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치료적 계획2024.10.181. 급성호흡부전 1.1. 정의 및 병태생리 급성호흡부전은 허파꽈리(폐포)와 폐모세혈관 사이에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교환장애가 급성으로 발생한 상태이다. 이러한 급성호흡부전의 병태생리는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환기부전(ventilatory failure)이다. 관류(혈류공급)는 정상이나 환기가 비정상적인 환기-관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는 허파나 흉벽의 구조장애, 뇌의 호흡조절중추 결함, 호흡근의 기능장애 등으로 인해 폐로 공기가 들어가고 나가도록 하는 흉곽내압이 적절하게 변화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둘째...2024.10.18
-
폐색전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분석2024.10.161. 서론 1.1. 사례 연구 선정 이유 사례 연구 선정 이유는 '사다리 타기'라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시된 사례들을 조원들과 나눈 결과, 선정되었기 때문이다." 2. 폐색전증 질환 개요 2.1. 정의 폐 혈전색전증은 다리에 있는 굵은 정맥에 생긴 핏덩어리(혈전)가 떨어져 나온 후 혈류를 타고 돌아다니다가 가느다란 폐동맥 혈관 가지를 막음으로써 발생하는 증상이다.""폐동맥 가지가 핏덩어리로 막히고 막힌 부위에 공기가 들어와도 기체 교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핏속의 산소가 부족해진다. 그리고 폐순환 중 오른쪽 심장에서 피를 보낼 ...2024.10.16
-
optiflow 산소요법교육자료2024.10.131. 개요 1.1. 진단명 및 환자 정보 제공된 문서에 따르면 이 환자는 77세 여성으로, 폐렴(Pneumonia, unspecified)을 진단받고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증상을 보이고 있다. 이 환자는 결핵(완치 판정), 고혈압, 당뇨병의 과거력이 있으며, 치매로 신경과 외래 진료 중이다. 입원 전 약 2-3개월 전부터 호흡곤란 증세가 있었으나 병원 방문을 하지 않았다가, 5월 18일 집에서 쓰러진 후 타 병원에 내원하여 기관삽관과 기계환기치료를 받았다. 이후 본원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였으며, 아직 기계환기 치료가 필요한...2024.10.13
-
간호사국가고시총정리2024.11.191. 호흡기계 장애 환자와 간호 1.1.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1.1.1. 상부 호흡기계 상부 호흡기계는 비강(코), 부비동, 인두, 후두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각 부분은 고유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비강은 후각 기능, 공명작용에 의한 발성 기능, 공기의 가온 및 가습 기능, 공기 여과 기능 등을 담당한다. 비강 점막 아래에는 많은 혈관이 분포하고 있어 외부 손상 시 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부비동은 비강을 둘러싼 뼈 속의 빈 공간으로 소리의 공명작용을 한다. 섬모운동으로 이물질을 포획하여 배출하는 호흡기의 첫 번째...2024.11.19
-
만성폐쇄성폐질환 간호진단2024.08.211. 서론 1.1. COPD 질환의 개요 COPD(만성폐쇄성폐질환)는 세기관지 흐름의 영구한 폐쇄를 가져오는 폐질환으로, 특수 질환이기보다는 기능적으로 분류하는 상태를 말한다. COPD는 흔히 폐감염에 의해 반복적으로 악화되어 호흡곤란과 객담 배출이 증가하는 경과를 밟는다. COPD의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만성기관지염과 폐기종이 있다. COPD의 유병률은 성인 남성의 20%가 만성기관지염 환자일 정도로 높으며, 여성 흡연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여성 환자도 늘어나고 있다. COPD의 발병 원인으로는 흡연, 감염, 대기오염 및 직업...2024.08.21
-
산소요법2024.08.171. 서론 1.1. 산소요법의 개요 산소요법은 세포가 정상적인 대사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다. 정상인의 경우 안정 시 분당 약 250ml의 산소를 소모하며, 약 1.5L의 산소를 폐에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산소 공급이 중단되면 약 6분 만에 폐에 보유된 산소가 모두 소모되어 세포가 저산소증에 빠지게 된다. 산소요법의 목적은 저산소혈증을 치료하고 예방하며, 호흡 노력을 감소시키고 심장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다. 정상인의 동맥혈 산소분압(PaO2)은 77~100mmHg 수준을 유지하며, 만성폐쇄성폐질환(...2024.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