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수면장애 대상자 교육2024.11.101. 호흡부전 1.1. 정의 및 병태생리 호흡부전은 광범위하고 비특이적인 임상진단으로 호흡기가 신진대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거나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호흡부전이 일어나면 심한 호흡곤란과 함께 이로 인한 의식의 혼돈, 무의식 상태를 유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산화탄소가 지나치게 많이 축적될 수 있다. 호흡부전은 치명적인 증상으로, 즉각적인 응급 처치로 심장이나 기타 장기가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호흡부전은 크게 세 가지 병태생리 기전으로 발생할 수 있다. 첫째, 환기 부전(과탄...2024.11.10
-
중환자 급성호흡부전2025.03.251. 서론 1.1. 급성 호흡부전의 정의와 분류 급성 호흡부전은 폐포와 폐모세혈관 사이에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교환장애가 급성으로 발생한 질환이다. 이는 환기부전, 산소화부전, 환기와 산소화부전의 혼합 등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약 7%에서 급성폐손상 혹은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이 발생하며, 급성호흡부전으로 기계환기를 받고 있는 환자에서의 급성폐손상 혹은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발병률은 11∼23%로 알려져 있다. 급성 호흡부전은 저산소혈성 호흡부전, 고탄산혈성 호흡부전, 신경계 장애로 인한 호흡부전 등 다양한 ...2025.03.25