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개
-
기흉 케이스스터디2025.01.181. 서론 1.1. 기흉 정의 및 원인 기흉이란 가슴막안에 공기나 가스가 고여 폐의 일부 혹은 전체가 허탈된 상태이다. 기흉의 가장 큰 원인은 가슴막 천자를 잘못했을 때나 가슴 수술시 사고로 생긴 외상, 양압 환기로 인한 압력외상이다. 가슴막 천자, 가슴 수술, 양압 환기 등의 의료행위 과정에서 가슴막이나 폐가 손상되어 공기가 가슴막강으로 유입되면서 기흉이 발생한다. 또한 폐결핵, 만성폐쇄성폐질환 등 만성 폐질환에서도 원인 불명의 기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기흉은 의인성 요인과 병적 요인에 의해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다. 1...2025.01.18
-
기흉과 혈흉 치료법 및 관리2025.01.191. 서론 1.1. 흉곽 해부와 생리 정상적인 심장은 혈액을 온몸으로 운반하는 한 가지 기능을 하는 액체로 채워진 기관이다. 심장은 종격동에 위치해 있으며 신체의 변화 요구에 적응한다. 종격동은 기도, 식도, 대동맥과 주요 혈관과 구조들을 에워싸고 있다. 폐는 엽으로 구분되는데 오른쪽 폐는 3개의 엽, 왼쪽 폐는 2개의 엽으로 되어 있다. 흉곽은 밀폐된 곳으로 혈관과 기관지를 통해 종격동에 연결되어 있다. 밀폐된 폐는 횡격막과 종격동에 인접하여 있다. 폐를 둘러싼 흉벽은 sternum에 연결된 흉벽 어느 한쪽의 늑골을 함유하고 있...2025.01.19
-
흉관과 흉부배액체계를 가진 대상자의 안전간호2025.03.091. 서론 1.1. 주제 소개 및 연구 배경 사용자가 입력한 주제는 '흉관과 흉부배액체계를 가진 대상자의 안전간호'이다. 이는 교통사고로 인한 흉부외상으로 응급실에 실려 온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흉관 및 흉부 배액체계 관리와 관련된 간호 요구를 파악하고 안전한 간호중재를 모색하는 것이다. 흉관은 늑골골절 등의 흉부외상 환자에게 폐확장과 배액을 위해 삽입되는데, 이에 따른 효과적인 배액 및 감염 예방 등의 간호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흉관과 흉부배액체계를 가진 대상자에게 필요한 안전간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2. 연구...2025.03.09
-
수술실 케이스 농흉2024.10.0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OO병동은 다양한 흉부외과 환자들이 계신 병동인데, 그 중에서도 특히 폐와 관련된 질환을 갖고 계신 환자분들이 많은 것을 볼 수 있었다. 흉막강 내에 화농성 액체가 고임으로써 생기는 농흉(Empyema)은 흔히 발생하는 질병은 아니지만, 재발이 쉽고 현대 사람들에게 노출되기 쉬운 담배나 피로, 과로도 원인인자로써 발생하는 질환이라는 점에서 자연스레 관심이 갔다. 현대 사람들의 대부분이 원인인자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만큼 간호사례 연구를 통해 질병의 빠른 회복을 도모하고 나아가 농흉에 관한...2024.10.01
-
penrose drain2024.11.031. 배액관의 정의와 목적 1.1. 배액관의 정의 배액관이란 상처로부터 액체(삼출물)가 흘러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삽입된 관을 의미한다." 1.2. 배액관의 목적 배액관의 목적은 수술 후 상처의 분비물 배액을 위해서, 체내에 고여 있는 분비물 배액을 위해서, 수술 및 시술 후 분비물의 배액과 출혈을 관찰하기 위해서이다. 배액관은 상처로부터 액체(삼출물)가 흘러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삽입된 관으로, 수술 후 부종이나 통증, 감염 등을 일으키는 혈액, 혈장, 조직의 파편들을 환부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상처 치유 기...2024.11.03
-
기흉 case2024.10.011. 기흉의 개요 1.1. 정의 기흉(pneumothorax)은 흉막강에 공기나 가스가 고여 폐의 일부 혹은 전체가 허탈 된 상태이다. 흉막천자를 잘못했을 때나 가슴 수술 시 사고로 생긴 외상, 양압 환기로 인한 압력 외상(barotrauma)으로 발생한다. 기흉에는 기관, 기관지, 폐포와 같은 호흡 기도가 파열되어 흉막강으로 공기가 들어가는 폐쇄성 기흉(자연기흉)과 흉벽에 생긴 외상성 상처를 통하여 흉막강으로 들어가는 개방성 기흉(외상성 기흉)이 있는데 자연기흉이 더 흔하다." 1.2. 원인 1.2.1. 자연기흉 자연기흉(sp...2024.10.01
-
chest bottle 간호2025.04.261. 서론 흉관(Chest Tube)은 흉강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나 체액을 제거하여 폐의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시키고, 흉강 내 압력을 정상화하는 의료기구이다. 이는 기흉, 혈흉, 흉막삼출, 농흉 등의 다양한 흉부 질환에서 사용되며, 환자의 상태와 병력에 따라 적절한 위치와 방법으로 삽입된다. 흉관 삽입 및 관리에 대한 간호는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흉관의 정의와 목적, 삽입 및 관리 과정, 그리고 제거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Chest Tube의 정의와 목적 2.1. ...2025.04.26
-
흉관배액2025.05.011. 서론 흉강 내 공기, 체액 등의 비정상적인 물질이 축적되면 흉강의 음압이 파괴되어 폐의 확장이 억제되고 가스교환이 감소하게 된다. 이때 흉관을 삽입하여 축적된 물질을 제거하고 흉강의 음압을 유지함으로써 폐의 재팽창을 도모하는 것이 흉관 배액의 목적이다. 흉관을 통한 배액은 흉강 내 압력을 정상화시켜 호흡부전을 완화하고 환기와 관류를 증진시킬 수 있다. 2. 흉관(Chest tube) 배액환자의 관리 방법 2.1. Chest tube 사용 목적 흉관(Chest tube) 사용 목적 흉막강 내 음압을 유지하여 허탈된 폐를 재팽...2025.05.01
-
유미흉 치료 및 관리 방안2025.06.011. 서론 유미흉은 가장 큰 림프관인 흉관의 손상으로 인해 흉관 내의 유미(암죽:chyle)가 흉강 내로 빠져나와 축적되는 상태이다. 이는 드문 질환이지만 특징적인 우유빛 흉수 때문에 매우 인상적인 질환이다. 유미흉이 발생하는 것은 흉관(thoracic duct)의 해부학적 변이로 설명할 수 있는데, 해부 시 50%에서 이중의 담관, 흉관과 기정맥과 또 늑간 정맥 사이의 림프정맥의 문합과 같은 변이가 발견된다. 주 흉관의 지류는 대동맥 협부나 동맥인대 근처의 림프절로부터 풍부하게 공급받는다. 따라서 유미흉은 주로 수술 후 합병증, ...2025.06.01
-
배액관 관리방법2025.04.171. 배액관 개념 및 종류 1.1. 배액의 정의 및 목적 배액은 수술 후 부종이나 통증, 감염 등을 일으키는 혈액, 혈장, 조직의 조각들을 환부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회복에 불필요한 혈장, 핏물, 복수 등의 체액을 제거하여 체액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배액된 체액을 관찰하고 상처치유를 증진하기 위해 시행한다. 배액관이 없으면 어떤 상처는 겉은 치유되지만 안에는 분비물이 고여 농양이 형성될 수 있다. [1] 1.2. 배액관 유형별 특징 1.2.1. 헤모백(Hemo-Vac drain) 헤모백(Hemo-Vac drain)은 통에...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