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심실세동 케이스 사례2024.11.191. 심실세동 1.1. 정의 심실세동이란 심실 벽의 여러 이소성 자극에 의해 심실이 단지 떨고 있는 전기적인 극도의 흥분 상태이다. 심박출량이 없으므로 맥박도 촉진할 수 없으며 호흡도 멈추고 의식도 없는 임상적으로 사망단계라고 할 수 있다. 3-5분 내에 즉각적인 응급치료로 효과적인 심실수축이 회복되지 않으면 뇌와 심장 등의 비가역성 변화로 사망하게 된다. 심전도상 P파는 볼 수 없으며 PR간격, QRS복합과 T파를 감별할 수 없는 불규칙한 세동파(300~600회/분)가 반복된다. 1.2. 원인 심실세동의 주요 원인은 급성 심근경...2024.11.19
-
bls정리2025.01.231. BLS(Basic Life Support) 정리 1.1. 기본심폐소생술의 목적 기본심폐소생술의 목적은 심폐정지 중에 필수장기(뇌, 심장)로의 산소 및 혈액 공급을 유지하여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고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자발적 순환 및 자발적 호흡을 회복하기 위함이며, 일반인이라도 할 수 있는 응급처치이고, 응급으로 산소를 공급하면서 기도를 확보하고 호흡을 보조하며 인공호흡을 실시함으로써 폐에 산소를 공급한다. 순환보조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맥박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심압박으로 인공적 순환을 유지하면서 뇌에 혈액을...2025.01.23
-
심폐소생술2025.02.161. 서론 1.1. 심폐소생술의 정의 심폐소생술이란 심장의 활동이나 호흡이 갑자기 정지되는 동안에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응급으로 행하는 시술로, 심정지 후 3~4분 이내에 심장에 압박을 가하여 효과적인 심박을 유지하면서 뇌 대사에 필요한 충분한 산소량을 가지도록 폐호흡을 적절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기도 확보, 인공호흡, 순환유지 등 응급처치를 하는 것이다. 현대적 개념의 심폐소생술이 도입되었을 때에는 심정지 환자를 회생시키기 위해 행하는 인공호흡과 흉부압박만을 뜻하였으나, 점차 치료방법이 발달하면서 전문인이 행하는 제세동, 약...2025.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