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개
-
자연분만 산후출혈 간호 케이스2024.09.171. 산후출혈 1.1. 정의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PPH)의 가장 보편적인 정의는 질식 분만 후 산도를 통하여 500mL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나 제왕절개분만 후 1,0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임상적으로 산후출혈은 산모의 적혈구 용적률이 10%가 감소하거나 분만 전 수치보다 감소 또는 혈류역학적인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과다출혈로 수혈이 필요한 상황으로 정의될 수 있다. 1.2. 원인 1.2.1. 자궁이완 자궁이완은 산후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태반 만출 후 자궁저부는 단단하게 수...2024.09.17
-
자궁퇴축간호 논문2024.11.031. 산욕기의 생리적 변화와 산욕부 간호 1.1. 필요성 분만 후 여성과 가족은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변화에 적응해야 하며 출산과정이나 호르몬의 변화, 아이 양육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산욕기의 생리적 변화와 산욕부 간호의 필요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왕절개술을 시행 받은 산모에서는 상대적으로 산후 자궁 내막의 감염 가능성, 분만 후 출혈 마취 중 합병증으로 인한 합병증의 가능성, 봉합 부분의 상처의 감염 또는 혈종 발생 가능성 및 색전증 발생률 등이 높은 반면, 질식분만을 한 산모군에서는 요실금, 변실...2024.11.03
-
무통주사 간호진단2024.10.231. 조기 양막 파수 1.1. 정의 태아는 양막 안에 있는 양수에서 성장하고 발달하게 되는데, 양막이 파수되는 경우 양수가 새어 나오게 된다. 조기양막 파수란 임신 주 수에 상관없이 진통 전에 양막이 파수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1.2. 원인 및 증상 조기 양막 파수의 원인 및 증상은 다음과 같다. 조기 양막 파수의 원인은 다양하다. 그 중 자궁 내 감염,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DNA 손상, 조기 세포 노화 등이 주요한 선행 요인이다. 위험 요인으로는 저체중, 영양 결핍, 흡연 등이 있다. 조기 양막 파열이 일어나면 정상적인 ...2024.10.23
-
분만1기2기3기4기 분만간호과정2024.08.151. 서론 1.1. 유도분만의 정의 및 배경 유도분만(induction of labor)은 자연적인 자궁수축이 있기 전에 인위적으로 자궁수축을 유도하여 분만을 시키는 것을 말한다. 임신의 지속이 모체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거나 모체의 상태가 태아의 생존에 영향을 미칠 때, 만삭이 되어도 분만이 시작되지 않을 때 시행한다. 유도분만은 임신 40주 이후에도 분만이 시작되지 않거나, 임신성 고혈압, 당뇨병, Rh 부적합증 등의 모체 질환이 있는 경우, 태아의 위험이 의심될 때 적응증이 된다. 또한 임신성 고혈압, 당뇨병, 이상 태반 등...2024.08.15
-
분만1기 대본2024.11.271. 정상 분만 과정 1.1. 정상 분만의 정의와 요소 정상 분만이란 임신 37주 이상의 만삭 임부가 합병증 없이 태아를 질을 통해 24시간 이내에 분만하는 것을 말한다. 정상 분만은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된다. 첫째, 산도(Passageway)이다. 산도는 골반과 경관, 골반상, 질, 질구 등으로 이루어진 뼈와 연조직으로 구성된다. 뼈골반의 유형과 경선, 자궁하부와 자궁경부, 골반상 근육, 질과 질구의 신장력 등이 분만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만출물질(Passenger)이다. 태아와 태아 부속물이 산도를 통과하는 것을...2024.11.27
-
급속분만2024.09.031. 서론 1.1. 급속 분만 사례 연구 선정 이유 급속 분만 사례 연구를 선정한 이유는 출생아 수 및 합계 출산율 그래프와 같이 2015년부터 현재까지 지속하여 출산율이 가임 여성 1명 당 아기 1명도 되지 않는 낮은 출산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만이 할 수 있는 임신과 출산에 대해 궁금했으며, 특히 자연분만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주변의 많은 여성들이 제왕절개보다 자연분만을 선택했고, 또한 ""아기를 쉽게 낳았어"" 또는 ""아기를 빠른 시간 안에 힘 안 들이고 낳았다""라고 말하는 것으로 볼 때, 급속 분만의 심각...2024.09.03
-
신생아응급처치2025.01.101. 신생아 응급처치 1.1.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 영유아의 가장 큰 사망원인은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이다. 영유아는 삼킬 수 있는 능력이 아직 부족하며, 음식이 아닌 물질을 먹으려고 시도하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이다. 땅콩, 사탕 등의 딱딱하고 작고 동그란 음식이나 장난감, 건전지, 옷핀 등의 음식이 아닌 이물질에 의해서도 기도가 막힐 수 있다. 이물질에 의해 기도가 폐쇄되었을 때, 실시하는 응급처치가 하임리히법이다. 하임리히법은 복부 밀어내기를 통해서 기도를 확보하는 응급처치 방법이다. 기도가 폐쇄되지 않았을 때 시행하게 되면...2025.01.10
-
방광팽만은 왜 산후출혈의 원인이 되는가2024.09.031. 간호과정 1.1. 간호진단 #1: 회음부열상으로 인한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산후 회음부 열상으로 인한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은 산모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이다. 산모는 출산 후 10시간 만에 회음부 3도 열상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다량의 출혈이 있었다. 이는 산모의 체액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신속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우선 산모의 활력징후를 1시간마다 면밀히 관찰하여 출혈로 인한 쇼크 징후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실혈량을 측정하기 위해 패드의 무게와 오로의 양상을 2시간마다 확인하는 것이 중요...2024.09.03
-
산욕기간호2025.03.061. 서론 현재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70년대부터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출생 통계(확정)'에 따르면 작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1.17명으로 전년보다 0.07명 감소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이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OECD 국가 중에서도 최하위 수준이다. 2015년 기준 OECD 평균 합계출산율은 1.68명이지만, 우리나라는 1.29명으로 최하위 국가에 머물고 있다. 만혼이 증가하면서 출산율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산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2025.03.06
-
산후출혈 가상사례2025.04.021. 서론 산후출혈은 출산 후 사망의 주된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산후출혈에 대한 이해와 체계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 보고서에서는 산후출혈의 정의와 특성, 병태생리 및 임상증상, 진단과 예방, 치료와 간호중재 등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가상 사례를 통해 산후출혈 환자에 대한 간호과정을 제시함으로써 임상에서의 실질적인 적용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산후출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2. 산후출혈의 정의와 특성 2.1. 산후출혈의 정의 산후출혈의 정의는 다음과 같...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