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면역학 정리2024.09.231. 면역의 개념 1.1. 면역의 정의 면역이란 "한번 감염병에 걸리면 동일한 감염병에 다시 걸리지 않는 현상"이다. 이는 감염방어면역, 종양면역, 알레르기질환, 자가면역질환, 이식 분야 등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현재의 면역 개념은 "생체 내에서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별해서 외부에서 들어온 이물질을 인식하여 제거하는 일련의 반응"을 의미한다. 즉, 면역반응은 항원의 인지단계와 항원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면역에 관여하는 기관에는 비장, 흉선, 림프절, 림프조직, 골수 등이 있으며, 면역에 관여하는...2024.09.23
-
면역학 정리2024.10.241. 면역 1.1. 면역의 정의 면역(immunity)이란 한번 특정 감염증에 걸리면 동일한 감염증에 다시 걸리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면역은 생체 내에서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별하여 외부에서 들어온 이물질을 인식하고 제거하는 일련의 반응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면역반응은 감염방어, 종양제거, 알레르기, 자가면역질환, 이식의료 등 다양한 영역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면역반응은 크게 항원의 인식단계와 항원을 제거하는 단계로 구분된다. 이때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주요 기관으로는 비장, 흉선, 림프절, 림프조직,...2024.10.24
-
면역학2024.10.151. 면역의 개념과 특징 1.1. 면역의 정의 면역이란 생체 내에서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별하고, 외부에 들어온 이물질을 인식하여 제거하는 일련의 반응이다." 1.2. 면역반응의 유형 면역반응의 유형은 선천면역(비특이적 면역)과 후천면역(특이적 면역)으로 구분된다. 선천면역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비특이적인 방어기능으로, 단시간 내에 빠르게 발동하여 병원체를 제거한다. 선천면역의 주요 기전에는 물리적/화학적 방어와 세포성 방어가 있다. 물리적/화학적 방어에는 피부와 점막의 물리적 장벽, 염산, 타액, 리...2024.10.15
-
약학과 면역학1 정리자료 요약본2024.10.101. 면역학 개요 1.1. 면역 시스템의 구성과 기능 면역 시스템의 구성과 기능은 다음과 같다. 면역 시스템은 감염을 인지하고 스스로 방어 기제를 유도하는 기본적인 4가지 기능을 갖는다. 첫째, 항원을 인식하고 둘째, 항원 특이적 effector 세포를 활성화하며 셋째,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 넷째, 면역 기억을 유지한다. 이를 통해 감염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향후 재감염에 대비할 수 있다. 면역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세포들은 골수 유래 세포와 림프계 세포로 나뉜다. 골수 유래 세포에는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과립구(호중...2024.10.10
-
면역저하2024.11.291. 면역 저하 환자의 이해 1.1. 면역의 정의와 중요성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은 병원균에 대한 신체의 방어 기전을 담당하며, 크게 선천면역과 후천면역으로 구분된다. 선천면역은 병원균에 대한 즉각적인 방어를 담당하고, 후천면역은 특정 항원에 대한 특이적인 항체나 세포를 생성하여 기억하는 것이다. 선천면역은 병원균의 특이적인 구조를 인식하는 수용체를 이용하여 감염 세포를 죽이거나 세포독성 물질을 분비함으로써 작용한다. 반면 후천면역은 병원균의 에피토프를 인식하는 세포를 이용하여 강력하고 지속적인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후천면...2024.11.29
-
면역계 정리 및 생물학 수업 노트2024.12.011. 면역계 1.1. 면역의 정의 면역은 "병을 면한다"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용어로, 조직이나 기관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병원체나 독소에 저항할 수 있는 신체의 능력을 의미한다"이다. 우리 신체는 체내에 침입한 병원체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 병원체를 기억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향후 같은 병원체가 침입할 경우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면역은 다양한 기전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크게 비특이적 방어기전과 특이적 방어기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체는 병원체의 감염으로부터 방어될 수 있다. 1.2. 면역기능의...2024.12.01
-
다발성경화증 폐렴2024.11.221. 다발성 경화증 1.1. 원인 다발성 경화증의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 감염, 유전적 민감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다발성 경화증은 자가면역 질환의 특성을 보이며, 유전적으로 이 질병에 민감한 개인이 바이러스에 노출됨으로써 시작된다. 감작된 T 세포가 체내 순환과정에서 중추신경계로 이동하면서 뇌-혈관 장벽을 파괴하여 중추신경계 내부에서 항원항체반응이 계속되어 만성 염증반응이 활성화된다. 이 과정에서 별아교세포의 증식,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소실, 수초의 상실이 ...2024.11.22
-
면역기전2024.08.291. 면역 기능 1.1. 선천 면역 1.1.1. 물리적 장벽 병원체가 우리 몸에 들어와 질병 혹은 감염을 일으키려면, 상피를 뚫고 체내의 조직으로 들어오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피부의 상피는 가시층에서 생성된 단백질 형태의 각질로 덮여있으며 바닥층, 중간층, 각질층 등 여러 층의 세포가 결합체의 형태로 단단하게 결합되어있다. 또한, 우리 몸에는 머리카락과 같이 약 250만 가닥의 털이 있어서 기계적 마찰을 막고 감각신경섬유의 분포로 유해물질이나 곤충의 접촉을 막을 수 있다. 이외에도 기름샘, 땀샘과 같은 외분비샘을 통해 유...2024.08.29
-
면역학2024.09.091. 면역학 개요 1.1. 면역의 정의 면역immunity은 한 번 감염병에 걸리면 동일한 감염병에 다시 걸리지 않게 되는 현상"이다. 생체 내에서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별해 외부에 들어온 이물질을 인식하여 제거하는 일련의 반응"이다. 면역반응은 항원의 인지단계와 항원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면역에 관여하는 기관은 비장, 흉선, 림프절, 림프조직, 골수 등"이다. 1.2. 면역의 종류 1.2.1. 선천면역 선천면역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비특이적인 면역기전으로, 감염이 일어나면 단시간 내에 발동하여...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