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산류 간호과정2024.09.23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본 연구를 통해 신생아에게 질병이 발생하는 과정(원인 및 병태 생리)과 행해지는 간호 및 회복 경과에 대해 학습할 수 있다.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간호 진단을 내려 봄으로써 대상자에게 학생 간호사가 제공할 수 있는 간호 중재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임상 간호사의 시점에서 수행되어야 할 간호 중재에 대해 연구하고 평가해 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1.2. 사례 보고서 개요 사례 보고서 개요는 신생아실 실습 과정에서 관찰한 내용을 정리하여 제시한 것이다. 우선 신생아 출생 직후 및 신생아...2024.09.23
-
신생아실 케이스2024.09.241. 신생아실 실습보고서 1.1. 출생 직후 및 신생아실 입원 직후 간호 1.1.1. APGAR score APGAR 점수는 신생아의 생리적 상태를 평가하는 지표로, 1분 APGAR 점수와 5분 APGAR 점수로 구분된다. 이는 출생 직후 신생아의 호흡, 심장 기능, 근긴장도, 반사 반응, 피부색을 평가하여 각 항목에 0-2점을 부여하고 이를 모두 합한 점수이다."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다: - 심박동(Heart rate): 0점(없음), 1점(100회/분 미만), 2점(100회/분 이상) - 호흡(Respiration): 0...2024.09.24
-
미숙아 퇴원교육2024.08.281. 미숙아의 특성과 관리 1.1. 미숙아의 정의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미숙아(preterm infant)는 재태 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의미한다. 이와 함께 재태 기간과 상관없이 출생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출생체중이 2,500g 미만인 경우는 저체중 출생아(LBW, low birth weight), 출생체중이 1,500g 미만인 경우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VLBW, very low birth weight), 그리고 출생체중이 1,000g 미만은 경우는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2024.08.28
-
신생아 간호 요약 및 관리2024.09.221. 신생아 간호 1.1. 분만실 → 신생아실 옮겨질 때 간호 분만실에서 신생아실로 옮겨질 때 간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생아와 산모에 대한 정보를 인수인계받는다. 산모의 이름, 출생 시 몸무게 측정, 출생시간, 아기의 성별 등의 내용을 확인하고, 신생아의 신분확인 밴드와 출생기록지의 내용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그 후 체계적인 신체검진을 실시한다. 신체계측을 통해 두위, 흉위, 신장, 체중 등을 측정하고, 피부, 태지, 솜털, 머리, 눈, 코, 입, 귀, 목, 가슴, 폐, 심장, 복부, 둔부, 척추, 생식기, 사지...2024.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