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으)면2024.10.061. 졸업 과제_강의안 1.1. 단원 제목: -(으)면 안 되다 -(으)면 안 되다"는 어떤 장소에서 금지되는 행동을 나타내는 문형이다. 이 문형을 사용하면 박물관, 잔디밭, 극장과 같은 장소에서 음식을 먹거나 핸드폰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금지 행동을 표현할 수 있다. 강의 도입 부분에서는 실제 예시를 통해 이 문형의 의미와 용법을 소개한다. 학생들에게 다양한 상황에서의 금지 표시를 보여주며 어떤 행동이 금지되는지를 물어보고, 이에 대한 대답으로 "안 돼요"라는 표현을 이끌어낸다.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으)면 안 된다"의...2024.10.06
-
으면 문법 교안지도2024.11.011. 모의수업 교안 A/V-아서/어서(이유) 1.1. 단원명 및 학습 목표 주요 학습 문법은 'A/V-아서/어서(이유)'로, 이는 이유를 나타내는 문법 형태이다. 이 문법을 학습하여 학습자들은 'A/V-아서/어서'의 의미, 형태, 기능을 이해하고 'A/V-아서/어서(이유)'의 표현을 이용하여 말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 단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학습 목표를 가진다: 'A/V-아서/어서'의 의미, 형태, 기능을 이해하고 'A/V-아서/어서(이유)'의 표현을 이용하여 말할 수 있다. 1.2. 수업 단계 1.2.1. 도입 ...2024.11.01
-
(으)면 교안지도2024.11.011. 한국어 문법 학습 1.1. N(으)로 & N(이)라서 N(으)로 & N(이)라서는 한국어 문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표현이다. N(으)로는 명사 뒤에 쓰여 어떤 행위의 도구나 수단 또는 방법임을 나타내며, N(이)라서는 앞의 내용이 뒤에 오는 내용의 이유 내지 근거임을 나타낸다. N(으)로는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일 경우 "N + 로"로 사용하고, 받침이 있을 경우 "N + 으로"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버스로 학교에 갔다", "인터넷으로 공부했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N(이)라서는 앞의 내용이 뒤에 오는 내용의 ...2024.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