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허혈의 발생기전과 간호중재
1.1. 허혈의 발생기전
허혈은 심박출량의 감소와 혈관저항의 증가로 인해 발생한다. 심박출량이 감소하면 평균 동맥압도 감소되어 조직 관류의 저하로 허혈이 발생한다. 심근은 관상동맥을 통하여 심실 이완기 때 혈액을 공급받는데 이때 평균 동맥압이 최소한 60mmHg가 되어야 적절한 조직 관류를 유지할 수 있고 뇌나 신장과 같은 주요 기관의 관류를 유지하기 위해선 60∼70mmHg의 평균 동맥압이 필요하다.
심박출량이 감소되는 요인은 크게 총 혈액량의 감소, 혈관확장, 심장의 펌프효율성 저하 등이 있...
2024.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