는 모든 상들의 조성을 정의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화학종의 수를 말한다. 이번 실험은 이성분계이므로 C는 2가 된다. P는 상의 수를 말한다. F는 평형이 유지되고 있을 때, 상의 수 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독립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물리적 변수의 개수로 자유도를 말한다. 이때 압력과 온도는 농도 이외의 유일한 변수이다. N는 조성과 관련 없는 변수(압력, 온도)의 개수(일반적으로 2)를 말한다. 그러나, 이번 실험에서는 F=C-P+1이다. 2. 상평형도 상평형이란 2개 이...2025.05.11
-
어는점 내림 예비&결과2025.05.111. 어는점 내림 현상 실험을 통해 어는점 내림 현상을 확인하고, 용액의 총괄성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확인한다. 비휘발성 용질이 녹아 있는 용액의 어는점은 순수한 용매보다 낮아지는데, 이는 용액의 증기압이 용매의 증기압보다 낮기 때문이다. 용액의 농도가 진해지면 용액의 3중점이 내려가고, 이로 인해 고체와 액체의 평형 온도가 낮아져 어는점도 낮아진다. 비휘발성 용질을 녹인 묽은 용액의 경우, 용액의 어는점은 용질 입자수에 비례해 낮아진다. 이러한 어는점 내림 현상은 실생활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2. 어는점 내림 실험 실험에서는 ...2025.05.11
-
어는점 내림에 의한 분자량 측정 실험2025.11.161. 어는점 내림(Freezing Point Depression) 비휘발성 용질이 녹아있는 용액의 어는점이 순수한 용매의 어는점보다 낮아지는 현상입니다. 용액에서 용질 입자가 용매 입자 사이의 인력을 방해하므로 순수한 용매만 있을 때보다 얼기 어렵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어는점 내림은 ΔTf = Kf·m 공식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Kf는 몰랄 내림상수이고 m은 용액의 몰랄농도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비휘발성, 비전해질 물질의 분자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2. 몰랄농도(Molality)와 몰농도(Molarity)의 차이 몰농도(M)는 ...2025.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