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흉악범 신상공개 반대2024.10.281. 피의자(범죄자) 신상공개제도 1.1. 신상공개제도의 개념 피의자 신상공개제도란 수사기관이 피의자의 얼굴과 성명, 나이 등에 대한 개인 신상 정보를 일반인에게 공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특정강력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과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그 법적 근거를 두고 있다. 신상공개 대상은 특정강력범죄법상 특정강력범죄로 규정된 범죄와 성폭력처벌법상 성폭력범죄로 규정된 범죄의 피의자이다. 신상공개를 위한 요건으로는 첫째, 피의자가 죄를 지었다고 믿을 만한 충분한 증거가 존재해야 하고, 둘째, 국민의 알권리...2024.10.28
-
가정폭력 사례2024.11.091. 서론 세상에 만나 처음 접하는 사회가 가족이니만큼, 가족 사이에서 갈등이 없을 수는 없다. 그러나 건강한 가족은 이러한 문제들을 순조롭게 해결할 수 있는 지혜를 가진다. 그렇지만 갈등이 제대로 해결되지 못하거나 누적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들이 폭력적인 양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가정폭력은 가정 안에서 은밀히 이루어지는 폭력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가정 내에서 싸움이나 폭력이 일어나더라도 집안일로 치부하며 개입하려 하지 않았고, 반대로 가정 내 폭력에 대해 밖에 알려지는 것을 수치스러운 일로 여겨 피해자도 밖에 알리려고 하지 않았...2024.11.09
-
미투운동 찬성2024.11.261. 미투운동의 배경과 실태 1.1. 성폭력의 만연과 사회적 무관심 우리사회에서 성폭력은 만연하게 존재하고 있지만, 그동안 사회적 관심과 대책은 미미했던 것이 사실이다. 전 세계적으로 여성의 3분의 1이 젠더폭력을 경험하고 있다는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는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강간 및 강간미수 피해자 중 경찰에 신고한 비율은 고작 6.6%에 불과하다. 3일에 1명꼴로 애인, 배우자, 동거친족, 기타 가족 등에 의해 여성이 살해되고 있으며, 성인 여성 5명 중 1명, 남성 100명 중 1명이 성폭력...2024.11.26
-
몰카2024.08.301. 서론 오늘날 사회에서는 격심한 발전과 발달로 인해 일자리가 다양해지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여성들의 사회적 진출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남성과 여성이 함께 참여하여 생활하는 것이 당연시 되다 보니 직장 내, 학교 내의 성폭력 등이 또 하나의 사회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성폭력 관련 법률은 꾸준히 개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법률이 개정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매스컴을 통해 성희롱, 또는 성폭행과 관련된 갖가지 사회적인 이슈들은 지속적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아직까지도 합리적인 대응책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202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