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개
-
훈민정음 언해본2024.09.191. 서론 훈민정음이 한국 문화의 가장 자랑스러운 보배임을 누구도 부인하지 못한다. 실용적이고도 과학적인 제자 원리와 그에 담겨 있는 심오한 언어철학은 세계 문자 사상 그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것이다. 우리말을 표기할 수 있는 훈민정음이 창제된 것은 세종 25년(1443) 12월의 일이다. 이에 관한 문헌상 최초의 기록은 세종실록(世宗實錄) 권 102, 세종 25년 계해(癸亥) 12월조에 실려 있다.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이전에도 우리말을 표기한 고유 문자가 있었다는 설이 있으나 그것은 옛 문헌에 끼어 있는 편언들로서 과학적 ...2024.09.19
-
한글결과보고거2024.09.141. 한글의 우수성과 독창성 1.1. 국내외 학자들의 평가 1.1.1.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해례본 세종대왕은 1443년 12월 30일, 새로운 문자 체계인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그 해례본을 펴냈다. 세종대왕이 이 새로운 문자를 만들게 된 이유는 백성들이 한자를 배우기 어려워하고 한문 자료를 이해하기 힘들어했기 때문이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따르면, 이 새로운 문자는 "스물여덟 자로써 굴러 바뀜이 무궁하고, 간단하고도 요령이 있으며, 정밀하고도 잘 통한다"고 그 우수성을 밝혔다. 실제로 한글은 자음과 모음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고,...2024.09.14
-
중세국어와 현대국어 종결어미2024.10.181. 중세국어 정동사의 용법 1.1. 서론 중세국어의 어말어미는 담당하는 기능에 따라 정동사(verba finita), 부동사(converbum), 동명사(nomina verbalia) 어미로 나뉜다. 이 중 정동사 어미는 주어에 대한 진술을 종결하는 서술어의 형태로서, 문장을 종결하는 통사론적 기능을 담당한다. 정동사 어미의 종류는 화자의 태도, 즉 서법(敍法)에 따라 설명ㆍ감탄ㆍ의문ㆍ공동ㆍ명령ㆍ허락ㆍ약속의 일곱 가지 용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정동사 어미의 용법에 대한 면밀한 고찰은 국어 문법의 정밀하고 체계적인 기술을 위해 ...2024.10.18
-
조선시대 한글반포2024.10.281. 조선시대의 문화 1.1. 한글의 창제 우리나라는 일찍부터 한자를 써 왔으나 한자의 사용으로 인하여 우리말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지배층과 피지배층 사이의 직접적이고 공식적인 의사소통의 필요성이 커졌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민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문자가 요구되었다. 조선의 4대왕인 세종은 집현전 학자들을 중심으로 정음청을 설치하였고, 여기에서 음운을 연구하여 한글을 창제하였다. 한글은 중국의 문자인 한문에 비해 배우기 쉽고 과학적인 원리로 구성되었다. 세종대왕은 한글을 널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2024.10.28
-
고려 말의 신진사대부2024.10.031. 고려말의 신진사대부 1.1. 고려말 신진사대부의 등장 고려말 신진사대부의 등장은 고려사회가 원으로의 예속과 내부의 사회경제적 모순관계로 인해 변화를 겪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이다. 고려말 신진사대부는 새로운 정치·경제체제와 정치세력이 등장하는 분기점이었던 고려사회에서 대두된 세력이었다. 고려는 1270년 몽고와 강화가 성립되면서 원에 예속되어 정치적 간섭을 받게 되었고, 경제적으로는 전시과가 유명무실해지고 녹과전 체제가 성립되었다. 그러나 11~12세기 농민항쟁에서 분출된 민의 요구가 정치에 반영되지 않았고, 농장을 중심으...2024.10.03
-
한국어 교원 과제2024.12.161.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사 역할 1.1. 말하기 수업에서의 교사 역할 1.1.1. 관찰자로서의 역할과 평가자로서의 역할 관찰자로서의 역할과 평가자로서의 역할은 말하기 수업에서 교사의 중요한 수행 역할이다. 먼저 교사는 관찰자로서 학습자 개개인의 출신 국가와 모국어의 특성, 학습 동기를 사전에 파악하고 교육 현장에서 적절한 과제 활동을 부여하여 학습자들의 발화 내용이나 빈번한 발화 오류를 세밀하게 관찰해야 한다. 관찰 결과 습관으로 굳어질 만한 발화 오류에 대해서는 원인 별로 분류하고, 교수 데이터로 축적시켜 지속적으로 교육 현...2024.12.16
-
석보상절 권62024.11.191. 중세 한국어 1.1. 석보상절 개요 1.1.1. 석보상절의 편찬 경위와 배경 석보상절은 세종이 세종 28년(1446) 3월에 죽은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당시 수양대군이던 세조에게 명하여 편찬한 석가의 일대기이다. 현전 월인석보(권1)의 권두에 있는 수양대군의 '석보상절서'와 그가 후에 왕위에 오른 뒤에 쓴 '어제월인석보서'에 그 동기가 명시되어 있다. 이들 서문의 다음 구절에 잘 드러나 있다. "삼가 아뢰옵건대, 도로 가신 자를 기리는 방법은 독경만한 것이 없사온데, 이제 그 뜻을 펴고자 하여 석...2024.11.19
-
중세국어의이해 자음2024.11.111. 전기 중세국어의 특징 1.1. 전기 중세국어의 시기 및 자료 전기 중세국어의 시기는 고려 중기부터 조선 초기에 이르는 약 400년 동안으로, 10세기부터 14세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의 국어는 고대 한국어에서 현대 한국어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전기 중세국어의 주요 문헌 자료로는 『계림유사(鷄林類事)』,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 『이중역(二重曆)』, 고려 가요, 『고려사(高麗史)』,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번역방통사(飜譯朴通事)』와 『훈몽자회(訓蒙字會)』, 그리고 불경 자료들이 있다...2024.11.11
-
자연법 사상ㅂ법2024.08.231. 서론 1.1. 한글의 창제 배경 한글의 창제 배경은 당시 조선 왕조에서 백성들을 교화하고 효과적으로 다스리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천지자연의 원리를 따른 새로운 문자체계 창제를 통해 백성들의 말과 글을 일치시키고자 했기 때문이다"" 세종대왕은 집현전의 젊은 학자들과 함께 중국 음운학과 송학이론에 기반하여 한글의 제자 원리와 운용법을 체계화하였다"" 이는 당시 한자를 몰랐던 백성들이 문자생활에 겪는 불편을 해결하고자 함이었다"" 또한 유교 이념의 효과적인 교화를 위해서도 한글이 필요했는데, 한문으로 된 법전과 경서,...2024.08.23
-
석보상절 권242024.10.221. 석보상절 1.1. 석보상절의 편찬경위와 배경 석보상절은 세종이 세종 28년(1446) 3월에 죽은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당시 수양대군이던 세조에게 명하여 편찬한 석가의 일대기이다. 현전 월인석보(권1)의 권두에 있는 수양대군의 '석보상절서'와 그가 후에 왕위에 오른 뒤에 쓴 '어제월인석보서'에 그 동기가 명시되어 있다. 이들 서문의 다음 구절에 잘 드러나 있다. "세종의 말처럼 돌아간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한 방법으로 '독경'만한 것이 없으므로 석보를 만들어 번역함으로써 한문을 모르더라도 많은 사...2024.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