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수술실 T and A 간호진단2024.10.301. 수술 환자 사례 연구 1.1. 일반적 배경 임○○ 씨는 75세의 남성으로, 1달 전부터 기침이 있었고 10일 전부터 왼쪽 가슴이 기침할 때마다 통증이 있어 지역 병원에 방문하여 왼쪽 흉수(pleural effusion)가 있다는 진단을 받고 수술을 위해 본원에 입원하였다. 활력징후는 BP 120/80, T 36.6℃, P 80회/분, R 18회/분으로 안정적인 상태였다. 임상병리검사 결과 WBC 19,500/㎣, neutrophil 92.8%, lymphocyte 50.5%로 감염 소견을 보였고, 폐기능 검사에서 seve...2024.10.30
-
외상성 기흉2024.11.22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교통사고와 산업재해의 증가로 인한 흉부 손상환자에서 늑골골절과 더불어 여러 가지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 중 외상성 기흉은 흔하면서도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폐손상이다. 기흉은 늑골 골절편이 흉막 열상을 야기하며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으며 기흉이 발생하면 폐 환기 관류 장애, 단락 현상 또는 폐포 저환기가 발생하고 허탈된 정도에 따라 응급처치를 요하게 되고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다. 특히, 흉관을 삽입한 기흉 환자는 통증으로 인한 일회 호흡량 감소, 폐활량의 감소 등의 폐의 유...2024.11.22
-
폐 쐐기 절제술2025.01.211. 서론 1.1. 기흉의 정의와 병태생리 기흉이란 공기라는 의미의 '기(氣)'와 가슴이라는 의미의 '흉(胸)'이 합쳐진 말로, 폐를 둘러싸고 있는 흉막강 내에 여러 원인으로 인해 공기가 차게 되어 호흡곤란이나 흉부 통증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한다. 정상적인 경우 폐와 흉벽 사이에 약 10~15cc의 흉수가 있지만, 어떤 원인으로 인해 이 흉막강에 공기가 차게 되면 폐가 찌부러지게 되어 호흡운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기흉의 발생 원인은 크게 넷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폐 조직 내에 발생한 공기 주머니(기...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