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개
-
재료역학 정리2024.09.111. 재료역학 1.1. 재료 역학의 근본 목적과 배워야 하는 이유 재료 역학의 근본적인 목적은 구조물이 받는 힘과 그 변형을 수학적으로 정의하고 계산하여 구조물의 안전한 설계를 돕는 것이다. 구조물이 힘을 받을 때는 구조물의 "반응"을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움직임과 변형이 무시할 정도로 작은 경우, 두 번째는 움직임은 없지만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 세 번째는 움직임은 있지만 변형은 무시할 정도로 작은 경우, 네 번째는 움직임과 변형이 모두 일어나는 경우이다. 재료 역학은 이 중 두 번째에 해당하는 움직임이 없고...2024.09.11
-
국민대 물리실험22024.09.131. 힘의 평형 1.1. 실험 목적 및 원리 힘의 평형 실험의 목적 및 원리는 다음과 같다. 힘의 평형 실험의 목적은 합성대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힘이 평형을 이루는 조건을 연구하고, 도식법과 해석법으로 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힘의 평형이란 한 물체에 작용하는 여러 힘의 벡터 합이 0이 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때 물체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거나 등속도 운동을 한다. 실험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두 개 이상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 이들 힘의 벡터 합, 즉 합력을 구할 수 있다. 도식법에서는 평행사변형 법칙을 이용하여 벡...2024.09.13
-
구조역학 구조해석2024.10.031. 정역학 1.1. 정역학의 개념 정역학은 힘을 받는 물체가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 대해 다루는 역학이다. 즉, 물체가 움직이지 않고 정지 상태에 있을 때 작용하는 힘들 사이의 관계를 해석하는 학문이다. 정역학에서는 물체의 움직임은 고려하지 않고 오직 정지 상태에서 힘의 균형 상태만을 다룬다. 정역학에서는 힘의 평형과 모멘트의 평형 조건을 이용하여 물체에 작용하는 내력과 외력을 계산한다. 힘의 평형 조건에 따르면 물체에 작용하는 힘들의 합력이 0이 되어야 한다. 이는 물체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다. 모...2024.10.03
-
기하 탐구 보고서2024.12.211. 텐세그리티 구조의 이해 1.1. 텐세그리티의 정의 및 특성 텐세그리티는 "긴장, 잡아당기는 힘"을 뜻하는 "Tension"과 "안정"을 뜻하는 "Structure Integrity"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합성어로, 긴장상태의 안정 구조를 뜻하는 기법이다. 물리학적으로 텐세그리티는 장력을 받는 연속적인 망 안에 압축을 받는 부재가 불연속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구조물이 흡사 공중에 떠있는 것처럼 만든 것을 의미한다. 속이 꽉 찬 대부분의 구조에 비해 공간을 이루는 부재의 수가 적기 때문에 가볍지만 굉장히 튼튼하고 안정된 구조적 특성...2024.12.21
-
건대2024.10.171. 힘의 평형 실험 1.1. 실험 목적 및 원리 이 실험의 목적은 힘의 평형 원리를 확인하고, 질량비에 따른 각도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힘의 평형 상태에서 작용하는 세 개의 힘이 균형을 이루는 원리를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세 개의 추를 이용하여 삼각형 모양의 힘 평형 장치를 구성한다. 각 추의 질량을 달리하여 장치를 구성하고, 이때 발생하는 각도 변화를 관찰한다. 이론적으로 세 힘의 합력이 0이 되는 조건을 만족할 때 각 추와 연결된 실의 각도가 일정한 관계를 가지게 된다. 이 실험을 통...2024.10.17
-
벡터의 실생활 사용2024.10.181. 공업수학의 효과적 활용법 1.1. 벡터(vector)의 효과적 활용 벡터(vector)는 공업수학에서 가장 강력하고 유용한 도구 중 하나이다. 크기와 방향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는 벡터의 특성은 복잡한 물리적 현상과 공학 문제를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게 해준다. 이런 벡터의 장점은 물리학, 그래픽스, 로보틱스 등 다양한 공학 분야에서 극대화된다. 물리학에서는 벡터를 이용해 물체의 운동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을 벡터로 나타내면 운동 법칙을 간단한 수식으로 정리할 수 있다. 또한 힘의...2024.10.18
-
평면 벡터의 실생활 사용2024.10.181. 힘의 평형 실험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힘의 합성대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힘이 평형을 이루는 조건을 연구하고, 이를 도식법과 해석법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즉, 힘의 평형 상태를 이용하여 둘 이상의 합력을 찾아내고, 그 결과를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한 값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 이 실험의 주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힘의 평형 힘의 평형이란 어떤 물체에서 여러 가지 힘이 작용하는 경우 작용하는 모든 힘의 벡터합인 알짜 힘이 0인 상태를 말한다. 즉, 물체에 작용...2024.10.18
-
평면 벡터가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사례와 원리2024.10.181. 원심분리기의 원리와 종류 1.1. 원심분리기의 정의 원심분리기는 어떤 입자들이 원심력장 내에 놓이게 될 때, 이들의 움직임이 각 입자의 밀도, 크기 또는 형태의 영향을 받아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이다. 즉, 원심분리기를 통해 원심력을 이용하여 혼합물의 구성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원심분리기 내의 회전자에는 분리할 시료를 넣는 시험관이 있는데, 보통 12개의 시험관이 축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회전자는 균형이 잘 맞아야 하며, 균형이 깨질 경우 회전축에서 이탈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종류와...2024.10.18
-
힘의 벡터합성2024.11.051. 힘의 벡터 합성 1.1. 실험 목적 힘의 평형 장치를 이용하여 물체에 동시에 작용하는 힘들의 합성을 이해하고 물체가 평형 상태에 있는 조건을 찾아서 도식법과 해석법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1.2. 이론 및 원리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모두 가지고 있는 물리량이다. 힘, 속도, 가속도 등이 벡터량에 해당하며, 이러한 벡터량은 스칼라량과 달리 단순한 가감법으로 연산할 수 없다. 힘의 벡터 합성은 이러한 벡터량의 성질을 이용하여 여러 힘들이 동시에 작용할 때 그 합력을 구하는 것이다. 작도법은 두 벡터의 시...2024.11.05
-
재료역학2024.08.261. 재료역학의 개념과 필요성 1.1. 재료역학의 정의 재료역학은 다양한 형태의 하중을 받고 있는 고체의 거동에 대해 살펴보는 응용역학 중 하나로, 재료의 강도나 변형체 역학이라고도 한다. 즉, 재료역학은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구조물과 그 부품에 대한 응력, 변형률, 변위를 구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통해 구조물이 안전하게 설계될 수 있도록 필요한 움직임을 해석하고, 구조물과 관련 물체에 작용할 수 있는 하중에 의한 응력이나 변형, 변형률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재료역학은 모든 공학 분야에서 중요한 기초학문이라...2024.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