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PPP 모형의 특징과 초급 과정 말하기 수업 설계2024.09.101. 서론 1.1. 외국어 학습과 관련된 교수 방법의 변화 1980년대부터 외국어 학습과 관련하여 과거의 문법 위주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 교수 방법으로의 변화가 모색되어 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교육 과정이 개정되어 오면서 점차 과업 활동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중시하는 교수 학습 활동을 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의 흐름 속에서 의사소통 능력을 중시하는 TBI(Task-Based Instruction, 과업 중심 교수)가 실제 교실 상황에서 점차 널리 보급되고 있다." 1.2. 과...2024.09.10
-
으 니까 를 주제로한 수업지도안을 작성2024.10.1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1.1. 초급 한국어교육에서 문법항목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차이점 1.1.1. 서론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이는 다소 생소한 개념일 것이다. 이처럼 생소한 형태의 언어를 학습해야 하는 교육에 있어서 이와 같은 문법 항목들을 적절히,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원활한 의사소통을 수행하게 하게끔 하는 한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일반적인 외국인 학습자들은 기능은 비슷하나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는 문법 항목들을 명확히 구별하여 사용하는 것을 어렵게 느낀다. 왜...2024.10.11
-
~아요2024.10.211. 한국어 교수·학습 모형 1.1. PPP 모형의 정의 및 특성 PPP 모형은 "제시(Presentation) → 연습(Practice) → 생산(Production)"의 3단계로 이루어진 언어 교수법이다"" PPP 모형은 언어 학습을 습관 형성 과정으로 보고, 교사가 먼저 학습 목표 언어 항목을 제시하면 학습자가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그 언어를 내면화한 후 실제 상황에서 능숙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교수법이다"" 이 모형은 언어 교육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상향식(bottom-up) 교수법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어...2024.10.21
-
한국어 수업 듣기 교안2024.10.241. 서론 말하기는 말하는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의견 등을 말로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다. 즉 자기의 의사를 상대편이 알아들을 수 있도록 말로 표현하는 일을 뜻한다. 말하기 교육은 한국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며, 타인과 원활하게 의사소통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학문의 목적이나 직업의 목적 등 말하기 교육에는 다양한 목적이 있고, 그 목적에 맞는 수업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말하기 수업의 단계와 말하기 활동의 유형을 참고하여 초급과 중급 말하기 수업을 위한 교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말하기 수업의 단계 2...2024.10.24
-
-아요/어요2024.10.221.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 1.1. PPP 모형의 정의 및 특성 PPP 모형은 '제시(Presentation) → 연습(Practice) → 생산(Production)'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언어 교수·학습 방법이다. PPP 수업 모형은 교사 중심의 학습 절차로 언어 학습을 일종의 습관 형성의 과정이라고 보고, 교사가 학습 목표가 되는 언어 항목을 제시하면 학습자들이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강화하고 정확하게 인식하는 학습 활동이다. 이 모형은 "도입 → 제시 → 연습 → 활용 → 마무리"의 5단계로 구성된다. PPP 모형의 장점은...2024.10.22
-
한국어실습교안초급을 만들어줘2024.11.061. 서론 말하기는 말하는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의견 등을 말로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다. 즉 자기의 의사를 상대편이 알아들을 수 있도록 말로 표현하는 일을 뜻한다. 말하기 교육은 한국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며, 타인과 원활하게 의사소통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학문의 목적이나 직업의 목적 등 말하기 교육에는 다양한 목적이 있고, 그 목적에 맞는 수업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말하기 수업의 단계와 말하기 활동의 유형을 참고하여 초급과 중급 말하기 수업을 위한 교안을 제시한다." 2. 본론 2.1. 말하기 수업 ...2024.11.06
-
초급 ppp 모형 과제2024.11.021. 서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표현교육론 과제 주제 : PPP모형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고 초급 과정의 말하기 수업을 PPP 모형의 단계에 맞게 설계하기 한국어교원이 되겠다고 결심하고, 평생교육원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표현교육론을 공부한 지 3개월이 되었다. 그중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표현 교육론과 이해 교육론을 공부할 때 현장에서 실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습득할 수 있어 유익하게 듣고 있고 꼼꼼하게 공부하고 있다. 특히 PPP 모형과 TTT 모형을 배우면서 현장에서 활용하면 학습자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이 될 거 같다고 ...2024.11.02
-
한국어표현교육론 말하기 수업 단계와 활동 유형 분석2024.11.281. 초급 및 중급 한국어 말하기 수업 설계 1.1. 말하기 수업의 단계 말하기 수업의 단계는 다섯 단계로 발전해왔다"". 첫 번째로, 문법 번역식 교수법과 말하기이다"". 이는 외국어 교실에서 가장 먼저 실행된 교수법으로, 라틴어와 희랍어 등의 고전어를 수업할 때 문법을 통하여 책을 번역하거나 읽어서 교양을 쌓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19세기 이후 그 목적이 조금씩 변화했는데, 이전에는 정신 수양이나 지적 발달을 지향하고 문법 자체에 초점을 두었으며 수준 있는 텍스트의 해독과 번역을 목적으로 했다면, 현대적인 문법 ...2024.11.28
-
즐거운 한국어 교재 및 문형선정2024.08.281. 서론 한국어는 대표적 굴절어이다. 어간에 여러 어미가 결합하는 현상, 즉 한 단어의 어미변화를 굴절(inflection)이라고 하는데 용언의 굴절을 담당하는 활용어미 중 그 어미가 용언의 맨 끝에 와서 한 문장의 끝남을 나타내는 어미가 종결어미이다. '간다, 가니, 가라, 가자'에서 '-다, -라, -니, -자'등이 이에 해당한다. 한국어의 종결어미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등과 같은 문장의 형식을 결정하며 동시에 합쇼체, 해라체와 같은 상대경어법 체계를 이행하는 두 가지의 중요 기능이 있다. 따라서 한국어로 의사소...202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