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단백질정량 bradford2024.10.041. 단백질 정량 1.1. Bradford법을 이용한 단백질 정량 1.1.1. 실험 목적 Coomassie blue 시약과 단백질이 반응하여 색이 변화하는 정도를 흡광도 측정하여 단백질을 정량할 수 있다. 1.1.2. 실험 이론 Bradford법은 Coomassie blue 시약과 단백질이 반응하면 적색의 시약이 청색으로 변하는 것을 이용한 단백질 정량법이다. 단백질이 Coomassie blue 시약과 반응하면 적색의 시약이 청색으로 변하는데, 이때 생성된 청색 복합체의 흡광도를 595nm에서 측정하여 단백질 농도를 정량한다. ...2024.10.04
-
간 조직 균질화, 단백질 정량2024.09.271. 간의 기능과 간 기능 검사 1.1. 간의 역할 간은 가로막 아래 우상복부에 위치한 장기로, 탄수화물 대사, 아미노산 및 단백질 대사, 지방 대사, 담즙산 및 빌리루빈 대사, 비타민 및 무기질 대사, 호르몬 대사, 해독 작용 및 살균 작용 등의 주요 기능을 담당한다"." 간은 많은 기능을 담당하기에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장기 중 하나이다"." 하지만 여러 질환들에서 간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질환들을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간 기능 검사의 원리 간 기능 검사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간 기능 ...2024.09.27
-
정량분석 f test2024.10.071. 조단백질 정량 분석 1.1. 개요 '1.1. 개요'는 식품을 구성하는 각 성분 중에서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성분 중 대부분은 단백질이며, 단백질은 다른 성분과 달리 평균 16%의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식품 중의 단백질량을 구하는 것은 총 질소를 정량하여 그 값에 100/16=6.25를 계수로 곱하여 산출한다고 한다. 이 계수를 질소계수(nitrogen coefficient)라고 하며, 식품 중에는 여러가지 비단백태의 질소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질소를 함유하고 있다고 해서 반드시 단백...2024.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