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임상적의의2024.10.281. 흉수 1.1. 흉수의 정의 흉강은 폐 쪽 흉막과 흉벽측 흉막 사이에 만들어진 공간으로, 정상적으로는 5~15mL의 장액성 액체(무색투명한 액체)가 존재한다. 병적으로 다량의 유출액이 흉강 안에 고였을 때는 감별진단을 위해 천자를 시행하여 유출 액을 채취해야 한다. 채취된 흉수는 체액 성분 검사 및 세포 검사를 실시하여 원인을 찾아 감별 진단에 활용한다. 1.2. 흉수의 종류 1.2.1. 여출액(transudate) 여출액(transudate)은 혈액 중 단백질 농도가 저하되어(교질 삼투압저하) 수분이 혈관 밖으로 나오는 경...2024.10.28
-
농흉2024.10.161. 농흉의 정의와 종류 1.1. 정의 농흉은 흉막강에 화농성 액체 즉 농이 고인 상태로, 흉막액이 화농성이거나 또는 흉막액에서 세균이 검출되는 질환이다. 폐를 싸고 있는 두 겹의 가슴막(pleura) 사이에 농이 고인 상태를 의미한다. 1.2. 종류 농흉의 종류는 크게 '단순 농흉'과 '복합 농흉'으로 나뉜다. 단순 농흉은 병의 진행 초기에 나타나며 고름이 실재하지만, 자유 유동성이 있다. 따라서 고름을 쉽게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치료가 효과적이다. 반면 복합 농흉은 염증이 심하고 오래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나타나...2024.10.16
-
흉수 출혈의 위험2024.10.08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최근 우리사회는 급속한 경제성장과 의료기술의 발달 및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전체 인구의 수명 연장과 함께 인구 노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노인인구의 비중은 1960년 2.9%에서 2015년 13.1%로 반세기 만에 4.5배 증가하였다"" 이는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노인들의 다양한 건강문제가 대두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국 노인의 경우 기대수명에 비해 건강수명이 10년가량 짧고 여러 가지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기도 한데, 노인병의 특징은 한 노인에게 여러 가지 질환이 같이 존재한다는...2024.10.08
-
흉막삼출 병태생리2024.10.031. 흉막 삼출(Pleural Effusion) 1.1. 병태생리 흉수는 양측 흉막에서 모두 생성될 수 있으나 주로 벽측흉막에서 생성되며, 흡수는 벽측흉막 림프관을 통해 이루어진다. 벽측흉막 모세혈관은 대순환의 일부로 압력이 25mmHg 이고, 장측흉막 모세혈관은 소순환의 일부로 압력이 10mmHg이므로 두 압력 차이에 의해 벽측흉막으로부터 장측흉막으로 체액이 흐른다. 정상적인 흉수는 벽측 흉막에서 만들어지며 모세혈관의 정수압과 삼투압의 차이 및 림프관으로의 배출 등을 통해 일정한 양이 유지된다. 흉수의 분비 및 재흡수는 교질삼투...2024.10.03
-
흉막삼출 진단과 치료2024.10.031. 서론 이번 호흡기 내과로 실습을 나가게 되어서 다양한 호흡기 장애 대상자를 관찰할 수 있었다. 그중 저희 병동 대상자의 주요 질환은 Tuberculosis, Pneumonia, Pleural effusion, malignant neoplasm bronchus or lung, COPD이다. 제가 'Pleural effusion'을 선정한 이유는 결핵, 폐 감염 등의 문제로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이기도 하며, 실제로 흉관을 꼽고 있는 대상자를 관찰하는 기회가 다른 경우보다 많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결핵이나 COPD의 경우 학...2024.10.03
-
수술실 T and A 간호진단2024.10.301. 수술 환자 사례 연구 1.1. 일반적 배경 임○○ 씨는 75세의 남성으로, 1달 전부터 기침이 있었고 10일 전부터 왼쪽 가슴이 기침할 때마다 통증이 있어 지역 병원에 방문하여 왼쪽 흉수(pleural effusion)가 있다는 진단을 받고 수술을 위해 본원에 입원하였다. 활력징후는 BP 120/80, T 36.6℃, P 80회/분, R 18회/분으로 안정적인 상태였다. 임상병리검사 결과 WBC 19,500/㎣, neutrophil 92.8%, lymphocyte 50.5%로 감염 소견을 보였고, 폐기능 검사에서 seve...2024.10.30
-
결핵 늑막염2024.10.1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대사회에서 환경오염과 흡연으로 인해 폐렴과 폐암 등 호흡기 질환이 늘어남과 동시에 늑막염의 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늑막에 발생하는 염증 질환인 늑막염은 적절한 치료시 완치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농흉을 유발하거나 세균성 염증이 전신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늑막의 섬유화로 유착되거나 호흡곤란을 일으켜 생명에 위협을 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핵성 늑막염 환자의 간호 연구를 통하여 환자의 안위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가족들에게 적절한 교육을 도모하며 지식을 함양하고자 ...2024.10.17
-
난소과자극증후군2024.11.251. 난소과자극증후군(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 1.1. 정의 난소과자극증후군(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은 불임치료를 목적으로 성선자극호르몬을 사용하여 과배란을 유도했을 때, 너무 많은 난포가 자라서 생기는 합병증이다. 흔한 합병증 중의 하나이지만 양측 난소의 크기 증가와 복수로 인한 복부팽만감이 특징적이며 그 외 흉수, 혈액농축에 따른 혈전증, 간기능 장애, 신장기능의 저하, 호흡부전등을 동반하여, 중증에서는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문...2024.11.25
-
임상적 의의2024.08.171. 서론 1.1. 흉수의 정의 및 중요성 흉수는 정상적으로 폐 쪽 흉막과 흉벽측 흉막 사이에 존재하는 5~15mL의 장액성 액체가 병적으로 다량 유출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흉수는 진단적 목적을 위해 천자를 통해 검사하거나, 호흡곤란을 완화시키기 위해 치료적 목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천자를 통해 채취된 흉수는 체액 성분 검사와 세포 검사를 통해 원인을 규명하고 감별진단에 활용된다. 흉수는 병적 상태에 따라 크게 여출액(transudate)과 삼출액(exudate)으로 구분되며, 이 둘은 단백질 농도, 비중, LDH 등의 차...2024.08.17
-
임상적 의의2024.09.071. 흉수의 정의 및 종류 1.1. 흉수의 정의 흉강은 폐 쪽 흉막과 흉벽측 흉막 사이에 만들어진 공간으로, 정상적으로는 5~15mL의 장액성 액체(무색투명한 액체)가 존재한다. 병적으로 다량의 유출액이 흉강 안에 고였을 때는 감별진단을 위해 천자를 시행하여 유출 액을 채취해야 한다. 채취된 흉수는 체액 성분 검사 및 세포 검사를 실시하여 원인을 찾아 감별 진단에 활용한다. 1.2. 흉수의 종류 1.2.1. 여출액(transudate) 여출액(transudate)은 혈액 중 단백질 농도가 저하되어(교질 삼투압저하) 수분이 혈관 ...2024.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