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비특이적면역과 특이적면역에 대하여에 대하여2024.09.181. 면역의 정의와 중요성 1.1. 면역의 정의 면역은 미생물 침입으로 인한 질병과 그 밖의 문제로부터 인간을 보호하는 주된 방어기전으로써 건강유지와 질병예방에 매우 중요하다. 면역은 크게 선천적 면역(자연면역)과 후천적 면역(획득면역)으로 나뉜다. 선천적 면역은 인체가 면역원과의 접촉이 전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체내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면역반응을 말하며, 후천적 면역은 인체에서 이종단백질에 대한 적응반응으로 형성되거나 이미 형성된 것을 받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면역은 생체 내에서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2024.09.18
-
면역학2024.09.211. 면역의 정의와 특징 1.1. 면역의 정의 면역은 한 번 특정 감염병에 걸리면, 동일한 감염병에 다시 걸리지 않게 되는 현상이다. 이는 생체 내에서 자기와 비자기를 구별하여 외부에 침입한 이물질을 인식하고 제거하는 일련의 반응을 의미한다. 즉, 면역은 생체가 자기 자신과 다른 비자기 물질을 구분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러한 면역 반응은 항원의 인지 단계와 항원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다양한 면역 관여 기관과 세포들이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면역은 생체 내에서 자기와 비자기를 구분하...2024.09.21
-
면역학 정리2024.09.231. 면역의 개념 1.1. 면역의 정의 면역이란 "한번 감염병에 걸리면 동일한 감염병에 다시 걸리지 않는 현상"이다. 이는 감염방어면역, 종양면역, 알레르기질환, 자가면역질환, 이식 분야 등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현재의 면역 개념은 "생체 내에서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별해서 외부에서 들어온 이물질을 인식하여 제거하는 일련의 반응"을 의미한다. 즉, 면역반응은 항원의 인지단계와 항원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면역에 관여하는 기관에는 비장, 흉선, 림프절, 림프조직, 골수 등이 있으며, 면역에 관여하는...2024.09.23
-
면역학 정리2024.10.241. 면역 1.1. 면역의 정의 면역(immunity)이란 한번 특정 감염증에 걸리면 동일한 감염증에 다시 걸리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면역은 생체 내에서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별하여 외부에서 들어온 이물질을 인식하고 제거하는 일련의 반응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면역반응은 감염방어, 종양제거, 알레르기, 자가면역질환, 이식의료 등 다양한 영역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면역반응은 크게 항원의 인식단계와 항원을 제거하는 단계로 구분된다. 이때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주요 기관으로는 비장, 흉선, 림프절, 림프조직,...2024.10.24
-
면역학2024.10.151. 면역의 개념과 특징 1.1. 면역의 정의 면역이란 생체 내에서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별하고, 외부에 들어온 이물질을 인식하여 제거하는 일련의 반응이다." 1.2. 면역반응의 유형 면역반응의 유형은 선천면역(비특이적 면역)과 후천면역(특이적 면역)으로 구분된다. 선천면역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비특이적인 방어기능으로, 단시간 내에 빠르게 발동하여 병원체를 제거한다. 선천면역의 주요 기전에는 물리적/화학적 방어와 세포성 방어가 있다. 물리적/화학적 방어에는 피부와 점막의 물리적 장벽, 염산, 타액, 리...2024.10.15
-
면역저하2024.11.291. 면역 저하 환자의 이해 1.1. 면역의 정의와 중요성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은 병원균에 대한 신체의 방어 기전을 담당하며, 크게 선천면역과 후천면역으로 구분된다. 선천면역은 병원균에 대한 즉각적인 방어를 담당하고, 후천면역은 특정 항원에 대한 특이적인 항체나 세포를 생성하여 기억하는 것이다. 선천면역은 병원균의 특이적인 구조를 인식하는 수용체를 이용하여 감염 세포를 죽이거나 세포독성 물질을 분비함으로써 작용한다. 반면 후천면역은 병원균의 에피토프를 인식하는 세포를 이용하여 강력하고 지속적인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후천면...2024.11.29
-
패혈성 쇼크2024.10.141. 패혈성 쇼크 1.1. 정의 패혈성 쇼크는 미생물 감염에 대한 전신적인 반응으로 주요 장기에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이다. 구체적으로 패혈증에 저혈압이 동반된 경우를 말한다. 즉, 패혈증 환자에서 충분한 수액 소생요법에도 불구하고 평균 동맥압 65mmHg 이상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혈압상승제가 필요하며, 혈중 유산염 농도가 2mmol/L 이상인 경우를 패혈성 쇼크로 정의한다." 1.2. 원인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 패혈증의 원인이 된다. 원인이 되는 감염부위는 신체의 모든 장기가 가능하며, 뇌수막염, 피부 화농증, 욕창, 폐 ...2024.10.14
-
면역기전2024.08.291. 면역 기능 1.1. 선천 면역 1.1.1. 물리적 장벽 병원체가 우리 몸에 들어와 질병 혹은 감염을 일으키려면, 상피를 뚫고 체내의 조직으로 들어오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피부의 상피는 가시층에서 생성된 단백질 형태의 각질로 덮여있으며 바닥층, 중간층, 각질층 등 여러 층의 세포가 결합체의 형태로 단단하게 결합되어있다. 또한, 우리 몸에는 머리카락과 같이 약 250만 가닥의 털이 있어서 기계적 마찰을 막고 감각신경섬유의 분포로 유해물질이나 곤충의 접촉을 막을 수 있다. 이외에도 기름샘, 땀샘과 같은 외분비샘을 통해 유...2024.08.29
-
면역학2024.09.091. 면역학 개요 1.1. 면역의 정의 면역immunity은 한 번 감염병에 걸리면 동일한 감염병에 다시 걸리지 않게 되는 현상"이다. 생체 내에서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별해 외부에 들어온 이물질을 인식하여 제거하는 일련의 반응"이다. 면역반응은 항원의 인지단계와 항원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면역에 관여하는 기관은 비장, 흉선, 림프절, 림프조직, 골수 등"이다. 1.2. 면역의 종류 1.2.1. 선천면역 선천면역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비특이적인 면역기전으로, 감염이 일어나면 단시간 내에 발동하여...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