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활음현상 및 한국어 음운 유형 사례2024.11.041. 활음과 관련된 음운 현상 1.1. 활음화 활음화는 활음인 'j'와 'w'가 다른 모음과 결합하여 새로운 음절을 형성하는 현상이다. 'j'화와 'w'화로 구분되는데, 'j'화는 전설모음과 결합하여 이중 모음을 만들고, 'w'화는 원순 모음과 결합하여 이중 모음을 만든다. 'j'화의 대표적인 예로는 '마-+-시-+=오'가 '마쇼'로 활음화되는 경우와 '더디-+-어'가 '더뎌'로 활음화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처럼 'j'는 모음 '이'가 약화된 것으로 간주된다. 'w'화의 경우 '맞추-+-어'가 '맞춰'로 활음화되는 것...2024.11.04
-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일상언어에서 활음과2025.07.221. 서론 1.1. 활음의 정의와 개념 활음의 정의와 개념은 다음과 같다. 활음은 자음, 모음과 같은 분절음의 하나이다. 자음과 같이 공기의 흐름에 장애를 많이 받는 소리가 아니지만, 모음과 같이 홀로 음절을 이루지도 못한다. 따라서 자음도 아니면서 모음도 아닌 성격을 지녀 반모음, 반자음, 과도음 등으로도 불린다. 한국어에는 요드(j)계열과 더블유(w)계열의 두 가지 활음이 존재한다. 이들은 단모음과 함께 발현되어 이중모음의 성분으로 작용한다.[] 1.2. 한국어 활음의 특징 한국어 활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활음은 자음과...2025.07.22
-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일상언어에서 활음과2025.07.221. 서론 1.1. 한국어 모어 사용자의 일상언어에서 활음 관련 음운 현상 한국어 모어 사용자의 일상언어에서 활음 관련 음운 현상이다. 한국어에서 활음은 자음과 모음의 중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소리이다. 활음은 발음 시 공기 흐름에 장애가 크지 않지만 단독으로 음절을 이룰 수 없다. 따라서 활음은 자음도 아니고 모음도 아닌 특별한 분절음으로 간주된다. 한국어 교육에서 활음의 개념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일상 언어에서 활음화, 활음 첨가, 활음 탈락 등의 활음 관련 음운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활음 관...2025.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