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한국어 학습 듣기 평가 문항 분석 및 개선 방안2024.11.071. 서론 2020년 '한국어 표준교육 과정'이 제정되면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은 한국어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고 해석하며, 상호 간의 의미협상을 가능하게 하는 능력이자 한국어를 매개로 타인을 비롯한 자신의 주위 환경에 적응하고 환경을 조정하며 주어진 상황에서 적절하게 타인과 협력함으로써 상호 간의 의사소통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정의되었다"" 따라서 '한국어 능력 평가'는 학습자들이 실생활에서 언어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실제적인 요소들을 반영하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필자는 한국어 능력 시험(TO...2024.11.07
-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을 평가하는 듣기 평가 문항을 문항 분석 관점에서 검토하고 문제가 있는 문항을 10문항 찾아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십시오2024.10.121. 서론 1.1. 한국어 듣기 능력의 중요성 듣기는 언어의 다른 기능보다 훨씬 사용 빈도가 높으며, 순간적이고 일회적인 특징을 갖고 있어 구어의 다양한 특성들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듣기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면서 의사소통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가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한국어 듣기를 공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한국어 학습자는 듣기 평가를 통해 본인의 의사소통 능력을 파악하고 학습 방법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듣기 교육과 이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2024.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