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8개
-
투약오류원칙2024.11.151. 약물오류 개요 1.1. 약물오류의 정의와 유형 약물오류는 "약물이 의료전문가, 환자 또는 소비자의 지배를 받고 있는 동안 부적절한 약물사용을 야기하거나 환자에게 해를 입히는 예방 가능한 사건"으로 정의된다. 약물오류의 유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처방 단계에서의 오류로 잘못된 약물 처방, 부적절한 용량 처방, 환자 정보 누락 등이 포함된다. 둘째, 기록 단계에서의 오류로 약물 이름, 용량, 투여 시간 또는 경로 등의 기록 오류가 있다. 셋째, 조제 단계에서의 오류로 잘못된 약물 조제, 약물 혼합 오류, 부정확...2024.11.15
-
중환자실 장비2024.10.031. 환자 감시 장치 1.1. 목적 및 대상 환자감시장치(Patient Monitor)의 목적 및 대상은 다음과 같다. 환자감시장치의 목적은 심전도, 혈압, 산소포화도 등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환자감시장치의 대상은 생체 신호를 지속적으로 관찰이 필요한 환자, 상태 변화 측정이 필요한 의학적 조치를 받는 환자이다. 특히 상태가 불안정한 환자가 있는 중환자실에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2024.10.03
-
간호사의 역할AI2024.11.131. 간호 분야에서 인공지능(AI)의 혁신적 활용과 과제 1.1. AI 기반 간호 시스템의 필요성과 도입 배경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자의 증가로 인한 의료비 상승, 그리고 더 나은 의료 서비스를 요구하는 사회적 요구 증가는 현대 의료 환경에 큰 도전 과제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이러한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다양한 디지털 헬스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기술인 인공지능(AI)은 간호사들이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간호사들은 환자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2024.11.13
-
수문학 6장2024.11.171. 수리수문학과 운하 1.1. 수리수문학의 정의 수리수문학은 물의 순환 과정과 그에 따른 물의 이동, 분포, 방향성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수리학은 물의 흐름과 관련된 역학을 다루는 반면, 수문학은 물의 순환과 물수지 등 수문 순환 전반을 대상으로 한다. 즉, 수리수문학은 물의 흐름과 순환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물 공급과 관련된 모든 분야의 기초 학문이 되며, 농업, 공업, 생활용수 등의 물 이용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특히 수문 해석과 물 관리를 위한 기반이 되는 학문이라고 볼 수 있다....2024.11.17
-
인공지능과 의료윤리2024.08.241. 서론 1.1. 배경 인공지능은 현대 사회에서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기계가 사람의 지능과 유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의료 분야에서의 인공지능의 활용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의료 분야에서의 인공지능은 진단, 예측, 치료, 의료 관리, 의사 결정 지원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혁신적인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공지능은 대량의 의료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여 의사와 의료진이 정확하고 신속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의료 분야에서의 진단과 치료의 정확...2024.08.24
-
Ambu bag2025.03.161. 서론 1.1. 산소요법의 개념과 필요성 산소요법은 저산소증을 보이는 환자의 치료나 예방을 위해 산소나 산소를 추가한 공기를 환자에게 흡입시키는 요법이다. 저산소증은 세포에 공급되는 산소가 감소하는 상태로, 세포 손상을 유발하는 가장 흔하고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만성 기관지염, 직업성 폐 질환, 폐섬유증, 폐기종, 폐암, 천식 등의 호흡기계 장애와 협심증, 심근경색증, 부정맥, 심장성 쇼크와 같은 심혈관 장애, 두부외상 같은 중추신경계 장애를 가진 환자는 저산소증을 호소할 수 있으며, 이때 산소요법을 통해 세포의 손상을 ...2025.03.16
-
간호 혁신기술2025.03.111. 간호 분야에서 인공지능(AI) 활용과 전망 1.1. 서론 간호사는 환자에게 직접적인 돌봄과 치료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의료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최근 수년간 인공지능(AI)이 간호 분야에 도입되면서 간호사의 역할이 효율성과 정확성을 더해 혁신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AI는 자동화된 모니터링과 분석 시스템을 통해 간호사가 반복적이고 시간 소모적인 업무에서 벗어나 환자와의 직접적인 소통과 돌봄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본 보고서는 AI가 간호 분야에서 수행하는 주요 역할과 활용 사례...2025.03.11
-
NIHSS2025.03.101. 서론 1.1. 뇌졸중의 정의 뇌졸중은 뇌의 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질환이다. 뇌졸중은 크게 허혈성 뇌졸중과 출혈성 뇌졸중으로 구분된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혀 뇌경색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대부분의 원인은 혈전에 의해 발생하며, 전체 뇌졸중의 80%를 차지한다. 혈전성 뇌졸중은 혈관질환에 의해 발생된 혈전이 커지면서 혈관을 막거나, 혈전이 떨어져 나와 작은 뇌동맥을 막아 발생한다. 색전성 뇌졸중은 색전이 떨어져 나와 혈관을 막은 상태를 말한다. 출혈성 뇌졸중은 뇌혈관이 터져 뇌경색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2025.03.10
-
desflurane sevoflurane2025.01.071. 마취의 개요 1.1. 마취의 정의 마취는 "an(아니다, 없다)+asithesis(감각)"의 뜻을 가지며, 수술할 때 환자의 아픔을 없애기 위해 약물이나 침들을 사용하여 전신이나 국소의 감각을 일시적으로 줄어들거나 없어지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마취는 수술 중 환자가 느끼는 통증을 일시적으로 제거하여 수술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행위이다."" 1.2. 마취의 종류 1.2.1. 전신마취 1.2.1.1. 흡입마취 흡입마취는 가스나 액체 마취제를 기체로 만들어 마스크와 기관내관(endotracheal tub...2025.01.07
-
desflurane sevoflurane2025.01.071. 마취의 정의와 종류 1.1. 마취의 정의 마취(Anesthesia)란 an(아니다, 없다)과 asithesis(감각)의 합성어로, 수술할 때 환자의 아픔을 없애기 위해 약물이나 침을 사용하여 전신이나 국소의 감각을 일시적으로 줄어들거나 없어지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마취는 의식, 감각, 기억 등을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환자가 통증 없이 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의료행위이다. 1.2. 마취의 종류 1.2.1. 전신마취 1.2.1.1. 흡입마취 흡입마취는 가스나 액체 마취제를 기체로 만들어 폐로 투여하여 전신마취 효과...202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