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폐결핵2024.10.061. 폐결핵의 정의와 원인 1.1. 폐결핵의 정의 폐결핵은 결핵균인 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한 공기매개 감염질환이다. 결핵균은 비이동성, 항산성, 호기성을 띠고 천천히 증식하며 비말감염을 통해 전파된다. 전염성이 있는 폐결핵환자가 말을 하거나 기침 또는 재채기를 할 때 결핵균이 포함된 아주 미세한 침방울 형태로 환자의 몸 밖으로 나오게 되는데 침방울의 크기는 매우 작아 몸 밖으로 나오자마자 수분은 곧 증발하여 결핵균만이 공중으로 떠돌아다니다가 주위에 있는 사람들이 숨을 들이쉴 때 공기와 함께 폐 속으로...2024.10.06
-
결핵 지역사회2024.10.301. 결핵 개요 1.1. 정의 및 원인 결핵은 주로 폐결핵 환자로부터 나온 미세한 침방울 혹은 비말핵에 의해 직접 감염되지만, 감염되었다고 해서 모두 결핵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 발병하는 사람들의 50%는 감염 후 1~2년 안에 발병하고, 나머지 50%는 그 후 일생 중 특정 시기에, 즉 면역력이 감소하는 때 발병하게 된다. 결핵의 원인은 결핵균에 의한 감염이다. 활동성 결핵 발생의 원인으로는 1년 이내의 최근 감염, 흉부 X선상 섬유화된 병변의 존재, 에이즈, 규폐증, 만성 신부전 및 투석, 당뇨, 면역 억제제 투여, 위장 절제...2024.10.30
-
결핵환자 격리간호,시나리오 작성해줘2024.09.041. 결핵의 개요 1.1. 정의 및 역학 결핵은 여러 종류의 미코박테리움, 특히 결핵균에 감염되어 발병하는 흔하고 치명적인 전염병이다. 현재 결핵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전 세계적으로 다른 어떤 감염성 질환보다 많다. 주로 폐결핵 환자로부터 나온 미세한 침방울 혹은 비말핵(droplet nuclei)에 의해 직접 감염되지만 모두 결핵에 걸리는 것은 아니며 대개 접촉자의 30% 정도가 감염되고 감염된 사람의 10%정도가 결핵 환자가 된다. 결핵은 공기를 통해 전염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결핵은 폐포에 도달할 만큼 작은 입자(직경 1...2024.09.04
-
폐결핵 케이스 A+ 간호진단2024.08.311. 개요 1.1. 사례 소개 이oo씨는 86세 여성으로 2019년 4월 1일 폐결핵 진단을 받고 입원한 사례이다. 평소 특이 질환 없던 분으로 2019년 3월 19일부터 폐렴으로 타 병원에서 약물 치료를 받던 중 객담 검사에서 결핵균이 검출되어 본원에 전원되었다. 입원 당시 기침,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보였으며 활력징후와 검사 결과를 통해 결핵으로 인한 감염과 영양 불균형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입원 중 결핵 치료를 위한 약물 요법과 더불어 영양 섭취, 감염 관리 등의 간호중재가 이루어졌다. 1.2. 문제 제기 ...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