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나의 성악설 서론2024.10.081. 인간 본성에 대한 철학적 탐구 1.1. 성선설과 성악설의 대립 1.1.1. 맹자의 성선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하는 성선설의 대표적 학자이다. 맹자는 인간에게는 선천적으로 "남에게 차마 모질게 하지 못하는 마음(不忍人之心)"이 내재되어 있다고 말한다. 이는 어린 아이가 우물에 빠진 다른 아이를 보고 깜짝 놀라며 측은한 마음을 갖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음은 보상을 받기 위해서나 비난을 피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순수하게 다른 사람에 대한 측은함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맹자는 이러한 선한 본성이 인간...2024.10.08
-
버클리 비판2024.10.301. 서론 우리는 세계 속에 살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세계의 기원에 대해서도 아직 완전히 알지 못하고, 세계의 운행 원리 또한 인간은 완전히 깨닫고 있지 못하다. 어쩌면, 우리의 삶을 틀 지우고 있는 과학, 학문, 예술, 종교, 문화 등은 궁극적으로 이 세계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함이 아닌가 싶다. 이렇게 세계에 대해서 인간이 아는 것은 아직 극히 일부분이라 할 수 있지만, 우리는 일반적으로 '세계 속에 있음' 이 자체는 부정하지 않고 산다. 나를 낳아주신 어머니가 있음을 부정하지도 않고, 내가 지금 살아있게 하는 공기의 존재도 ...2024.10.30
-
데이비드 흄은 경험주의 철학자 중 한 사람이다. 그는 인간을 이성보다 감정과 경2024.09.061. 데이비드 흄의 미학사상 1.1. 흄의 도덕철학적 입장 내에서의 미적 영역에 대한 고찰 흄의 도덕철학적 입장 내에서의 미적 영역에 대한 고찰은 그의 철학적 목표인 '인간 본성에 대한 탐구'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흄은『인성론』의 서문에서 "도덕과 비평이 우리의 취미와 정감에 주목하는 것"이라고 자신의 관심 영역을 밝힘으로써, 미와 취미에 대한 그의 고찰이 인간 본성의 경험적 탐구라는 그의 철학적 목표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흄은 미를 쾌라는 정감을 야기하는 어떤 힘으로 보았다"". 즉, ...2024.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