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부전 질환 개요
1.1. 정의 및 원인
만성 신부전은 신장 기능이 점진적으로 악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만성 신부전은 사구체여과율(GFR)이 60ml/min/1.73m2 이하일 때 발생하며, 15ml/min/1.73m2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말기 신질환(ESRD)이라 하여 신기능 대체요법(투석, 이식)이 필요하다.
만성 신부전의 주요 원인은 대사장애,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 장애이다. 대사장애로 인해 혈청 질소 노폐물의 축적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혈청요소질소(BUN)와 혈청 크레아티닌이 증가한다. 또한 인슐린 저항성으...
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