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개
-
신앙인으로서 내려놓음2024.09.201. 회심의 변질 1.1. 회심과 변화 회심과 변화"은 사복음서에 가득한 이야기였다. 사람들의 신념, 소속, 행동에 엄청난 변화를 일으킨 것이 바로 회심이었다. 회심은 곧 변화를 의미했다. 초기 기독교는 고난과 멸시 속에서도 성장을 이어갈 수 있었다. 예배가 매력적이었기 때문이 아니라 교인들의 매력적인 삶, 개개인의 삶과 그에 따른 특징, 생명력 넘치는 공동체를 가꾸어 갔기 때문이었다.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또 다른 요인은 그리스도인의 신념이었다. 회심은 신앙의 예비자들이 자신을 '재사회화'의 과정에 복종시킬 때 일어났다. ...2024.09.20
-
고백록내용요약2024.09.131.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 1.1.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삶과 신학사상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로마 제국에 속해 있던 북아프리카의 작은 도시 타가스테에서 태어났다(354년). 그의 어머니는 성 모니카이다. 라틴어 문법과 「말 잘하는 기술」(修辭學)에 뛰어났던 아우구스티누스는 열 여섯의 나이에 북아프리카의 수도 카르타고로 유학을 갔다(370년). 그곳에서 한 여인과 동거에 들어간 아우구스티누스는 얼마 있지 않아 아들 아데오다투스를 얻었다(370/1년경). 떳떳하지 않은 동거 생활은 14년 동안이나 계속되었다(370~384년). ...2024.09.13
-
고백록2024.09.131. 소개 서론 《고백록》은 서방교회의 지도자이자 고대 그리스도교 철학의 대부인 아우구스틴(354-430년)이 397년부터 400년 사이에 저술한 책이다. 이 책은 기독교 문학 중에서도 가장 많이 알려지고 읽히는 작품 중 하나이다. 이 책에서 아우구스틴은 자신의 유아기부터 청년기까지의 방탕한 생활과 회심의 과정을 고백하고, 하나님에 대한 찬양과 신학적 성찰을 담고 있다. 이 책의 목적은 단순한 자전적 기록을 넘어서 자신의 체험을 통해 하나님의 은총을 드러내고, 그리스도교 신앙의 핵심 교리와 신학을 체계화하는 것이었다. 아우구스...2024.09.13
-
고백록2024.09.171. 소개 《고백록》은 어거스틴이 397년에 쓰기 시작하여 400년에 완성한 작품으로, 서방교회의 지도자이자 고대 그리스도교 철학의 대부인 어거스틴 자신의 회고록이다. 이 책을 통해 그는 자신의 방탕했던 옛 생활을 참회하고 참된 그리스도교인으로 거듭났음을 고백한다. 《고백록》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1권부터 9권까지는 어거스틴의 과거에 대한 기억과 회상, 즉 인간의 죄와 그를 도와주시는 하나님의 은총과 관용에 관한 내용이다. 10권은 그의 영적 현재 상태를 묘사하고, 11권부터 13권까지는 창세기 첫 장에 대한 해석, 즉 ...2024.09.17
-
하늘의 법정, 복음의 변증2024.09.231. 사도행전에 대한 이해 1.1. 사도행전의 장르와 특징 1.1.1. 사도행전의 구조적 문제 사도행전의 구조적 문제는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는 사도행전의 구조적인 문제이다. 사도행전은 누가복음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이 두 저작물의 구조와 문체가 서로 다른 점이 있다.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서술 방식과 구성이 상이하여 이들 간의 연관성이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둘째는 사도행전의 역사성에 대한 인식의 문제이다. 사도행전은 초대 교회사를 다루고 있어 역사적 사실성이 강조되지만, 과연 그 내용이 역사적 사실인지에...2024.09.23
-
풍성한삶으로의초대독후감2024.10.191. 고백록(어거스틴) 독후감 1.1. 어거스틴의 신앙의 여정과 하나님에 대한 갈구 어거스틴의 신앙의 여정과 하나님에 대한 갈구는 그의 고백록에 잘 드러나 있다. 어거스틴은 본래 마니교 신봉자였으나 교만과 육욕에 사로잡혀 방황하다가 결국 회심하게 된다. 그는 자신의 죄악됨을 깊이 인정하고 하나님에 대한 간절한 갈구를 표현한다. 어거스틴은 자신의 과거 생활을 고백하며 하나님을 향한 열망을 고백한다. 그는 청년 시절 마니교 신자로서 살아왔지만, 내면의 방황과 죄에 사로잡혀 있었음을 고백한다. 그는 하나님께 자신의 어리석음과 욕심,...2024.10.19
-
새예루살렘2024.10.191. 바울의 생애와 신학 1.1. 바울의 젊은 시절 바울의 젊은 시절은 그가 유대교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바울은 자신의 혈통이 베냐민 지파에 속한다고 언급하며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누가는 바울을 길리기아의 헬라도시인 다소에서 태어난 바리새인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는 바울이 유대인이며, 동시에 헬라적 배경을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다소는 당시 로마, 알렉산드리아와 더불어 로마의 3대 도시 중 하나로 발전한 곳이었다. 이 도시는 자유, 면책, 시민권이 주어졌고 문화와 철학, 교육의 중심지였...2024.10.19
-
연세신학대학원2024.10.201. 사도 바울의 생애와 신학 1.1. 저자 소개 및 서문 책소개 저자는 서문에서 이 책을 통해 사도 바울의 복음을 발견하여 21세기를 맞아 위기에 처한 한국교회의 개혁과갱신에 기여하기를 소망한다고 밝히고 있다. 저자 소개 최갑종 - 현재 천안대학교와 기독신학대학원 대학교 신약학교수이며, 바울연구에 있어서 국내의 최정상에 서 있는 학자이다. 1985년도에 저술, 출판한 는 국내 최초의 전문적인 주기도문 연구서로 알려져 있으며, 1992년 이후로 출판한 , , , , 등은 국내의 여러 신학대학원에서 필독서로 소개되고 있다. 장...2024.10.20
-
웨슬리 표준설교2024.11.041. 웨슬리와 감리교회 1.1. 18세기 영국의 시대적 상황 1.1.1. 이성의 시대 18세기는 이성의 시대였다. 이성의 시대란 이신론의 시대를 말한다. 이신론(Deism)은 신이 창조주일 뿐 이 세상의 과정에는 관여하지 않는다는 사상이다. 따라서 기독교 내에 있는 초자연적인 것을 제거하고자 했으며, 신앙을 이성에 예속시키는 일을 강조했다. 이러한 합리적 철학이 영국에서 일어난 것과 때를 같이하여, 독일에서는 합리주의가 일어났다. 18세기 독일의 합리주의는 성경의 합리적 해석, 즉 신화와 초자연적 기적을 부인하고 역사적 예수...2024.11.04
-
요한웨슬리의 신학2024.10.211. 웨슬리의 신학운동 1.1. 18세기 철학사상과 도덕적 상황 웨슬리가 활동하던 18세기 유럽은 이신론(理神論)이라는 철학사상이 성행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당시 이신론자들은 기독교를 자연주의화하는 데 주력하고, 기독교에서 초자연적인 요소를 제거하는 작업에 몰두했다. 그리하여 이들 17세기와 18세기의 종교연구가들은 계시와 이성의 조화를 시도하기 시작했다. 더 나아가 위로부터 임하는 하나님의 계시(啓示)의 가능성과 전통적인 초자연주의에 대하여 질문을 제기하며, 마침내 신앙을 이성에 예속시키는 일을 강조하였다. 또한 18세기 ...2024.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