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인간 게놈 프로젝트속 확률과 통계2024.10.061. 유전체 연구의 현재와 전망 1.1. 서론 유전체 연구는 인간과 생물의 모습을 결정짓게 되는 DNA 염기서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이는 생물의 총 유전자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체(게놈)를 밝혀내고자 하는 노력이다. 1988년에 시작된 인간 게놈 프로젝트는 인간 유전체 연구의 대표적인 사례로, 30억 개의 DNA 염기를 모두 해독하여 유전자의 위치와 배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유전자의 기능과 질병 유발 매커니즘 등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난치병 치료를 위한 유전자 치료법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현재...2024.10.06
-
유전학 독후감2024.10.111. 소개 후성 유전학은 DNA 염기서열의 변화 없이도 유전자 발현이 달라질 수 있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후성 유전이란 DNA 염기서열의 변화가 아닌 다른 부분의 변화로 인해 유전자 발현이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즉, 유전자 발현에는 DNA 정보 이외에 다른 요인들이 관여한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유전자 발현이 DNA 염기서열에 의해 결정된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후성 유전학의 등장으로 유전자 발현이 DNA 서열 변화 없이도 조절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쌍둥이라도 ...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