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개
-
한국어문법론_기본 문형의 설정 원칙을 세 가지 기준으로 논하시오2025.05.121. 기본 문형의 첫 번째 설정 원칙 기본 문형의 첫 번째 설정 원칙은 주어와 서술어만으로 구성된 홑문장을 산자리 서술 문형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는 문장 구성에 가장 기초적인 성분인 주어와 서술어만으로 형성되는 자동사문으로 분류되는 문형이다. 예를 들어 '누가 어찌하다' 또는 '무엇이 어떠하다'와 같이 주어가 행위주나 대상의 의미역을 가지는 형태, 그리고 '영희가 예쁘다', '철수는 행복하다'와 같이 주어가 대상이나 경험주가 될 수 있는 형용사 서술어 문형이 이에 해당한다. 2. 기본 문형의 두 번째 설정 원칙 기본 문형의 두 ...2025.05.12
-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형성배경과 이 둘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2025.05.021. 다의어의 정의와 형성배경 다의어란 한 단어가 기본적 의미와 그에 파생된 주변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한다. 다의어는 적용의 전이, 사회 환경의 특수화, 비유적 표현 등에 의해 발생한다. 다의어의 특징으로는 낱말들 사이에 상호 연관성이 있고, 하나의 중심 의미와 여러 개의 주변 의미를 갖는다. 2. 동음이의어의 정의와 형성배경 동음이의어는 한 가지 소리로 표현된 말이 서로 별개의 의미를 가진 어휘를 뜻한다. 동음이의어의 유형으로는 동철자 동음이의어, 이철자 동음이의어, 불규칙 활용, 유사 모음의 발음 등이 있다. 동음이의어...2025.05.02
-
한국어 어문규범2025.05.051. 한글 맞춤법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대상으로 하며, 표준어는 서울의 중류 계층 사람들이 사용하는 말이다. 맞춤법 통일안 작성에 참여했던 국어학자 이희승은 표준어의 필요성을 정의하였다. 표준어는 일반적으로 한 나라의 공용어로 사용되는 규범적 언어를 의미하며, 대한민국의 표준어는 서울에서 사용되는 말을 기준으로 편성되었다. 나도향의 수필 '그믐달'을 통해 한글 맞춤법의 규정 사항을 살펴보았다. 2. 표준어 표준어는 단수 표준어와 복수 표준어로 구분된다. 단수 표준어는 비슷한 발음의 형태 중 더욱 일반적으로 쓰이는 형태 하나만을 표...2025.05.05
-
어말어미, 선어말어미라는 용어의 합당성 검토2025.01.041. 어말어미와 선어말어미의 개념 어말어미는 활용 어미에서 맨 끝에 나오는 어미를 말하며, 선어말어미는 어말어미 앞에 나타나는 어미를 말한다. 선어말어미에는 높임 선어말어미 '-시-', 공손 선어말어미 '-옵-', 시제 선어말어미 '-(은)는-', '-었-', '-겠-' 등이 있다. 2. 어말어미/선어말어미 용어의 합당성 검토 어말어미가 반드시 단어의 끝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종결어미나 연결어미 등이 문장의 끝이 아닌 곳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어말어미/선어말어미'라는 용어가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새로운 용어로 ...2025.01.04
-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2025.01.051. 품사 품사란 문장을 이루는 여러 단어들을 그 성질이 같은 것끼리 묶은 것으로, 단어를 기능, 형태, 의미에 따라 나눈 갈래이다. 단어가 문장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에 따라 체언, 용언, 수식언, 관계언, 독립언으로 분류되며, 형태에 따른 분류에는 가변어와 불변어가 있다. 공통된 의미에 따른 분류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관형사, 부사, 형용사, 동사, 감탄사가 있다. 2. 용언 본론에서는 문장의 주어를 서술해주는 기능을 하는 용언에 대해 알아보고, 용언에 해당하는 동사와 형용사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1....2025.01.05
-
한국어문법론 과제_품사 통용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품사 통용의 유형과 품사 판별의 근거를 제시하시오.2025.05.101. 품사 통용의 개념 품사 통용이란 하나의 단어가 두 가지 품사에 소속되어, 사전에서 두 가지 이상의 품사로 처리되는 현상을 말한다. 동일한 형태의 단어가 원래부터 두 가지 문법적인 성질을 함께 가져서 한 단어가 문장 속에서 두 가지 이상의 품사로 두루 쓰인다고 설명할 수 있다. 품사 통용이 나타나는 원인은 품사 분류가 임의적이고, 동시적 변화 과정에 있기 때문이다. 2. 품사 통용의 유형 한국어에서 품사 통용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명사가 다른 품사의 기능을 공유하는 경우(명관류, 명부류, 명감류, 명조류), 2) 대명사가...2025.05.10
-
품사통용의 개념과 유형, 품사판별의 근거2025.04.261. 품사통용의 개념 품사통용이란 한 단어에 둘 이상의 품사가 공유되는 현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단어는 최소자립 단위로 정의되며, 이들 단어 중 성질이 공통된 것끼리 모아 품사를 구분한다. 그러나 모든 단어를 각각의 독립적인 범주에 종속시키기 어려워 한 단어에 둘 이상의 품사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2. 품사통용의 유형 품사통용의 유형은 단어의 행태, 기능, 의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행태 기준으로는 불변어와 가변어로, 기능 기준으로는 체언, 수식언, 독립언, 관계언, 용언으로, 의미 기준으로는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2025.04.26
-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교사가 갖추어야 할 요건과 자질2025.01.171. 한국어 교육 현장의 특징 한국어 교육 현장은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왔으며, 다문화사회로 접어들면서 외국인 노동자와 결혼여성 이민자의 수가 늘어났다. 또한 K-팝을 중심으로 한류의 영향이 커지면서 세계 각지에서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정부 차원에서 한국어 교원에 대한 지원정책이 실시되었다. 2. 한국어 교사가 갖추어야 할 요건 한국어 교사는 한국어에 관한 지식과 국어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지녀야 할 뿐만 아니라, 교수법에 대한 지식, 교수 방법에 관한 실무적 지식, 교육학에 대한 지식도 겸비하고 있어야 한다...2025.01.17
-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형성배경과 이 둘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2025.01.221. 다의어 다의어는 하나의 중심적 의미와 하나 이상의 주변적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다의어가 발생하는 이유는 현실적으로 한정되고 제한된 단어들을 가지고 더 다양하고 풍부한 의미로 표현을 하기 위함이다. 다의어의 형성배경에는 적용의 이동, 사회 환경의 특수화, 의미의 일반화, 비유적 표현, 금기와 완곡어법 등이 있다. 2. 동음이의어 동음이의어는 발음이 같지만 의미가 다른 단어들을 의미한다. 동음이의어가 만들어지는 경위에는 언어의 자의성, 음운 변화, 유사모음의 발음, 외래어의 영향 등이 있다. 3.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공통점과 ...2025.01.22
-
한국어 품사 분류와 활용 분석2025.01.041. 한국어 품사 분류 한국어 품사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의 9가지로 분류된다. 품사 구분 시 '형태', '기능', '의미'의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형태가 변하는 단어는 가변어, 변하지 않는 단어는 불변어로 구분된다. 기능에 따라 체언, 수식언, 독립언, 관계언, 용언으로 나뉜다. 의미는 품사 전체의 의미를 말한다. 2. 한국어 용언 활용 제시된 텍스트에서 용언의 활용 양상을 분석했다. '닫기', '아픈', '모른다', '떨어졌는데', '보이지 않더라도...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