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7개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자모 발음 교육2025.01.041. 한국어 자모의 소리 방식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발음 특성을 설명하였습니다. 자음의 경우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등 각 자음의 발음 방식을 영어 단어와 비교하여 설명하였습니다. 모음의 경우 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ㅒ, ㅖ 등 각 모음의 발음 특성을 설명하였습니다. 2. 한국어 자모 교수법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자모를 가르치는 순서와 방법을 제시하였습니다. 교육 순서는 모음 → 자음 → 복합 모음 → 이중 자음과 모음 → 복합 모음 순으로 제안하였습니...2025.01.04
-
격조사와 보조사의 차이를 설명하시오2025.01.131. 조사 조사는 체언이나 부사, 어미 뒤에 붙어 다른 말에 대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주고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이다. 조사는 격조사, 보조사, 접속조사로 나뉜다. 2. 격조사 격조사는 체언(명사, 수사, 대명사)에 결합하여 용언(동사, 형용사)에 대한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는 조사로, 주격 조사, 목적격 조사, 보격 조사, 부사격 조사 등이 있다. 격조사는 문장 안에서 명사구가 어떤 성분(주어, 목적어, 관형어 등)으로 쓰이는지 알 수 있게 해준다. 3. 보조사 보조사는 명사구 뒤에 붙어 특정한 의미를 더해 주는 조사로, 문법...2025.01.13
-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을 평가하는 듣기 평가 문항 분석 및 개선 방안2025.01.131. TOPIK 듣기 문항 분석 제83회 한국어능력시험 TOPIK 2 듣기 문항 1번의 경우, 그림 보기 간 유사성으로 인해 학습자들이 혼란을 겪을 수 있다. 보기 3번을 전시장 내부 장면으로 변경하면 문제 해결이 용이할 것으로 보인다. 제83회 TOPIK 2 듣기 28번 문제의 경우, 보기 4번이 정답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문항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제83회 TOPIK 2 듣기 30번 문제는 남자의 부서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아 중급 이상 학습자들이 혼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해야 한다. 제83회 TOPIK 2...2025.01.13
-
날씨와 계절에 대한 대화 연습2025.01.021. 날씨 표현 이 수업에서는 계절과 관련된 다양한 날씨 표현을 배웁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특징적인 날씨 표현을 익히고 이를 활용하여 대화를 연습합니다. 특히 '-게 되다'와 '-기는 하다' 표현을 사용하여 날씨 변화와 그에 대한 이유를 말할 수 있습니다. 2. 대화 연습 이 수업에서는 날씨와 계절에 대한 대화를 연습합니다. 빌리와 나타폰이라는 인물을 통해 각자 좋아하는 계절과 그 이유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연습을 합니다. 또한 '-게 되다'와 '-기는 하다' 표현을 활용하여 날씨 변화와 그에 대한 이유를 말하는 연습을 ...2025.01.02
-
품사분류와 용언의 불규칙 활용2025.01.161. 품사분류의 기준 품사분류의 기준은 크게 의미적 기준, 형태적 기준, 통사적 기준으로 나뉩니다. 의미적 기준은 단어의 의미적 특성을 바탕으로 분류하고, 형태적 기준은 단어의 형태 변화에 따라 분류하며, 통사적 기준은 문장에서의 역할과 기능을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2. 현행 학교문법의 품사분류 체계 현행 학교문법에서는 단어를 9개의 품사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는 의미적, 형태적, 통사적 기준을 종합하여 만들어진 체계로,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로 구성됩니다. 3. 용언의 불규칙 활용 ...2025.01.16
-
용언의 불규칙 활용, 접속문, 내포문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2025.01.151. 용언의 불규칙 활용 용언의 불규칙 활용이란 동사나 형용사가 활용될 때, 어간이나 어미가 규칙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걷다'의 활용형은 '걸어'가 되며, '돕다'의 활용형은 '도와'가 된다. 이러한 불규칙 활용은 'ㄷ' 불규칙, 'ㅂ' 불규칙, 'ㄹ' 탈락 불규칙, 'ㅅ' 불규칙, '여' 불규칙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불규칙 활용은 한국어 문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은 문장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 2. 접속문 접속문은 두 개 이상의 절이 접속사에 의해...2025.01.15
-
우리말의 시제 체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2025.01.151. 과거 시제 과거 시제는 이미 완료된 사건이나 행위를 나타내며, 주로 '-았/었-' 형식을 사용하여 동사나 형용사에 붙는다. 과거 시제는 한국어 문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은 문장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필수적이다. 과거 시제는 다양한 문맥에서 사용되며, 사건의 시간적 배경을 제공하여 독자나 청자가 사건의 전개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준다. 2. 현재 시제 현재 시제는 현재 진행 중이거나 일반적인 사실을 나타내며, 동사나 형용사의 기본형을 사용하여 표현된다. 현재 시제는 다양한 상...2025.01.15
-
TV 프로그램이나 기타 여러 미디어 콘텐츠에서 발견한(혹은 본인이 주변 일상생활에서 경험한) 외국인 학습자의 오류2025.01.171. 어휘 오류 외국인 노동자들이 '여자 사람', '우리 사람', '남자 사람', '다 사람'과 같이 중복된 어휘를 사용하는 오류가 있었다. 이는 문법 오류이면서 중복 단어 사용의 어휘 오류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오류는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잘 이해하지 못해 발생하는 것으로, 바른 표현으로 고쳐주고 설명해줄 필요가 있다. 2. 발음 오류 외국인 학습자들, 특히 영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ㄹ' 발음을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다. 'ㄹ'은 설측음과 탄설음으로 발음되는데, 외국인들은 이를 'l'이나 'r'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모...2025.01.17
-
한국어교원 강의참관일지22025.01.141. 문법 - '-(으)ㄴ 후에' '-ㄴ 후에'는 동작이나 상태의 변화가 일어난 후의 상황을 나타내는 문법 표현입니다. 받침이 있을 때는 '?ㄴ 후에', 받침이 없을 때는 '-은 후에'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영화가 시작한 후에 영화관에 도착했어요. 그래서 늦었어요.'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문법 - '-게 되다' '-게 되다'는 변화가 있을 때 사용하는 문법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예전에는 한국말을 못했어요. 지금은 잘하게 되었어요.'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ㄴ 후에 ?게 되다'와 같이 결합해서 사용할 수...2025.01.14
-
우리 주변의 신조어들을 조사하여 그 짜임을 분석하고 형성 원리를 설명하시오2025.01.141. 신조어의 개념 신조어는 새로운 개념이 등장했을 경우 이를 표현할 필요성에 의해서 새롭게 사용되는 단어의 표현력 보강을 위해 나타난다. 신조어는 국어교육학 사전에서는 신어로 새로 생겨나 그다지 시일이 경과하지 않은 새말로 정의되며 국어학 사전에서는 새말로 외래어까지 포함해 새로 나오는 말을 통칭하는 뜻으로 정의되었다. 2. 단어의 형성 원리 단어는 형성 원리에 따라 짜임새가 단일한 단어인 단일어, 짜임새가 복합적인 단어인 복합어로 구분된다. 나아가 복합어는 파생어와 합성어로 나뉜다. 이때 실질 형태소에 형식 형태소가 붙어서 만들...2025.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