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개
-
약제학 정리2024.11.031. 약제학 1.1. 약제학(藥濟學, pharmacy, pharmaceutics)이란? 약제학(藥濟學, pharmacy, pharmaceutics)이란 약물이 갖는 약효(유효성,efficacy)를 최대한으로, 안전(안전성,safety)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여 방법(utility)이나 투여 형태(제형, dosage form)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는 과학이다. 약물의 처리 및 제제화와 관련된 원리와 기술을 다루며, 약물의 제제화, 품질관리, 투여경로, 체내 동태 등 약물이 완제품이 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연구한다. 따...2024.11.03
-
스펙트로미터2024.10.291. 실험 C. Spectrometer 실험 C. Spectrometer는 여러 광원에 대하여 스펙트럼선을 관찰하고 색깔별 파장을 구하는 실험이다. 이를 위해 emission (bright line) spectrum과 absorption (dark line) spectrum을 관찰하고, 모델 SP-9268A spectrometer를 활용한다. 실험 목적은 여러 광원에 대하여 스펙트럼선을 관찰하고 색깔별 파장을 구하는 것이다. 또한 연속적인 스펙트럼선을 가지고 있는 광원(태양광 등)을 이용하여 여러 물질(액체 샘플)에 대한 흡수 ...2024.10.29
-
소화기계 해부생리2024.09.181. 소화기계의 해부와 기능 1.1. 소화기계의 구조 1.1.1. 소화관의 구성 소화관은 구강에서 항문에 이르는 약 9m의 관으로, 점막, 점막하조직, 근육층, 장막층의 4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막층은 상피세포와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화효소와 점액을 분비하는 선을 가지고 있다. 점막하조직은 소화관 벽을 지지하고 혈관, 림프관, 신경을 포함하고 있다. 근육층은 내측의 윤상근과 외측의 종주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화관의 운동을 담당한다. 장막층은 소화관의 바깥층으로 장기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2024.09.18
-
두혈종 간호과정 부모교육2024.11.011. 서론 일반적으로 두혈종[cephalohematoma]은 분만 시 흔히 발생할 수 있고, 특별한 치료 없이도 저절로 낫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자연치유기간이 오래됨에 따라 대상자의 행위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혈종에 대해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간호수행방법을 배움으로써 대상자에 대한 알맞은 사정, 그에 따른 진단 후 보다 빠르고 편안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두혈종 질병 연구를 시작하였다. 2. 신생아의 건강 사정 2.1. 신생아 일반적 정보 출생년월일은 2019.01....2024.11.01
-
운동중 탄수화물2024.10.011. 서론 장시간 운동은 신체에 많은 에너지를 소모시키고, 그로 인해 체내의 수분과 영양소가 빠르게 소진된다. 특히, 땀을 통해 수분과 함께 중요한 전해질과 미네랄도 배출되기 때문에 적절한 보충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포츠음료는 운동 중이나 운동 후의 수분 보충과 영양소 섭취에 매우 유용하다. 스포츠음료는 단순히 물을 마시는 것보다 체내의 전해질 균형을 맞추고, 에너지 공급을 지속시키며,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준다. 2. 스포츠음료의 주요 영양성분과 효과 2.1. 스포츠음료의 주요 성분 2.1.1. 수분 운동 중 체온이 상...2024.10.01
-
인슐린요법2024.10.101. 인슐린 개요 1.1. 인슐린의 작용 인슐린은 포도당을 세포 내로 이동시키고 글리코겐과 아미노산이 포도당으로 전환하는 것을 억제하여 혈당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포도당이 세포 내로 이동하면 세포에서 포도당이 에너지로 전환되고, 글리코겐과 아미노산이 포도당으로 전환되는 것이 억제되어 전체적으로 혈당이 낮아지게 된다." 이처럼 인슐린은 혈당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인슐린 분비나 작용에 문제가 있어 적절한 인슐린 투여가 필요하다." 1.2. 인슐린의 종류 1.2.1. 초속효성 인슐린 초속효성 인슐린...2024.10.10
-
소화제 소화속도2024.10.021. 서론 1.1. 영양과 영양소의 개념 영양(nutrition)이란 가축이 외부로부터 물질을 섭취하여 소화, 흡수 후 일련의 대사과정을 거치면서 체성분을 만들고 생명을 유지하며, 불필요한 물질을 배설하는 전 과정을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영양소(nutrient)는 독립적 또는 유기적으로 관련을 가지고 생체에 이용된다. 영양소에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비타민, 광물질, 물 등이 있다. 물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이유로 간혹 영양소에서 제외되기도 하나, 동물체 구성의 50% 이상을 차지하면서 다른 영양소 이용에도 중요...2024.10.02
-
간담도계2024.10.301. 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및 병태생리 1.1. 위장관계 구조와 특성 1.1.1. 구강, 식도, 위, 소장, 대장, 항문 구강은 저작, 타액분비, 연하기능을 수행한다. 타액은 음식물을 부드럽게 하며 프리알린 효소가 전분을 maltose로 분해한다. 식도는 23~25cm의 근육성 관으로 음식물이 위로 가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음식물이 식도를 통과할 때 수축과 이완을 하며 식도 중간 부위 근육층에는 점액을 분비하는 샘이 있다. 위는 LUQ에 위치하며 위기저부, 몸체, 유문동으로 구성된다. 위 말단부와 십이지장의 경계부에는 유문조임...2024.10.30
-
해부생리학 정리2024.08.261. 서론 1.1. 해부생리학의 중요성 해부생리학은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의학과 보건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부학은 인체의 구조와 조직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생리학은 인체의 기능과 구조 사이의 관계를 연구한다. 이 두 분야는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 인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해부생리학 지식은 의학 분야에서 필수적이다. 의사들은 환자의 질병이나 부상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 인체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특정 장기나 조직의 위치, 형태, ...2024.08.26
-
성인간호학 위장관장애 대상자 간호,염증과 면역반응,구강과식도장애,위장장애, 소장과대장장애,간경화 간암 간이식,간,담낭,췌장 구조와 기능,영양장애2024.12.061. 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1.1. 구강 구강은 음식물과 수분을 섭취하는 통로이며, 미각을 느끼게 하는 수용체와 28개의 치아와 2쌍의 사랑니로 구성되어 있다. 구강 저부에는 혀, 근육, 그리고 3쌍의 침샘인 설하선, 이하선, 악하선이 있다. 혀에는 미뢰를 포함한 작은 돌기인 유두가 있다. 정상적으로 침샘에는 정신적 자극, 후각 자극, 기계적 자극 등에 반응하여 타액이 분비된다. 타액은 신경의 조건반사와 무조건반사에 의해 분비되며, 타액반사의 중추는 연수에 있다. 타액은 음식물을 삼키기 쉽도록 부드럽게 녹이므로 타액이 감소하거나 ...2024.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