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병자호란2024.09.301. 병자호란의 배경 1.1. 여진족의 통일과 후금 국가 성립 여진족은 오늘날 만주와 연해주 근방에 거주하고 있었던 퉁구스계 민족이다. 그들은 12세기 초반 아골타가 여진족을 규합하여 금나라를 건국하였으나, 몽골의 침략으로 금나라가 멸망하면서 통일된 세력을 형성하지 못했다. 16세기 중엽에 이르러 아이신 교로 누르하치가 숙신, 말갈, 여진을 규합하여 통일하게 된다. 누르하치는 16세기 말부터 여진족을 통일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건주여진의 부족장으로 군사력을 강화하며 점차 다른 여진 부족들을 복속시켰다. 1589년에는 건주여진을...2024.09.30
-
광해군 재평가2024.11.101. 신사임당과 같이 당대에 저평가된 인물: 광해군 1.1. 왕권과 신권의 대결 속의 광해군 광해군은 임진왜란 당시 왕세자로서 분조를 이끌며 민심을 수습하고 의병을 모집하는 등 전란 극복을 위해 헌신했다. 하지만 선조와의 갈등과 왕위 계승 문제로 인해 조정 내 첨예한 대립이 발생했다. 선조는 왕위를 물려줄 계획이 오래전부터 있었으며, 1592년 4월 29일 광해군을 왕세자로 책봉한다. 선조는 광해군에게 "군국의 대권을 총괄토록 하려 한다. 임시로 국사를 다스리게 하노니 무릇 관직을 내리고 상벌을 시해하는 일을 편의에 따라 스스로...2024.11.10
-
병자호란 홍타이지의 전쟁2024.11.301. 병자호란의 배경과 전개 1.1. 여진족의 발전과 후금의 성장 여진족의 발전과 후금의 성장은 병자호란의 주요 배경이 되었다. 16세기 말 여진족 출신 누르하치가 숙신, 말갈, 여진족을 통일하여 후금이라는 국가를 세웠다. 누르하치는 명나라를 침공하여 멸망시키고 후금을 건국한 것이다. 이후 조선은 후금과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명나라는 여진족을 지배하기 위해 기미책을 사용했는데, 충성스러운 여진족 추장에게 관직을 수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점차 여진족의 세력이 커지면서 누르하치가 이들을 통합하여 후금을 세운 것이다. 누르...2024.11.30
-
남한산성2024.11.251. 남한산성 1.1. 병자호란의 배경 광해군이 중립 외교로 명과 후금 사이의 균형을 유지했던 것과는 달리, 인조는 친명 배금 정책을 펼쳤다. 이에 후금은 조선과의 관계를 형제 관계에서 군신 관계로 바꾸고자 하였다. 그러나 조선이 이에 응하지 않자 후금은 3만 군사를 동원하여 정묘호란을 일으켰다. 이후 후금은 국호를 청으로 바꾸고 군신 관계를 요구하였으나, 조선이 이를 거부하자 병자호란을 일으켰다. 당시 조정에서는 청과 끝까지 싸워 물리쳐야 한다는 척화파와, 일단은 청과 군신 관계를 맺고 다음을 기약하려는 주화파로 나뉘어 팽팽한 ...2024.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