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0개
-
고백록내용요약2024.09.131.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 1.1.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삶과 신학사상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로마 제국에 속해 있던 북아프리카의 작은 도시 타가스테에서 태어났다(354년). 그의 어머니는 성 모니카이다. 라틴어 문법과 「말 잘하는 기술」(修辭學)에 뛰어났던 아우구스티누스는 열 여섯의 나이에 북아프리카의 수도 카르타고로 유학을 갔다(370년). 그곳에서 한 여인과 동거에 들어간 아우구스티누스는 얼마 있지 않아 아들 아데오다투스를 얻었다(370/1년경). 떳떳하지 않은 동거 생활은 14년 동안이나 계속되었다(370~384년). ...2024.09.13
-
고백록2024.09.131. 소개 서론 《고백록》은 서방교회의 지도자이자 고대 그리스도교 철학의 대부인 아우구스틴(354-430년)이 397년부터 400년 사이에 저술한 책이다. 이 책은 기독교 문학 중에서도 가장 많이 알려지고 읽히는 작품 중 하나이다. 이 책에서 아우구스틴은 자신의 유아기부터 청년기까지의 방탕한 생활과 회심의 과정을 고백하고, 하나님에 대한 찬양과 신학적 성찰을 담고 있다. 이 책의 목적은 단순한 자전적 기록을 넘어서 자신의 체험을 통해 하나님의 은총을 드러내고, 그리스도교 신앙의 핵심 교리와 신학을 체계화하는 것이었다. 아우구스...2024.09.13
-
고백록2024.09.171. 소개 《고백록》은 어거스틴이 397년에 쓰기 시작하여 400년에 완성한 작품으로, 서방교회의 지도자이자 고대 그리스도교 철학의 대부인 어거스틴 자신의 회고록이다. 이 책을 통해 그는 자신의 방탕했던 옛 생활을 참회하고 참된 그리스도교인으로 거듭났음을 고백한다. 《고백록》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1권부터 9권까지는 어거스틴의 과거에 대한 기억과 회상, 즉 인간의 죄와 그를 도와주시는 하나님의 은총과 관용에 관한 내용이다. 10권은 그의 영적 현재 상태를 묘사하고, 11권부터 13권까지는 창세기 첫 장에 대한 해석, 즉 ...2024.09.17
-
고백록 5권2024.09.121. 서론 어거스틴의 고백록은 서방교회의 지도자이자 고대 그리스도교 철학의 대부인 저자 아우구스티누스가 397년에 쓰기 시작하여 400년에 세상에 내놓은 책이다. 이 작품은 유아기에서부터 시작하여 그가 죄인으로 살았던 방탕한 시절에서 기독교인으로 회심한 과정을 담고 있으며, 서구 세계에서 쓰여진 최초의 자서전이자 중세기 내내 기독교 작가들에게 영향력 있는 모델이 되었다. 어거스틴은 고백을 통하여 죄인으로서 인간을 성찰하고 하나님에게 구원받는 여정을 이 책에서 고스란히 이야기하고자 했으며, 자신이 하나님의 은혜로 가까이 나아가고 있음...2024.09.12
-
신앙인으로서 내려놓음2024.09.201. 회심의 변질 1.1. 회심과 변화 회심과 변화"은 사복음서에 가득한 이야기였다. 사람들의 신념, 소속, 행동에 엄청난 변화를 일으킨 것이 바로 회심이었다. 회심은 곧 변화를 의미했다. 초기 기독교는 고난과 멸시 속에서도 성장을 이어갈 수 있었다. 예배가 매력적이었기 때문이 아니라 교인들의 매력적인 삶, 개개인의 삶과 그에 따른 특징, 생명력 넘치는 공동체를 가꾸어 갔기 때문이었다.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또 다른 요인은 그리스도인의 신념이었다. 회심은 신앙의 예비자들이 자신을 '재사회화'의 과정에 복종시킬 때 일어났다. ...2024.09.20
-
하늘의 법정, 복음의 변증2024.09.231. 사도행전에 대한 이해 1.1. 사도행전의 장르와 특징 1.1.1. 사도행전의 구조적 문제 사도행전의 구조적 문제는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는 사도행전의 구조적인 문제이다. 사도행전은 누가복음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이 두 저작물의 구조와 문체가 서로 다른 점이 있다.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서술 방식과 구성이 상이하여 이들 간의 연관성이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둘째는 사도행전의 역사성에 대한 인식의 문제이다. 사도행전은 초대 교회사를 다루고 있어 역사적 사실성이 강조되지만, 과연 그 내용이 역사적 사실인지에...2024.09.23
-
요한복음 21장2024.10.041. 요한복음 분석 1.1. 요한복음의 특징 요한복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요한복음은 예수님의 신성과 인류애를 집중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마태, 마가, 누가복음이 예수님의 행적과 가르침에 중점을 두었다면, 요한복음에서는 예수님을 생명의 떡, 세상의 빛, 양의 문, 길이요 진리요 생명, 포도나무 등으로 비유하면서 그분의 신성과 인류애를 집중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또한 요한복음에서는 예수님이 직접 이전에는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으로 간구했던 기도를 이제는 자신의 이름으로 구하라고 말씀하신다. 이를 통해 예수님의 신성을 나타내고 있다...2024.10.04
-
사도바울2024.10.011. 바울의 자기소개 1.1. 로마 시민권을 가진 유대인 바울은 자신을 "유대인"으로 소개하고 있지만, 그는 평범한 유대인이 아니었다. 사도행전에 따르면 바울은 로마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유대인이 로마의 시민권을 얻기 위해서는 로마에 큰 공을 세워야 했다. 바울의 고향 다소가 과거 로마 총독들 간의 세력다툼 과정에서 한 총독을 도왔던 공으로 인해 시민권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 다소가 카시우스 총독을 도왔지만 결국 옥타비아누스가 승리하면서, 다소의 행동을 공으로 인정하여 그들에게 시민권을 부여했다. 이때...2024.10.01
-
예수그리스도의 대속의 십자가를 완전타락한 인간의 상태와 연관하여 설명하시오2024.10.311. 구원론과 구원의 서정 1.1. 구원론의 개요 구원론의 개요는 구원을 죄인에게 전달하는 것과 하나님의 은혜와 하나님과의 긴밀한 교제의 생활로 회복되는 것을 다룬다. 따라서 구원론의 이해는 전적으로 하나님께 의존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는 하나님께서 인간이 사용하고 누릴 수 있도록 인류의 유익을 위하여 만물을 지으시고 그 부성적 사랑과 인간을 향한 선하심을 나타내셨음에도 불구하고, 불순종하여 전적으로 타락한 인간이, 하나님께서 베푸신 구원의 내용을 살펴볼 때에 마땅히 취해야 할 태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의 공로나 역할을...2024.10.31
-
웨슬리 표준설교2024.11.041. 웨슬리와 감리교회 1.1. 18세기 영국의 시대적 상황 1.1.1. 이성의 시대 18세기는 이성의 시대였다. 이성의 시대란 이신론의 시대를 말한다. 이신론(Deism)은 신이 창조주일 뿐 이 세상의 과정에는 관여하지 않는다는 사상이다. 따라서 기독교 내에 있는 초자연적인 것을 제거하고자 했으며, 신앙을 이성에 예속시키는 일을 강조했다. 이러한 합리적 철학이 영국에서 일어난 것과 때를 같이하여, 독일에서는 합리주의가 일어났다. 18세기 독일의 합리주의는 성경의 합리적 해석, 즉 신화와 초자연적 기적을 부인하고 역사적 예수...2024.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