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흉막삼출 원인2024.10.031. 흉막 삼출(Pleural effusion) 1.1. 정의 흉막 삼출(Pleural effusion)은 폐의 흉막에서 체액 성분이 스며나오는 삼출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정상인의 흉막은 폐를 둘러싸고 있는 허파 쪽 흉막과 흉벽 안쪽을 둘러싸고 있는 벽 쪽 흉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두 가슴막 사이의 공간을 흉막 공간이라고 부른다. 여기에는 정상적으로 소량(5~10mL, 0.1~0.2mL/Kg)의 흉수가 존재하며, 생리적으로 호흡 운동 시 폐 확장을 촉진하고 폐와 흉벽을 연결하여 폐의 팽창을 유지하게 도와준다. 하지만...2024.10.03
-
CHEST TUBE2024.11.191. 흉관 삽입 및 관리 1.1. 흉관 삽입의 목적 흉관 삽입의 목적은 유연한 배액관을 늑막강 내로 삽입하여 혈액, 체액, 공기 등을 배출시킴으로써 폐가 최대로 팽창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늑막강 내에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공기, 혈액, 염증성 삼출물을 제거하여 정상적인 음압을 유지하고 폐의 재팽창을 도모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폐엽 절제술이나 외상 등으로 인해 늑막강 내에 공기나 체액이 고이는 경우 흉관을 삽입하여 배액함으로써 종격동의 변위와 폐의 허탈을 방지하고 폐가 정상적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한다."" 1.2....2024.11.19
-
폐 쐐기 절제술2025.01.211. 서론 1.1. 기흉의 정의와 병태생리 기흉이란 공기라는 의미의 '기(氣)'와 가슴이라는 의미의 '흉(胸)'이 합쳐진 말로, 폐를 둘러싸고 있는 흉막강 내에 여러 원인으로 인해 공기가 차게 되어 호흡곤란이나 흉부 통증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한다. 정상적인 경우 폐와 흉벽 사이에 약 10~15cc의 흉수가 있지만, 어떤 원인으로 인해 이 흉막강에 공기가 차게 되면 폐가 찌부러지게 되어 호흡운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기흉의 발생 원인은 크게 넷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폐 조직 내에 발생한 공기 주머니(기...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