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4개
-
한국과 호주의 코로나19 보건의료정책 비교분석2025.11.131. 감염병 위기대응 체계 한국은 감염병위기대응국을 중심으로 감염병 및 생물테러 위기 시 대응을 총괄하며, 종합상황실에서 감염병 위기상황을 접수·파악·전파한다.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는 의료·방역·사회·경제 정책 결정을 총괄 제언하는 민간 전문가 중심의 독립적 자문기구이다. 호주는 연방제 국가로서 호주 연방정부와 주, 행정부의 고유한 입법권 틀 속에서 작동되며, CDNA(Communicable Diseases Network Australia)가 전염성 질병을 감시하고 NIC(National Incident Centre)가 ...2025.11.13
-
코로나19로 인한 지역 불평등 분석 및 해결방안2025.11.131. 정책불평등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재난지원금 지급에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1차~4차 재난지원금이 총 46.3조 원 규모로 지급되었으나,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 간 지원 여부, 규모, 시기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또한 거리두기 단계 차이로 인해 수도권의 폐업률이 7.3%로 비수도권 5.7%보다 높았으며, 수도권 자영업자의 평균 매출 감소율이 59.2%로 비수도권 43.7%보다 더 심각했습니다. 2. 의료불평등 코로나19 확산으로 의료자원 부족 문제가 심화되었습니다. 수도권은 생활치료센터 약 7,0...2025.11.13
-
공중보건장학제도 분석 및 운영 현황2025.11.141. 공중보건장학제도 개요 공중보건장학제도는 1977년부터 시행되었으며, 1996년 공중보건의사 제도 확대로 중단되었다가 2019년 감염병 대응 의료인력 필요 증가에 따라 시범사업으로 재개되었다. 공공의료에 사명감을 갖춘 학생들을 선발·양성하여 지역사회 의료기관에 배치함으로써 공공보건 의료인력 확보와 지역사회 의료격차 해소를 목표로 한다. 의과대학생은 학기당 1,020만 원, 간호대학생은 학기당 820만 원의 장학금을 지원받으며, 장학금 수혜 기간에 따라 2~5년간 공공보건 분야에서 의무 종사해야 한다. 2. 장학금 지원 및 조건 ...2025.11.14
-
주요국가의 보건의료체계 비교분석2025.11.151. 한국의 보건의료체계 한국의 보건의료체계는 국민건강보험법을 근거로 하며 강제성, 제3자 지불방식, 행위별 수가제, 현물급여, 의료전달체계 등 5가지 원칙을 특성으로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보험자로서 모든 국민을 강제 적용하며,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로 구분된다. 의료급여제도는 저소득층을 위한 공적부조 제도이며, 1단계 의원과 2단계 종합병원으로 의료전달체계를 구분하여 운영한다. 2. 영국의 보건의료체계 영국의 NHS(National Health Service)는 단일보험자방식의 공공보건의료체계로 정부가 조세로 재원을 조성하여 ...2025.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