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홍루몽과 구운몽의 소설 비교: 몽자류계 소설, 몽자류계 소설에서의 꿈의 의미, 그리고 그 속에 숨어 있는 환생, 불교, 도교, 유교의 이야기2024.09.221. 서론 은 조선시대 소설 중 문학적 형상성이 가장 탁월한 작품으로 평가되어 온 17세기 후반의 소설이다. 환몽구조를 통해 양반귀족의 꿈과 욕망을 담은 것으로, 그 자체로 소설사적 위상과 가치에 대한 평가도 높다. 이러한 구운몽이 오랜 시간에 걸쳐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이유는 우리 고전문학의 대표적 명작이면서도 미해결 과제를 가장 많이 안고 있는 문제작이기 때문이라 하겠다. 구운몽은 연구사만도 몇 편이나 쓰일 만큼 많은 연구 업적을 축적시켜 왔다. 오래도록 논란이 되었던 여러 가지 쟁점 가운데 의 발견에 따라 확정된 창작시...2024.09.22
-
독후감 구운몽2024.08.241. 소개 '구운몽'은 조선 후기 문인 김만중이 창작한 대표적인 한국 고전 소설로, 불교적 사상과 철학을 담아내고 있는 작품이다. 이 소설은 환몽구조를 통해 현실과 꿈, 이상과 현실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며, 인간 내면의 다양한 갈등과 욕망을 형상화하고 있다. 먼저, '구운몽'의 창작 배경을 살펴보면, 이 작품은 김만중이 남해 유배 시절에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만중은 당시 격렬한 붕당 정치로 인해 관직에서 물러나 지내야 했으며, 이 과정에서 자신의 삶에 대한 회의와 번민을 겪었던 것으로 보인다. 윤씨 부인, 즉 자신의 어머니...2024.08.24
-
구운몽 구조적 특징과 의의2024.10.161. 서포 김만중의 생애와 구운몽 1.1. 서포 김만중의 생애 1.1.1. 출생 김만중은 조선시대 정묘년(1637년) 2월 10일 병자호란 도중 피난 가던 배 위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김익겸은 강화도 함락 당시 선원이었던 김상용과 함께 배 위에서 불을 질러 스스로 자살하였기 때문에 만중은 유복자였다. 『서포연보』에 따르면 그의 출생과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정월에 오랑캐가 강을 건너려 함에 생원공이 사우를 규합하고 관군을 도와서 죽음으로 지킬 계책을 꾀했다가, 22일에 성이 함락되려 하자 선원 김상공을 좇아 남문루에...2024.10.16
-
달천몽유록 윤계선2024.08.291. 몽유록의 개념과 구성양식 1.1. 몽유록 소설의 정의 몽유록은 문자 그대로 풀이하면 꿈속에서 놀았던 일의 기록이라는 뜻이다. 그것은 이른바 몽유모티브를 지닌 글이다. 우리 문학사를 통시적으로 조망할 때, 몽유모티브를 수용한 문학양식은 다양하다. 〈調信夢〉(조신전)과 같은 설화 양식, 이규보의 〈夢驗記〉(몽험기), 허균의 〈夢記〉(몽기), 〈酒吃翁夢記〉(주흘옹몽기)등과 같은 등과 같은 '記(기)'양식, 송순의 〈夢見主上歌(몽견주상가)〉와 같은 고시조 양식이 그런 예이다. 그밖에도 歌辭(가사), 歌傳(가전), 漢詩(한시)등 제 ...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