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신체보호대의 올바른 사용과 주의 사항2024.09.201. 신체보호대 관리 규정 1.1. 목적 및 용어의 정의 신체보호대의 목적은 신체보호대 사용을 최소화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환자의 권리 존중 및 안전을 위하여 일관된 규정을 수립하고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함이다. "신체보호대"는 상해로부터 본인이나 다른 사람을 보호하기 위하여 환자의 전신 혹은 일부분의 움직임을 제한할 때 사용되는 수동적 방법이나 물리적 장치 및 기구를 의미한다. 1.2. 신체보호대 적용 대상 및 종류 신체보호대 적용 대상 및 종류는 다음과 같다. 신체보호대 적용 대상은 자신이나 타인의 안위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2024.09.20
-
수혈거부 법적 간호2024.08.271. 간호실무관리에서의 법적, 윤리적 문제 1.1. 간호의 법적 의무 1.1.1. 주의의 의무 주의의 의무는 간호사가 간호행위를 함에 있어 해당 시점의 지식과 기술에 도달해야 할 의무를 말한다. 간호사는 특정 행위를 함에 있어서 해당 시점의 지식과 기술에 도달해야 할 의무가 있다. 또한 의료과실의 유, 무를 가리는 핵심적인 기준으로 이 기준은 객관적으로 정해지며, 객관적 기준은 간호의 수준과 간호사의 재량성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간호사에게는 결과 예견 의무와 결과 회피 의무도 있다. 결과 예견 의무란 위법적인 사실의 발생을 인...2024.08.27
-
아동의 침습적 진단 검사 및 치료 절차 전 사전 동의의 법적∙윤리적 근거 및 절차 요약한 보고서2024.10.111. 서론 모든 침습적인 시술 전에는 환자나 환자의 법적 대리인은 정보에 근거한 의사결정을 위해서 그러한 시술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1964년 나치 의사들에 대한 뉘른베르크재판의 제1조에서 비롯된 개념이다. 환자는 의료행위를 동의하거나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사전동의 없이 환자를 간호할 경우 간호제공자나 병원은 손실에 대한 법적 책임은 물론, 비난을 피할 수 없다. 또한, 동의는 건강관리 제공자가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가 그 정보를 읽고 이해할 필요가 있는 양방향 과정이다. 건강관리 제공자...2024.10.11
-
신체억제대2025.05.121. 서론 1.1. 신체억제대의 정의 신체억제대는 기구나 장비를 환자에게 부착시켜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치료나 검사 시 환자 자신이나 타인의 보호를 위해 전신 혹은 신체 일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수동적인 방법의 물리적 장치 및 기구이다. 이는 조절을 필요로 하는 대상자의 활동을 억제하고 보호하며, 대상자 및 타인의 손상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하고 치료 시 안전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신체억제대는 낙상 우려가 있는 경우, 자해 및 타인에게 손상을 입힐 수 있는 경우, 중심 정맥관, 도뇨관, 비위관 등 각종 생명유지 장치의 유지...2025.05.12
-
누가기록2025.05.211. 환자 의료 데이터의 거래 1.1. 약국의 보건의료 데이터 수집 1990년대 후반, 텍사스 주 오스틴에 있는 태리타운 약국을 방문한 데보라 필은 자신의 가족 환자 데이터가 약국의 컴퓨터에 입력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그녀는 약국주인에게 왜 컴퓨터를 설치했는지 물었다. 이는 약국에 무료로 처방전 프로그램을 설치해 준 거대 제약회사와 의료계를 상대로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소송을 시작하게 된 계기였다. 데보라 필은 정신과 의사들과 일하며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그러나 의무기록, 보험청구 자료 등...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