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3개
-
실습 병원 내 간호실무표준 수행 및 문헌고찰2025.01.111. 손 위생 관리 손은 병원 환경에서 미생물 전파에 가장 좋은 매개체로, 손 씻기는 병원감염관리를 위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예방 및 관리방법이다. 학생 간호사로 간호 실무표준을 정확히 익히고 실시하였으나 생각보다 놓치는 부분들이 많다는 것을 깨달았다. 감염관리 부분에 대해 인지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게 분석되어, 손 위생 시행률을 늘릴 수 있도록 하는 캠페인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대안으로 눈에 띄는 곳에 포스터 부착, 원내 방송 등 주기적인 홍보와 함께 구체적인 손 위생 필요시점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2. 병원감염관리 인지...2025.01.11
-
감염관리실_손위생 교육 ppt_병원(전직원 감염관리 교육)2025.01.111. 손위생의 필요성 의료종사자의 손은 교차감염의 매개체이므로 손위생의 필요성이 강조됩니다. 손위생은 의료종사자의 양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주요 병원균의 환경 및 생존력 환자 병실의 환경표면이 오염되어 있어 이를 만진 후 손위생이 필요합니다. 주요 병원균들은 환경에서 오랜 기간 생존할 수 있습니다. 3. 손위생이 필요한 순간 환자 접촉 전후, 청결/무균 처치 전, 체액 노출 위험 후, 환자 접촉 후, 주변 환경 접촉 후 등 다양한 상황에서 손위생이 필요합니다. 4. 손위생의 방법 손위생이 잘 되지 않는 부위에 주의를 기울여...2025.01.11
-
감염관리지침서_감염관리실2025.01.061. 감염관리 프로그램 및 감염관리위원회 000병원은 감염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환자, 방문객, 직원의 의료기관 내 감염을 예방하고 감염 전파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감염관리 체계, 감염 발생 감시, 감염관리 교육체계, 감염관리위원회 운영 등을 포함한다. 2. 감염관리 일반적 지침 손위생, 무균술, 감염예방 주사실무, 소독과 멸균, 격리 등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를 위한 일반적인 지침을 포함한다. 3. 부위별 감염관리 요로감염, 폐렴, 중심정맥관 관련감염, 수술부위 감염 등 각 부위별 감염관리 지침을 포함한다. 4...2025.01.06
-
S. epidermidis와 E. cloacae의 감염, 경로 및 치료, 관리2025.01.061.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epidermidis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주로 피부와 점막에 존재하는 상재균입니다. 이 균은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에게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나 의료기기 삽입 환자에서 기회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감염 경로는 주로 피부나 점막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항생제 투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관리를 위해서는 철저한 손 위생과 의료기기 관리가 중요합니다. 2. Enterobacter cloacae Enterobacter cloa...2025.01.06
-
감염관리 비말주의 교육 팜플렛2025.01.051. 감염관리 감염관리란 의료관련감염의 발생 시 감시, 보고 등 의료관련감염과 관련된 전반적인 업무로 미생물 감염이 억제되도록 관리하는 것입니다. 의료관련감염이란 입원 당시에는 없었던 그리고 잠복하고 있지 않았던 감염이 입원 기간 중 또는 퇴원 후에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병원은 미생물이 살기 좋은 환경이므로 감염관리를 꼼꼼히 해야 합니다. 2. 격리주의 격리주의란 감염자나 병원균을 가지고 있는 사람,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로부터 다른 환자나 직원이 감염되거나 미생물을 전파하는 것을 예방하여 환자, 보호자, 직원, 방문객, 환경을 ...2025.01.05
-
아동간호학 전인건강증진 건강 프로그램 기획서2025.01.141. 구강 건강 증진 프로그램 참여자인 유치원생(6-7세 아동)을 대상으로 올바른 양치질 습관을 기르기 위한 교육을 진행합니다. 아이들이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도록 동요와 연계하여 구강 관리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실제로 양치질을 실습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또한 가정에서도 지속적으로 양치질을 할 수 있도록 부모님들께 협조를 요청합니다. 2. 손 위생 관리 아이들에게 손 씻기의 중요성과 올바른 손 씻기 방법을 교육합니다. 손에 붙은 세균을 제거하는 과정을 직접 경험해보고, 손 씻기 동요를 함께 부르며 습관화할 수 있도록 합니다. 가정에...2025.01.14
-
의료기관 직원 감염관리교육2025.01.131. 감염관리의 이해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감염 위험요인과 그에 따른 부작용을 파악한다. 또한 감염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표준주의와 전파경로별 격리지침을 숙지한다. 2. 손 위생 손 위생이 감염 전파를 차단하는 가장 비용 효과적인 방법임을 인지하고, 물과 비누를 이용한 손씻기와 손소독제를 이용한 손마찰 방법을 익힌다. 장갑 착용 전후 반드시 손 위생을 수행해야 함을 강조한다. 3. 직원 감염관리 의료기관 직원의 감염 노출 위험을 줄이기 위해 개인보호구 착용, 감염노출 보고 및 추적관리...2025.01.13
-
안전한 병원을 위한 감염관리 주간행사2025.01.021. 손 위생 의료관련 감염관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손 위생은 가장 비용 효과적이며 접근도가 뛰어난 감염관리 활동입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손 위생의 중요성을 알리고 직원, 환자, 내원객들이 손 위생 체험 활동에 참여하여 손 위생 증진을 목적으로 합니다. 2. 환경 관리 환경 청소 점검을 통해 환경관리의 실태를 파악하고 직원의 환경관리 인식도를 증진시켜 병원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홍보하고 감염관리 문화를 정착시키고자 합니다. 1. 손 위생 손 위생은 개인과 공동체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손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은 질병...2025.01.02
-
감염관리 사업 결과 보고서2025.01.031. 감염관리 위원회 운영 감염관리 위원회는 정기회의 00회와 수시회의 00회가 진행되었습니다. 주요 안건으로는 감염관리 규정 개정, 감염관리 사업 계획서 검토 및 승인, 손위생 수행률 보고, 고수준 소독제 선택, 결핵의증 환자 발생에 따른 대책, 상반기 감염관리 사업 보고, 주사침 자상 발생률 보고, 결핵 역학조사 보고, 일회용품 사용 논의, 의료기관 종사자 잠복결핵 감염 검진 등이 있었습니다. 1. 감염관리 위원회 운영 감염관리 위원회는 병원 내 감염 예방 및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위원회는 감염 관련 정책...2025.01.03
-
수돗물과 여러 위생용품 간의 세균 제거 효과 비교2025.01.031. 손 위생 관리 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급격하게 확산됨에 따라 감염병 예방을 위한 손 청결 유지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강조되고 있다. 부적절한 손 위생은 감기를 넘어선 여러 감염의 매개로 꼽힌다. 손 위생을 관리하는 것만으로도 감염병의 70%를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 또한 있다. 따라서 본 탐구를 통해 수돗물, 일반 비누, 알코올 손 소독제, 위생물티슈를 이용한 손 세정 결과를 비교하여 그 세균 제거 효과의 차이를 토대로 보다 효과적인 손 세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 세균 제거 효과 비교 실험 결과 비...202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